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평면"(으)로 총 1,173건 검색되었습니다.
- 새기술 새발명과학동아 l1992년 11호
- 뒤 돼지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평면도를 컴퓨터에 그리도록 돼 있다. 그러면 컴퓨터는 이 평면도를 영상분석해 돼지의 체중을 계산하는데, 그 오차는 5% 이내다.이 장치를 제대로 사용하려면 돼지들의 꼬리에 전자꼬리표를 달아야 한다. 각각의 돼지들을 식별하기 위해서다. 실소연구소는 일단 돼지의 ... ...
- 태극마크를 둘로 나눠라!과학동아 l1992년 11호
- 2백70˚<3백60˚이다. 이 경우는 정육면체가 된다. 4개를 모으면 정육각형 3개 모은 것처럼 평면이 돼 버린다. 정삼각형으로는 세가지 정다면체를 만들 수 있다. 정삼각형의 내각은 60˚이므로 60˚X3˚=1백80˚<3백60˚, 60˚X4˚=2백40˚<3백60˚, 60˚X5˚=1백80˚<3백60˚의 세 경우가 각각 정사면체 정팔면체 ... ...
- 컴퓨터가 정식과목 되지 않는 한 좋은 성적 어렵다과학동아 l1992년 09호
- 아주 쉽게 풀 수 있지만 컴퓨터로 구현하기 어려운 경우가 대부분이다.예를 들어 보면 평면상에 수많은 점을 주고 가장 가까운 두 점을 찾으라는 문제도 있을 수 있고, 주어진 점들을 둘러싸는 볼록 다각형을 만들라는 문제도 있을 수 있다. 이런 문제들은 사람의 경우 한번에 전부를 보기 때문에 ... ...
- 새로운 완전수를 찾아서과학동아 l1992년 09호
- 7}{10}$ ③ $\frac{2}{3}$ ④ $\frac{9}{14}$(3) 한 물체가 z=$\frac{h}{2}$와 z=$\frac{h}{2}$로 표시되는 두 평면에 의해 정해져 있다. 여기서 z는 물체의 축 방향좌표이다. 또 이 사이의 면들은 다음 식으로 면적(A)이 주어져 있다.A=${a}_{0}$${z}^{3}$+${a}_{1}$${z ...
- 밝은 성단(星團)과학동아 l1992년 08호
- 많게는 수천개의 별들이 느슨하게 배열되어 있다. 개방형 별무리들은 흔히 은하수 평면에 가깝도록, 혹은 은하수의 나선형 끝부분에 위치하고 있다. 우주의 거대한 시간척도를 따를 때 개방형 무리들이 비교적 짧은 수명을 갖고있는 이유는 은하수를 따라 움직이며 먼지구름을 통과하면서 ... ...
- 2 외부은하 나선팔은 별탄생의 요람과학동아 l1992년 07호
- 나타나고 있음을 보아서도 나선은하에 속한 별들은 최근에 형성된 종족I 별들이 은하평면에 많이 분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나선팔이 나선은하에서 어떻게 형성되었느냐에 관한 학설은 크게, 주위은하의 조석력 때문이라는 이론과 밀도파 이론으로 나뉘고 있다. 조석력 이론에 따른 것은 ... ...
- 2 흑연 다이아몬드에 이은 제3의 화합물 ${C}_{60}$과학동아 l1992년 07호
- 결합, 벌집구조를 갖는 육각형의 고리로 이뤄진 2차원의 판상 결정구조를 갖는다. 같은 평면에 위치한 탄소사이의 결합은 강하나 위아래로 배열된 이들 판상구조 사이에는 반 데르 바알스(van der Waals) 인력으로만 연결된 아주 약한 결합 형태를 갖는다. 이러한 판상구조사이의 약한 결합력 대문에 이 ... ...
- 청동기인의「돌달력」 스톤헨지과학동아 l1992년 07호
- 있다는 것, 그보다 작은 원을 그리는 돌기둥이 서 있다는 것, 원형 돌기둥 안쪽으로 평면 ㄷ자모양의 구조물은 동북쪽으로 열려있는데 열려진 동북쪽 멀리 큰 돌(Heelstone)하나가 서 있다는 것 등을 밝혀냈다. 그것만 가지고는 누가 언제 왜 이런 엄청난 규모의 구조물을 세웠는지 명쾌하게 설명할 수가 ... ...
- 지구가 끄는 힘, 중력의 의미과학동아 l1992년 06호
- 얻는다. 식 (5)로 주어지는 거리 s와 시간 t사이의 그래프는 가로축이 t이고 세로축이 s인 평면에서 어떻게 그려지는지 알아 보자. 식 (5)는 s=(a/2)[t+(${v}_{0}$/a)]²- ${v}_{0}$²(2a) (6)과 같이 변형될 수 있으므로, 꼭지점이 (-${v}_{0}$/a,-${v}_{0}²$/(2a))이고 기울기가 a/2인 ...
- 화면속에 뛰어들어 실제체험 느끼는 가상현실의 세계과학동아 l1992년 05호
- 스케치 패드를 개발, 컴퓨터 그래픽분야의 선구자가 된 미국 MIT의 아이 반 서덜랜드는 평면적인 화면(2차원 디스플레이)에서 진일보한 화면을 탄생시켰다. 그는 투영된 피사체를 손으로 만질 수 있는 '최종적인 디스플레이'에 대한 연구를 1965년부터 시작했는데, 1968년에는 HMD(Head Mounted Display)를 ... ...
이전10410510610710810911011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