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현존
존재
생존
현재
뉴스
"
기존
"(으)로 총 11,927건 검색되었습니다.
55cm 물체도 식별… 적외선 탐지기능 갖춘 ‘한국의 눈’ 우주 올랐다
2015.03.27
인식한다. 이 정도 해상도면 우주공간에서 지상에 사람이 서 있는지 식별할 수 있다.
기존
위성에 비해 더욱 정밀한 영상을 얻기 위해 임무 궤도도 낮췄다. 아리랑3A호의 임무궤도는 528km로 685km에 자리 잡은 아리랑3호보다 100km 이상 낮다. 그만큼 지구를 도는 속도도 빨라지기 때문에 여기에 대응해 ... ...
거짓말 잘하는 비결
과학동아
l
2015.03.26
문법이었기 때문이다. “저는 아예 축구를 처음 하는 사람들과 경기할 때 어렵더군요.
기존
문법에서 완전히 벗어나 있거든요.” 윤 교수는 덧붙여 말했다. ● 나도 거짓말 한다는 걸 인정하자 좋은 거짓말은 진실에서 아주 조금만 떨어져 있어야 한다(다음 장 Interview 참조). 그리고 상대방이 속은 ... ...
육상통합시험장에 가다
과학동아
l
2015.03.26
온도가 32℃를 넘지 않도록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그래서 최근에는
기존
의 납-산 축전지 대신 리튬이온 연료전지를 사용하는 기술이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연료전지는 외부 공기를 흡입하지 않고도 전력을 생산할 수 있어 AIP 조건을 만족하면서 동시에 환경오염 문제로부터도 ... ...
[오늘, 아리랑 3A호 발사] 대전 지상국과 오후 1시 4분 교신, 최종 성공
2015.03.26
감지해 도시 열섬 효과나 산불 발생, 밤에 움직이는 구름 등을 관측할 수 있다.
기존
아리랑3호보다 더 정밀한 해상도 0.55m급 전자광학카메라도 장착돼 지상에 서있는 사람의 대략적 모습도 확인이 가능하다. ... ...
[오늘, 아리랑 3A호 발사] 발사 성공 1차 확인…노르웨이 지상국 교신 성공(4보)
2015.03.26
감지해 도시 열섬 효과나 산불 발생, 밤에 움직이는 구름 등을 관측할 수 있다.
기존
아리랑3호보다 더 정밀한 해상도 0.55m급 전자광학카메라도 장착돼 지상에 서있는 사람의 대략적 모습도 확인이 가능하다. ... ...
차세대 양자점 TV 성능 3배 더 UP!
2015.03.25
구동도 가능하지만 소비전력이 높아서 발광 효율을 개선할 필요가 있었다. 연구진은
기존
양자점 LED에서 주로 양극 전자로 사용하던 산화주석인듐(ITO)을 음극으로 바꾸는 ‘극치환 방식’을 이용해 발광 효율을 개선했다. 산화주석인듐에 고분자 물질을 코팅해 전자를 발생시키는 데 들어가는 ... ...
“의사 그만두고 더 많은 사람 도울 ‘스마트 벨트’ 만들어요”
2015.03.25
수 있는 앱을 만들었다. 하지만 강 씨의 첫 번째 벤처는 성공하지 못했다. 강 씨는 “
기존
운동보다는 재미있었지만 진짜 게임보다는 재미가 없어 실패했던 것 같다”고 밝혔다. 벤처사업에서 실패한 뒤 강 씨는 잠시 의사의 길로 돌아갔다. 임상 경험을 얻고 싶었던 그는 연세대 세브란스병원에서 20 ... ...
사물인터넷 시대 떠오르는 직업은?
동아일보
l
2015.03.25
설치하는 충전기를 설계해 사용자가 필요한 만큼 시간을 쓸 수 있도록 했다. 김 대리는 “
기존
에 없던 제품군이 생겨나는 시대에 사람들이 한 번도 써보지 않은 제품을 어떻게 하면 쉽게 사용할 수 있게 할 것인가를 고민하는 게 UX 디자이너의 역할”이라고 말했다. 곽도영 기자 now@donga.com [화제의 ... ...
위조 불가능한 ‘인공 미세지문’ 개발
2015.03.25
μm(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 분의 1m) 크기의 소형 식별자를 넣는 방식이 있다. 하지만
기존
의 마이크로 식별자는 식별 방식이 바코드처럼 쉽게 예측할 수 있어서 위조 위험이 높았다. 연구진은 사람의 지문에 주목했다. 지문처럼 복제가 불가능하면서도 다양한 패턴을 만들 수 있는 ‘인공 ... ...
두둥! 그래핀 위에서 저절로 자라는 나노와이어 발견
2015.03.24
도쿄대 박사, 김관표 UNIST 교수, 정후영 UNIST 교수다. - UNIST 제공 이번 연구 결과는
기존
학설을 뒤집는 획기적인 발견이다. 지금까지는 그래핀의 표면 위에서 특정 무기물질이 스스로 정렬되거나 조립되지 않는다고 알려져 있었다. 무기물질 나노와이어는 이제 막 연구되기 시작한 신물질로 전기 ... ...
이전
1093
1094
1095
1096
1097
1098
1099
1100
11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