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정
한정
특별
d라이브러리
"
특정
"(으)로 총 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한눈에 보는 교과 맵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9호
‘위선’, 세로선은 ‘경도’를 나타내는 ‘자오선(경선)’이지요.이 둘을 사용하면
특정
지점의 위치를 정확히 나타낼 수 있어요. 여기서 위도의 기준은 적도예요. 그렇다면 경도의 기준은 어디일까요? 바로 영국의 그리니치 천문대에 있는 자오선이랍니다.15세기 후반부터 유럽 사람들은 배를 ... ...
[과학뉴스] 마라톤 선수 똥에는 보물이 숨겨져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8호
사는 미생물이 들어 있거든요. 그 결과 마라톤 경기 직후 모든 선수들의 배설물에서
특정
미생물의 양이 급격히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어요. 이 미생물은 피로와 통증을 일으키는 ‘젖산’을 분해한다고 알려진 종류였어요. 마라톤처럼 체력소모가 많은 운동을 하면 우리 몸에서는 평소보다 많은 ... ...
[과학뉴스] 패션도 내게 맡겨! 움직이는 액세서리 로봇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7호
않고 움직여요. 마치 브로치나 액세서리처럼 여러 무늬를 만들 수 있고, 벨벳과 같은
특정
한 소재에서는 옷 표면에 자국을 남기면서 그림을 그릴 수도 있어요. 시간이 흐르면 자국은 사라지기 때문에 일회용 즉석 패션이 된답니다. 이뿐만 아니라 키노는 통화 기능이 있어서 전화가 오면 목 근처로 ... ...
[쇼킹 사이언스] 하늘에 UFO가 떴다?! 렌즈구름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7호
때문이지요. 렌즈구름도 같은 원리로 생기지만, 바람이 높은 산을 지나갈 때처럼
특정
한 조건에서만 만들어진답니다. 습기가 많은 강한 바람은 높은 산을 넘어가면 위아래로 움직이며 강력한 소용돌이를 만들어요. 이렇게 불규칙한 공기의 흐름을 ‘난류’라고 하고, 산을 넘을 때 생기는 난류를 ... ...
Part 5. 냉동인간, 우주로 향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6호
인공 동면은 냉동 인간과 완전히 같은 기술은 아니에요. 하지만 체온을 내리기 위해
특정
물질을 몸에 넣고 차갑게 얼린다는 점에서 매우 비슷해요. 또 두 기술 모두 몸의 활동을 최소로 했다가 원하는 시간에 다시 깨어나 정상 생활을 하는 걸 목표로 한답니다. 실제로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 ...
Part 2. 얕보면 큰코다친다! 센 종이의 등장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4호
교수팀이 골칫덩이 리그닌으로 플라스틱을 만드는 데 성공했어요. 연구팀은 리그닌을
특정
한 화학물질과 반응시켰어요. 그러자 원래 따로 따로 떨어져 있던 리그닌 분자들이 사슬처럼 이어졌지요.이렇게 리그닌 분자들을 길게 엮으면 단단하게 굳으며 일종의 플라스틱이 돼요. 기존 플라스틱과 ... ...
[Focus News] 피내용과 경피용 뭘 맞아야 하나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PPD)을 피부에 주사한 뒤 48~72시간에 피부반응을 판독하는 검사다. TST 검사에서 피부에
특정
반응이 나타나지 않아야 음성으로 인정된다. 피내용과 경피용, 안전성과 효과 같아피내용 BCG는 일반주사기로 백신 0.05mL를 피부의 표피 아래층, 진피에 주사하기 때문에 접종 직후 1개의 볼록한 흔적이 ... ...
[Issue] 동물정신과 측면에서 본 공격성과 치료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아프기’ 때문에 폭발적인 공격성을 보이기도 한다. 뇌에서 세로토닌과 같은
특정
신경전달물질이 부족해지면 개들은 충동성 조절이 되지 않는다. 이런 개들은 수의사의 진단을 바탕으로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 등과 같은 약물치료를 통해서 부족한 ... ...
Part 2. AI, 인공신경망으로 뇌 뛰어넘나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알기 어렵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딥미러의 추론 과정을 확인하기 위해 얼굴 인식의
특정
단계에 저장된 이미지를 확인한 적이 있다. 윤 책임 연구원은 “사진에서 얼굴의 특징값을 일일이 뽑아내 얼굴을 인식하는 과정과 유사한 형태로 얼굴을 인식하고 있었다”고 설명했다. 딥미러처럼 ... ...
Part 1. 뇌는 어떻게 얼굴을 인식하나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베리나 애니스톤의 얼굴 사진을 볼 때 반응하는 신경세포가 존재했다. 마침내 뇌에서
특정
인물의 얼굴을 기억하고 구별해내는 역할을 담당하는 세포를 찾은 것이다. 연구팀은 얼굴 인식 세포가 얼굴 사진에만 반응하는 것이 아니라 단순화시킨 얼굴 스케치나 심지어 그 배우의 이름을 적어놓은 ... ...
이전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