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현존
존재
생존
현재
뉴스
"
기존
"(으)로 총 11,927건 검색되었습니다.
난치병 ‘간질’ 치료 원리 찾았다
2015.03.24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정호 교수는 “선천적으로 몸 전체에 돌연변이가 분포한다는
기존
학설을 뒤집고 뇌에만 돌연변이가 발생해 난치성 뇌질환을 유발한다는 사실을 증명한 최초의 연구”라고 말했다. 이 연구 성과는 의과학 분야 학술지 ‘네이처 메디슨(Nature Medicine)’ 24일자 온라인 판에 ... ...
DNA로 분석한 ‘유나이티드 킹덤(UK)’
2015.03.22
모양을 갖추게 해 준다. 드시몬 박사는 “수십cm 크기의 입체를 0.1mm 오차도 없이
기존
제품보다 25~100배 빠르게 찍어낼 수 있다”고 말했다. ※ 관련 기사 보러가기 5cm 크기 10분 만에 인쇄하는 3D프린터 개발 ... ...
[2020 미래 바이오 전략] 줄기세포 치료제, 어떻게 개발되나
2015.03.20
이식 외에는 달리 고칠 방법이 없다”면서 “대부분의 줄기세포 치료제는
기존
치료법으로는 잘 낫지 않는 난치성 질환을 타깃으로 한다”고 말했다. 줄기세포 치료제 시술 방식은 간단하다. 셀그램-AMI의 경우 환자의 골수를 20mL가량 뽑아낸 뒤 여기서 중배엽줄기세포를 소량 추출해 두 차례 배양 ... ...
동아사이언스-과학창의재단, 소프트웨어 교육 활성화 협약
동아일보
l
2015.03.19
교육과정에 들어가는 SW 교육은 문서작성 프로그램이나 프로그래밍 언어를 가르치던
기존
컴퓨터 교육과 다른 방식으로 진행된다. 다양한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활용해 자료를 수집·분석한 뒤, 효율적인 문제 해결 방법을 설계하는 창의적이고 논리적인 사고력을 높이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 양측은 ... ...
‘사랑하면 죽는 병’ 막아주는 생체물질 발견
2015.03.19
치료에 효과적이라는 사실을 이번에 처음으로 밝혀냈다. 특히 PDE9가 조절하는 cGMP는
기존
의 PDE5가 조절하는 것과는 다른 방법으로 만들어진 것이어서 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이동익 박사는 본보와의 e메일 인터뷰에서 “PDE5와 PDE9를 동시에 활용하면 비후성 심장 질환을 포함한 심부전 치료에 ... ...
한국형 웹하드 기술 개발… “성능·용량 한 번에 잡았다”
2015.03.18
미국‘EMC’ 등에서 개발한 바 있으나 이 기술은 40~50% 가격 수준으로 공급이 가능한데다
기존
제품에 비해 유지보수비용 역시 낮아질 것으로 보인다. ETRI 측은 이 기술을 국내 데이터 서비스 업체인 LG유플러스의 ‘U+ Box’ 클라우드 서비스에 지원하며 상용화에 필요한 기술 검증에 성공했다. 1200만 ... ...
암 전이 환경 그대로 모사하는 ‘인공 세포막’ 개발
2015.03.18
알아내기 힘들었다. 반면 TNT 멤브레인은 두께가 500㎚(나노미터·1㎚는 10억 분의 1m)로
기존
막 대비 20분의 1로 얇고 다공성으로 이뤄져 있어 세포간 물질 교환이 신체 내에서와 유사하게 일어난다. 실제로 연구팀은 TNT 멤브레인을 이용해 암이 전이되는 과정에서 암세포가 주변의 정상세포와 주고받는 ... ...
동아사이언스-한국과학창의재단 SW 교육 MOU 체결
2015.03.18
교육과정에 들어가는 SW 교육은 문서작성 프로그램이나 프로그래밍 언어를 가르치던
기존
의 컴퓨터교육에서 벗어나 다양한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활용해 자료를 수집·분석한 뒤 효율적인 문제 해결 방법을 설계하는 창의적이고 논리적인 사고력을 함양하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 양측은 이번 ... ...
5cm 크기 10분 만에 인쇄하는 3D프린터 개발
2015.03.17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 교수팀과 그가 2013년 설립한 3D프린터 벤처 ‘카본3D’사는
기존
3D프린터의 단점을 극복하고 10분 만에 5cm짜리 사물을 프린팅하는 고속 3D프린터 ‘클립(CLIP, Continuous Liquid Interface Production)’을 개발해 ‘사이언스’ 20일자에 발표했다. 동시에 드시몬 교수는 이 ... ...
광자 한꺼번에 ‘순간이동’ 성공
2015.03.17
얽혀있는 상태라는 것이 확인돼 많은 광자들을 순간이동 시킬 수 있었다. 정 교수는 “
기존
에 알려진 한계를 넘어 양자상태로 존재하는 많은 광자들을 한꺼번에 순간이동 시키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했다”며 “양자컴퓨터의 확장성을 개선하는 데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 ...
이전
1094
1095
1096
1097
1098
1099
1100
1101
110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