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특정"(으)로 총 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터뷰] KAIST 입학처장 신하용, 기본기 갖춘 ‘능력자’가 유리과학동아 l2018년 01호
-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가장 중요한 능력을 융합으로 보고, 2018학년도부터는 2학년 때 특정 전공 대신 융합기초학부를 선택할 수 있는 제도도 마련했다. 신 입학처장은 “고등학교에서는 기본기를 다진다는 생각으로 인문학을 포함해 여러 분야에서 기초 실력을 기른 뒤 여러 사람과 대화하는 능력을 ... ...
- [과학뉴스] 3D 프린터로 ‘살아있는 문신’ 인쇄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나무 모양을 인쇄했다. 나무 가지마다 서로 다른 화학물질에 반응하는 세포가 배치됐다. 특정 화학물질과 반응하면 가지에 불이 들어온다. 향후 실시간으로 화학물질 오염, 산성도(pH)나 온도 변화 등을 감지하는 센서로 응용할 수 있다. 연구진은 이 패치에 ‘살아있는 문신’이란 이름을 붙였다. ... ...
- [과학뉴스] 세상에서 가장 작은 ‘DNA 모나리자’과학동아 l2018년 01호
- 1m)에 불과하다. 룰루 치엔 미국 캘리포니아공대 교수팀은 DNA를 종이접기 하듯 조합해 특정 구조물을 형상화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국제학술지 ‘네이처’ 2017년 12월 6일자에 발표했다. 인체의 유전정보를 지닌 DNA를 이용하면 분자기계처럼 나노 크기의 구조물을 만들 수 있다. 연구진은 이 특성을 ... ...
- 학생부의 의미와 중요성, ‘학종’ 선발 왜 늘어나나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넘어, 그것에 대해 질문하고 토론하는 공부를 하게 된다. 그 과정은 학교생활기록부에 특정한 형태로 기록될 것이고, 각 대학의 입학사정관들은 그 기록을 통해 학생들을 이해하고 진단할 것이다. 따라서 학생부에는 얼마나 성실하게 고교생활을 보내왔고, 자신의 진로에 대해 얼마나 고민하고 또 ... ...
- Part 1. 30대 중반, 제 건강 상태는요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장내미생물 정보를 토대로 몸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고 말했다. 예컨대 정상인과 특정 질병을 앓고 있는 환자들의 장내미생물 분포 데이터와 검사를 받은 사람의 장내미생물 분포를 비교해서 어느 쪽에 가까운지 진단하는 방식이다. 이 소장은 “환자군의 장내미생물 분포를 반영한 위험도를 10 ... ...
- [Career] ‘전자약’으로 노화 걱정 덜어드립니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돌입했다. 지금까지는 실험에 필요한 기본 장비를 개발하는 데 힘을 쏟았다. 가령 세포가 특정한 자극 조건에 따라 어떤 반응을 보이는지 하나하나 확인하는 방식으로는 시간과 비용이 너무 많이 든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팀은 여러 개의 세포를 한꺼번에 실험할 수 있는 바이오 칩을 3년 동안 ... ...
- 시계장인은 수학천재? 태엽 시계의 반란수학동아 l2018년 01호
- 계산해 날짜를 알려주는 ‘퍼페추얼 캘린더’, 깜깜한 밤에도 시간을 알 수 있도록 특정 시간이 되면 종을 울리는 ‘미닛 리피터’는 뚜르비옹과 함께 3대 추가 기능으로 꼽힌다. 달의 모양을 보여주는 ‘문페이즈’와 시간을 재는 ‘크로노그래프’도 대표적인 추가 기능이다. 기계식 시계는 ... ...
- Part 5. 빛 공해를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3호
- NSF)과 국립광학천문대(NOAO)가 하고 있는 시민과학 프로젝트예요. 정해진 날짜에 특정 별자리를 밤하늘에서 확인하고, 위치와 대기 상태 등을 함께 기록해 자료를 모아요. 현재 12월 9일부터 18일까지 밤 8시~10시 사이에 하늘에서 페가수스자리를 확인하는 미션이 진행 중이랍니다. 관측 자료는 ... ...
- [과학뉴스] 투명한 태양 전지판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연구팀이 투명한 태양 전지판을 개발했어요. 연구팀은 태양 전지판 표면에 특정 파장의 햇빛을 흡수하는 물질을 코팅했어요. 이 물질은 적외선과 자외선 파장만을 모아서 전기로 바꾸지요. 사람이 볼 수 있는 가시광선은 흡수하지 않기 때문에 우리 눈에는 투명하게 보인답니다. 투명한 태양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연구일지에 적힌 수수께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조혈모세포의 수가 줄고 점점 지방의 비율이 늘어나요. 그 결과 성인이 되면 골반뼈 등 특정 뼈의 골수에서만 혈구가 만들어진답니다. 이처럼 혈구를 생성할 수 있는 골수를 적색골수, 지방으로 채워진 골수를 황색골수라고 부르지요. 융합 개념 파헤치기 방탄소년단의 노래에 오류가 있다? 없다 ... ...
이전9910010110210310410510610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