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그림"(으)로 총 4,719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바이오 인공장기 시대, 인간 몸에 돼지 장기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이 같은 일은 짧게는 10여 년 사이에 현실이 될 수 있다. 심장이나 간, 대장과 소장, 췌장 등 몸속의 다양한 장기를 만들어 쓸 수 있는 세상이 다가오고 있기 때문이다. 지금은 장기 이식 수술을 받기 위해 다른 사람의 몸에서 건강한 장기를 떼어 와야 한다. 적합한 도너(장기제공자)가 나타날 때까 ... ...
- [Career] 분자기계와 배터리의 효율적인 만남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중앙에 세 개의 둥근 분자가 붙어있고, 이 분자가 위아래로 움직이는 형태다(아래 그림). 때문에 로탁세인은 ‘분자 엘리베이터’라는 별칭을 가지고 있다. 최 교수는 로탁세인을 움직도르래로 이용했다. 배터리의 음극이 팽창하면서 발생하는 장력을 로탁세인의 둥근 분자가 움직도르래처럼 ... ...
- 알고는 있나? 슬링키의 수학스러움수학동아 l2018년 01호
- 줄 하나를 양 손으로 잡고 한쪽 방향으로 계속해서 돌려요. 그러면 어느 순간 그림처럼 끈 전체가 서로 엉키기 시작해요. 그 이유는 고리수=꼬임수+비틀림수(75쪽 고리수와 꼬임수, 비틀림수의 관계 참고)를 만족하기 때문이에요. 줄을 꼬기 시작하면 꼬임수가 증가해요. 줄의 끝을 고정하면 ... ...
- [인터뷰] 위상수학, 느낌 아니까~수학동아 l2018년 01호
- 관한 것이지, 그림에 관한 게 아니라는 거예요. 흔히 애니메이션은 예쁘고 귀여운 캐릭터 그림으로 이뤄진 거라고 생각하지만, 애니메이션에서 중요한 건 움직임이에요. 즉, 애니메이션은 ‘미술’보다 ‘무용’에 가깝다고 생각하면 쉬워요. 움직임이라는 것은 시간과 공간을 어떻게 쪼개 쓸 ... ...
- Part 1. 한눈에 보는 포항 지진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4호
- 지형에서는 흙 알갱이가 서로 잘 닿아 있고, 흙 사이의 공간을 지하수가 채우고 있어요(그림 ➊). 하지만 지진이 일어나면 진동으로 인해 흙 알갱이의 구조가 무너지면서 흙알갱이가 밑으로 가라앉는답니다. 그 결과, 흙 알갱이 사이에 있던 지하수가 위쪽으로 몰리면서 땅을 물렁하게 만드는 거예요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대전 사이언스 페스티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벽에 그려진 그림 위로 둥둥 떠 다니는 정육면체가 나타났지요. 카메라가 벽에 그려진 그림을 인식해 화면에 정육면체를 띄운 거예요. 민준 친구는 가상현실과 증강현실 기술을 체험한 뒤, “진짜보다도 더 진짜 같아서 깜짝 놀랐다”고 말했답니다. 기술 2. 드론, 사람이 갈 수 없는 곳까지 간다 ... ...
- Part 3. 외래 붉은불개미의 습격, 과연 끝났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흙을 뒤섞는 과정에서 깔려 죽었을 것으로 추정했거든요. 여왕개미는 번식 과정(아래 그림)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해요. 그래서 확실히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지요. 실제로 여왕개미가 땅속으로 숨어 못 찾은 것일 수도 있거든요. 또 여왕개미가 낳은 암개미들이 다른 곳으로 날아갔을 가능성도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꿈을 위한 소중한 만남!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1호
- 사막 이야기」에 사인을 받았어요. 작가님은 책에 등장하는 사구아로(Saguaro) 선인장 그림도 그려 주셨어요. 사구아로 선인장은 미국 애리조나와 캘리포니아 등에서 자라는 선인장이에요. 높이가 약 10m가 넘고, 몸통 둘레도 3m나 되는 거대한 선인장이지요. 사구아로 선인장에 대해 궁금해서 자료를 ... ...
- 한눈에 보는 교과 맵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0호
- 최초로 미생물을 발견한 순간이었답니다.레벤후크는 현미경에서 관찰한 것들을 그림으로 꼼꼼히 그렸어요. 그리고 그 결과를 여러 과학 기관에 보냈지요. 그 덕분에 사람들은 미생물의 존재를 알게 되었답니다 ... ...
- Part 4. 로프 없는 엘리베이터, ‘MULTI’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7호
- 레일을 따라 앞으로 나아가야 하지요. 레일 위에 떠 있기 위해서 ‘ㄴ’, ‘ㄱ’ 형태로(그림➊) 맞물린 전자석이 쓰였어요. 레일의 N극과 엘리베이터의 S극에 흐르는 전류의 양을 조절해서, 약간의 틈을 두고 잡아당겨 띄우는 방식이지요. 이렇게 뜬 엘리베이터는 리니어모터를 이용해 앞으로 ... ...
이전1031041051061071081091101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