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그림"(으)로 총 4,71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AI, 인공신경망으로 뇌 뛰어넘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기존 스마트폰에 있는 보안 기능인 비밀자가 일일이 버튼을 누르거나 스크린 위로 그림을 그리거나 센서에 손가락을 갖다 대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하지만 아이폰 X은 카메라에 얼굴을 비추는 것만으로도 스마트폰이 알아서 사용자를 인식한다. 훨씬 빠르고 간편해졌다. 얼굴 인식률도 높다. ... ...
- Part 2. 장난감 연구하는 수학자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있는 장난감이에요. 만화책도 1960~1970년대에 발간된 것을 더 좋아하지요. 지금과는 다른 그림체, 색채를 가지고있어 더 매력적으로 다가온답니다. Q. 교수님에게 장난감이란?‘인생’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 같아요. 20년 세월을 함께 했고, 앞으로도 계속 같이할 테니까요. 수학자로서 은퇴하고 나면 ... ...
- [과학뉴스] 그림을 그리는 대장균?!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만든 적이 있어요. 빛을 비추면 이에 반응한 대장균이 검은색 색소를 생산해서 흑백의 그림을 그렸지요. 이때는 4개의 유전자를 변형했지만, 이번에는 세 가지 빛을 인식하기 위해 18개의 유전자를 변형했답니다.연구를 이끈 크리스토퍼 보이트 교수는 “앞으로 더 다양한 색상의 빛에 반응하는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말하는데요. 그 속에 가늘고 긴 섬모가 마치 물 속 해초처럼 자리하고 있습니다(아래 그림). 이 섬모가 특별한 이유는 시계방향으로 빙글빙글 돌기 때문입니다. 섬모의 이런 움직임은 노드에 차 있는 액체를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흐르게 만듭니다. 이런 액체의 흐름은 주변에 있는 다른 섬모들까지 ... ...
- Part 2. [화학상] 현미경의 ‘혁명’을 이끌다과학동아 l2017년 11호
- 효소의 구조와 작용 원리를 세계 최초로 밝혔다. 헨더슨 박사는 기자에게 그림 한 장을 보여줬다. LMB 연구원들의 공동 연구 관계를 나타내는 네트워크였다. 마치 거미줄처럼 복잡하게 얽혀 있었다. LMB에서는 연구 그룹 간의 장벽이 없다는 게 새삼 피부에 와 닿았다. 그는 “티타임을 포함해 LMB의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순서대로 머리, 목, 가슴, 꼬리 부분의 구조를 만들어내는 기능을 한다는 뜻입니다(아래 그림). 염색체 상의 유전자 위치와 머리-꼬리 축에서 기능을 할 위치가 서로 대응된다는 것이죠. 혹스 유전자는 초파리에만 존재하는 것이 아닙니다. 인간을 포함한 포유류의 배아 발달에도 혹스 유전자가 큰 ... ...
- Part 1. 유연해진 로봇이 온다!수학동아 l2017년 11호
- 피라미드의 절반 정도 높이의 밑 부분만 남기고 뾰족한 윗부분은 모두 잘라내요. 그러면 그림➌과 같은 정육각형층 하나가 돼요. 이를 기본으로 탑을 쌓으면 트위스터의 기본 골격이 완성됩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가볍게, 튼튼하게, 유연하게 기하학으로 만드는 로봇Part 1. ... ...
- Part 3. 넘어지면 단단해지는 기하학 구조수학동아 l2017년 11호
- 5쪽 그림에서 사람이 입은 내복 같은 옷은 사실 로봇이에요. ‘소프트 웨어러블 로봇’이라고 하지요. 딱딱하고 차가워 보이는 강철로 돼 있어야만 로봇 같지만, 앞으로는 부드럽고 유연한 소재로 만들어진 로봇도 많이 등장할 거예요. 스마트 워치나 스마트 안경처럼 사람이 착용할 수 있도록 만든 ... ...
- [수학공감] 여행에서 수학을 발견하다수학동아 l2017년 11호
- 학생들은 환호했다. 보물찾기가 끝난 뒤 학생들은 여섯 가지 게임(따라 찍어요, 릴레이 그림 그리기, 99초 게임, 3×3 마방진 게임, 몸으로 말해요, 3초 안에 말해요) 부스를 돌아다니며 미션을 수행했다. 각 부스별 미션에 성공하면 부스 담당자의 사인을 받을 수 있고, 사인을 많이 받을수록 사칙연산 ... ...
- [Issue] 잘 나가는 크리스퍼 ‘처녀생식’ 논란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잘리고 나면 그 부분에 자연스럽게 붙는다. 이를 ‘상동직접수선’이라고 부른다(아래 그림). 그러면 DNA가 잘린 부분을 수선할 때 변이가 없는 외부 DNA를 주형으로 복제하게 돼 정상 DNA로 교정된다. 그런데 이번 연구에서는 이 외부 DNA 없이 정자의 변이 유전자가 교정됐다. 외부 DNA가 없다면 ... ...
이전1051061071081091101111121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