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정
한정
특별
d라이브러리
"
특정
"(으)로 총 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본래 난자 안에 저장돼 있는 RNA는 일부가 비활성화된 상태입니다. RNA의 꼬리 부분에
특정
단백질이 붙어서 RNA가 단백질로 번역되는 것을 막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수정이 이뤄짐과 동시에 이 단백질들이 RNA에서 떨어져나갑니다. 이렇게 활성화된 RNA가 단백질로 번역돼 수정란의 세포분열을 ... ...
[Issue] 미역국 먹으면 대학 떨어진다?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반복적 멜로디와 가사로 중독성이 강한 후크송(hook song)은 수험생에게 치명적입니다.
특정
멜로디와 리듬이 귀에 맴도는 현상을 ‘귀 벌레 현상’, 전문적으로는 ‘비자발적 음악의 형상화(INMI·INvoluntary Musical Imagery)’라고 하는데요. 이런 현상이 뇌의 대뇌피질 구조와 관련있다는 연구결과가 ... ...
Part 2. 슈퍼맨의 히트비전 고출력 광섬유 레이저로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항공기를 격추하는 미사일은 대부분 적외선 추적 미사일이다. 즉, 목표물에서 나오는
특정
파장을 미사일이 ‘보고’ 이를 쫓아가 격추한다. 이때 레이저를 쏘면 미사일이 쫓는 파장을 교란할 수 있다. 현재 미 공군이 운용하는 대통령 전용기 ‘에어포스 원’에 이런 기술이 적용돼 있다. 레이저를 ... ...
Part 6. 사이보그의 캐논포 바이오닉 팔로 해결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많다. 우선 ‘뇌의 언어’를 이해해야만 한다. 지난 100여 년의 신경과학 연구로부터
특정
한 신경세포가 활성화되면 세포 내에서 활동전위의 생성 빈도가 증가한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하지만 마치 모스 부호와도 같은 신경 암호를 해독할 수 있는 실마리를 전혀 찾지 못하고 있다. 신경세포가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세계여행 가장 싸게 하는 이동 경로는? 외판원 문제
수학동아
l
2017년 11호
말합니다. 그 중에서도 NP-완전은 NP 문제중에서 이 문제를 풀면 다른 NP 문제를 모두
특정
횟수 안에 풀 수 있다고 증명된 문제지요. 외판원 문제가 NP-완전이라는 사실은 1972년 미국 컴퓨터과학자 리처드 카프가 증명했습니다. 그런데 현재 많은 학자들이 P≠NP라고 생각합니다. 즉 외판원 문제를 푸는 ... ...
[Origin] 남자 청소년 열에 아홉은 근시?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의대 안과 교수는 “밝혀진 근시 유전자는 대부분 고도 근시 가족을 연구해 알아낸
특정
유전자”라며 “이런 유전자들을 전체적으로 조종하는 유전자가 따로 있을 것이라는 정도만 추측하고 있다”고 말했다. 책, 스마트폰이 원인일까?최근에는 근시가 환경적인 요인에 의해 발병한다는 주장이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건 분명한 사실입니다. 마지막으로 유도만능줄기세포는 신약 개발에도 쓰입니다.
특정
돌연변이가 병을 일으키는 경우, 이 병을 앓고 있는 환자의 체세포를 떼어내 유도만능줄기세포를 만듭니다. 이것을 원하는 세포로 대량 분화시켜 1000가지가 넘는 신약 후보물질에 노출시켜 봅니다. 그중 세포가 ... ...
Part 2. “털! 이번 生엔 널 없애기로 했어”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이용해 모간이 성장한다. 김 원장은 “모발 성장은 성장기와 퇴행기, 휴지기 순으로
특정
주기를 갖고 진행된다”며 “모근이 자라는 성장기에 제모 효과가 가장 좋기 때문에 이 시기에 맞춰 제모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모낭 없애는 레이저 제모를 선택하다몇 차례 상담 뒤 기자가 선택한 ... ...
[Origin] 쇼미더맛 제6의 맛 쟁탈전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우선 수많은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느끼는 특징이 있어야 한다. 즉,
특정
한 맛을 내는
특정
분자가 존재해야 한다. 그리고 이 분자는 혀에 있는 미각 수용체와 결합해야 한다. 미각 수용체가 받아들인 맛 정보는 촉각 정보를 전달하는 3차신경이 아니라 미각신경을 따라 대뇌까지 전달돼야 한다. 이들 ... ...
Part 2. “소변에서 일부 화학물질 농도 2~3배 증가”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이미 포함된 방부제는 표기하지 않아도 된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최 교수는 “
특정
성분 표시가 누락되면 이 성분에 특히 민감한 소비자는 모르고 피해를 입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연구팀은 동일한 효과가 있는 화학물질이 2개 이상 포함된 제품도 확인했다. 젤형 1개에서 소르빈산과 ... ...
이전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