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닥
밑바닥
평지
밑면
저변
밑바탕
근본
d라이브러리
"
평면
"(으)로 총 1,173건 검색되었습니다.
태양사진 어떻게 찍나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피할수 있는 방법이 카메라용 ND필터를 사용하는 것이다. 이것은 광학적으로 완벽한
평면
이므로 망원경의 대물렌즈 앞에서 빛을 차단하여도 상이 일그러지거나 두개로 맺히는 현상이 없다. 빛 차단 효과는 용접용 필터보다 못하므로 두개 정도를 겹쳐서 사용해야 한다.태양광을 죽이는 두번째 ... ...
생물로부터 첨단기술 배운다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상태간을 갔다왔다하면서 1과 0을 나타내게 되는 것이다.그런데 이런 단백질은 종래의
평면
인 금속이나 실리콘재료와는 달리 입체모양을 하고 있기 때문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능력도 1만배나 많아진다. 또 5㎤의 부피 속에 약 1조개나 되는 이런 단백질분자를 수용할 수 있다. 그래서 이런 ... ...
「홈팩스시대」 일단 주춤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단어를 '0100101010101000' 같은 이진법 코드로 변환해 보내지만, 팩스에서는 '사나이'가 써진
평면
을 가로 세로 수많은 점들의 집합으로 이해하고 각각의 점들이 흑이냐 백이냐에 따라 구분해 전송한다.팩시밀리는 전송시간에 따라 G1 G2 G3 G4 네단계로 구분된다. A4용지 한 장을 전송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 ...
우주 탄생의 비밀, 중력파 탐지로 추적한다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평면
을 예로 들자. 그리고 이
평면
상에 삼라만상이 존재 한다고 상상해 보자. 이제 이
평면
을 찢지않는 한도 내에서 마음대로 부드럽게 휘게 하면 휘어진 2차원 곡면을 만들 수 있다. 한 걸음 더 나아가서 이번에는 이 휘어진 곡면이 고정된 것이 아니고, 어떤 법칙을 따라서 역동적으로 수축이나 ... ...
푸른 생명이 넘실대는 유일한 행성 지구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옴니맥스 영화관이 기다린다.옴니맥스란 아이맥스와 기본 시스템은 같으나, 아이맥스가
평면
스크린을 사용하는 반면에 옴니맥스는 1백80도 돔화면을 사용하는 것이 다르다. 관객의 입장에서 보면 좌우의 벽면과 천장 모두가 화면인 셈. 따라서 관객들은 비스듬히 누워서 화면을 감상하게 된다. ... ...
3차원 전자학술지 등장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또 컴퓨터를 활용함으로써 논문자체에도 엄청난 변화가 수반됐다. 과거에는 논문이
평면
(종이)위에 작성돼 극히 단조로웠는데 컴퓨터 모니터 상에 나타나는 논문에는 애니메이션과 시뮬레이션기법이 도입되기 때문에 사진 자료 도표처리가 돋보인다. 심지어는 논문에서 음악소리가 들리기까지 ... ...
프랑스의 미래도시 퓨처로스코프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영상관을 들어가 보자. 이곳은 유럽 최대의 아이맥스 영화관으로 70㎜ 필름을 6백㎡의
평면
스크린 위에 영사한다.옴니맥스(Omnimax)영상관도 눈에 띈다. 직경 29m의 구형체를 40m 높이의 유리로 감싸고 있는 형태의 건물이다. 이 영상관에 앉으면 백색의 알루미늄판으로 된 반구형(半球型)의 스크린에 ... ...
35㎜ 콤팩트 카메라시대 열려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있다(전문가용은 이미 이 문제를 해결했다). 또한 어두운 곳이나 피사체가 요철이 없는
평면
이면 초점의 기능이 상실되는 경우가 있다. 이런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최근 최초로 콤팩트 카메라에 적외선 감지장치가 달린 카메라가 나왔다. 이 적외선 감지장치는 카메라의 셔터를 가볍게 누르면 ... ...
맨눈과 망원경의 차이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주변부가 오목렌즈로 상당히 복잡한 형태를 하고 있다(맨눈으로는 구별이 안된다).
평면
형태의 보정판을 사용하지 않고 초생달처럼 오목과 볼록형태의 보정판을 사용한 막스토브식 천체망원경이라는 것도 있다. 어느쪽이든 간에 경통이 작은 것이 최대의 장점이다. 굴절망원경이나 뉴턴식 ... ...
2. 미래의 반도체 어떻게 달라지나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다른 3차원 집적화를 위한 새로운 연구가 시작되고 있다. 단결정 기판에 전자회로를
평면
배열한 후 이를 수μ 정도의 얇은 단결정의 막(膜)으로 만들어 적층하는 것이다. 즉 2μ 두께의 박막을 1㎜까지 적충하면 5백배에 가까운 집적도를 구현할 수 있다. 즉 1GD램 기억소자를 수직 집적하여 5백GD램의 ... ...
이전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