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현존
존재
생존
현재
뉴스
"
기존
"(으)로 총 11,917건 검색되었습니다.
‘비스페놀A 프리’의 진실
2015.04.13
검토해야 한다는 것이다. 해설은 이런 성공적인 사례로 목재보존제 대체를 들고 있다.
기존
에 목재보존재로 쓰이던 CCA는 크롬과 비소를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발암성 등 위험성이 문제가 됐다. 따라서 이를 대체해 구리와 암모늄염 구조인 ACQ라는 화합물이 도입됐다. ACQ는 흰개미 퇴치 등 ... ...
‘페이스북’ 너무 많이 보면 우울증 생길 수도
2015.04.08
남들과 자신을 비교하는 사회적인 비교의식이 우울증상과 관련 있다는 연구 결과는
기존
에도 있었다. 하지만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와 관련된 연구는 최근 들어서야 시작됐다. 연구진은 두 단계로 나눠 연구를 진행했다. 우선 실험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페이스북 사용 시간과 우울증상의 ... ...
플라스틱에 그래핀 섞어 공기 차단 성능 240배 ↑
2015.04.07
고분자재료보다 강도나 탄성이 높고 기체 차단 성질은 240배나 높아졌다. 이 소재는
기존
복합소재가 산소 및 수증기 등의 가스를 효과적으로 차단하지 못해 활용이 어려웠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 각종 첨단기기 제조에 큰 보탬이 될 것으로 보인다. 제품의 수명이나 성능을 보호하는 ... ...
단 1분 만에 충전, ‘꿈의 배터리’ 나온다
2015.04.07
양극을 그래핀으로 만든 알루미늄 전지를 비교적 간단한 공정으로 만들었다.
기존
알루미늄 전지는 충·방전을 100번 거치면 전압이 떨어졌지만, 연구팀이 개발한 전지는 7500번 충·방전 후에도 안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알루미늄 전지가 1000번 이상의 충전을 버틴 경우는 이번이 처음이다. ... ...
[서울모터쇼 영상]세계 최고 수준 로봇…혼다 ‘아시모’가 왔다
동아닷컴
l
2015.04.07
모터쇼에 느닷없이 로봇이 등장했다. 투박하고 딱딱한
기존
로봇 이미지를 떠올리면 오산이다. 움직임이 너무나 자연스러워 오히려 낯설기까지 하다. 기본적인 걷기는 물론 다양한 몸동작으로 사람을 닮아가고 있는 혼다의 휴머노이드 로봇 ‘아시모(ASIMO)’는 어디까지 진화했을까. 지난 2일 ... ...
암덩어리 중심까지 약물 전달… 나노기술로 항암제 효과 높였다
2015.04.06
단점을 해결해 종양 전체에 약물이 퍼질 수 있는 약물전달 시스템을 새롭게 개발했다.
기존
항암제의 효과를 큰 폭으로 높여 암 치료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박지호 KAIST 바이오 및 뇌공학과 교수팀은 종양 전체에 약물이 골고루 전달되게 해 항암효과를 현저히 높일 수 있는 새로운 ... ...
아파트 5층 높이 TBM, 해저 100m 아래서 하루 6.6m씩 뚫어
동아일보
l
2015.04.06
했다. 터널이 2017년 4월 개통되면 하루 12만 대가 통행하며 보스포루스 해협 통과 시간이
기존
100분에서 15분으로 크게 줄어들게 된다. SK건설 관계자는 “SK건설의 이름을 걸고 세계 최초 대륙 간 해저터널 공사를 성공적으로 마치겠다”고 말했다. SK건설은 지난해 신규 국가 진출에 잇달아 성공해 약 ... ...
몸속에서 완전 분해되는 전자소자 개발
2015.04.05
몰리브덴, 텅스텐 등을 이용해 생체 전자소자를 만들었다. 이번 연구에 사용된 금속은
기존
관상동맥 시술이나 뼈 고정용으로 사용되는 이식 소재로 안전성이 확보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팀이 개발한 전자소자는 기판을 보호하는 보호막으로 생분해성 금속을 이용해 체내 극한 환경에서도 ... ...
내 면역세포로 암 치료, 어디까지 왔나
2015.04.05
생체 내부 상태 변화를 측정할 수 있게 돕는다. 연구진은 이번에 개발한 나노 센서가
기존
의 자기공명영상(MRI) 장치보다 수백 만 배 정밀하게 생체 내부를 측정할 수 있다고 밝혔다. ... ...
세계 최고 효율 열전(熱電) 소재 개발
2015.04.03
IBS) 나노물리연구단 연구위원(사진 가운데·성균관대 에너지과학과 교수)은
기존
보다 2배 가까이 효율이 높은 새로운 열전 소재를 개발해 학술지 ‘사이언스’ 3일 자에 발표했다. 이번 연구에는 성균관대와 삼성전자 종합기술원이 공동 참여했다. 열전 소재는 이론적으로 열만 있으면 전기를 만들 ... ...
이전
1090
1091
1092
1093
1094
1095
1096
1097
10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