d라이브러리
"생각"(으)로 총 14,498건 검색되었습니다.
- 소수교가 소수를 즐기는 방법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소수교의 대표적인 활동은 하루 동안 10개의 소수 관련 게임을 진행하는 두뇌 게임 서바이벌 ‘더 프라임’이다. 매년 열리는 교내 행사로 10차전을 거쳐 최후의 ... 자체가 아름답다기보다는 소수의 가치를 바탕으로 탐구해 나가는 수학자와 학생이 아름답다고 생각한다”라고 설명했다 ... ...
- 소수를 사랑한 신학자 메르센수학동아 l2024년 02호
- n이 257과 같거나 작을 때, 즉 n = 2, 3, 5, 7, 13, 17, 19, 31, 67, 127, 257일 때만 소수라고 생각하기도 했다. 하지만 이것 또한 틀린 것으로 결론이 났다. n이 67 또는 n이 257일 때 소수가 아님이 밝혀진 것이다. 게다가 메르센의 소수 목록에서 빠져 있던 M61, M89, M107이 소수라는 게 레 ...
- 희대의 난제 리만가설을 만든 리만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제자인 독일 수학자 베른하르트 리만이 스승이 이루지 못한 꿈을 이뤄줄 새로운 방법을 생각한다. 이때 그 유명한 리만 가설이 등장한다. 본격적으로 리만 가설을 이야기하기 전 리만에 대해 먼저 알아보자. 1826년에 태어난 리만은 어렸을 적부터 부끄러움이 많았고 신경 쇠약에 시달렸다. 수학에 ... ...
- [Chapter4] 악마, 불법, 나선 … 별별 소수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소수 무언가를 좋아해본 사람은 안다. 온종일 좋아하는 대상을 생각하다 보면 그것에 대해 아는 게 많아진다. 그 역사부터 최근에는 어떻게 활용하는지, SNS에는 어떻게 언급되는지는 기본이다. 이렇게 알아낸 것을 시작으로 꼬리에 꼬리를 물고 대상에 대한 궁금증은 더 커진다. 당장이라도 궁금한 ... ...
- 편견을 넘는 수학자 이탕 장수학동아 l2024년 02호
- 당연해 보이는 문제를 계속 의심하다 보면 새로운 문제와 아이디어를 발견할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그의 목표는 무엇일까. 그가 2021년 중국의 웹사이트 ‘지후’에 올린 글로 추측할 수 있다. “계속 수학 연구를 할 거예요. 저는 제가 평생 수학을 할 것이라고 제 별에 쓰여 ... ...
- [Chapter5] 우리 곁에 늘 있는 소수수학동아 l2024년 02호
- 많을수록 그리고 그 교잡의 시기가 자주 돌아올수록 매미에게 위기가 온다는 사실을 생각할 때 17은 매미가 살아남을 수 있는 특별한 숫자다. 이처럼 17년 매미 주기에는 소수 원리가 있다. 매미는 오랜 시간을 겪으며 살아남는 방법을 터득한 것일까? 17년이라는 긴 세월을 땅에서 지내는 매미의 ... ...
- [과학뉴스] 해왕성, 생각보다 파랗지 않다과학동아 l2024년 02호
- 해왕성(Neptune)은 로마 신화에 등장하는 바다의 신 ‘넵투누스(Neptunus)’의 이름을 딴 태양계 마지막 행성이다. 1989년, 보이저 2호가 근처를 통과하면서 찍은 해왕성은 그 이름에 걸맞게 깊은 바다처럼 짙푸른색을 띠었다. 그런데 사진이 찍히고 35년이 지난 후인 2024년, 해왕성이 보이저 2호가 찍은 사 ... ...
- 형태만큼 다양한 쓸모 , 로봇 트렌드 톺아보기과학동아 l2024년 02호
- 테트라플렉스 ⎪ 소프트 로봇으로 요리조리 물건 집는다 딱딱한 로봇만 로봇이라 생각하면 금물. 소프트 로봇은 고분자물질 등 부드럽고 유연한 소재로 만든다. 생물처럼 부드러운 움직임이 장점이다. 영국 브리스톨대 연구팀이 2023년 6월 28일 공개한 소프트 로봇 ‘테트라플렉스(Tetraflex)’가 그 ... ...
- OUTRO. 똑똑한 로봇과 함께 살아갈 고민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될 수 있는 사회는 어느 나라에서 먼저 실현될까? 필자는 이 답이 미국, 한국, 중국이라고 생각한다. 특히 한국에서 가장 빠르게 실현될 것이라고 감히 예측한다. 로봇과 공존하는 사회를 이루기 위해선 로봇과 인공지능(AI) 기술이 각각 성장해야 한다. 국제로봇연맹(IFR)이 2024년 1월 10일 공개한 ... ...
- [COP28리뷰] 한국은 왜 ‘오늘의 화석상’을 받았나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부산대 기후과학연구소 교수는 “COP27의 원론적 합의 속에서도 진통이 있었기 때문에 생각보다 빠르게 합의된 것에 놀랐다”며 “전 세계가 지구 온난화로 인한 심각한 피해에 공감했다는 의미로 볼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지구 온난화가 인간 때문임을 인정하고, 그에 대해 책임지려는 ... ...
이전678910111213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