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그림"(으)로 총 4,719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세포를 찾아볼 수 없습니다. 난할구들끼리 다닥다닥 붙어버리기 때문입니다(아래 그림 1). 놀랍게도 난할구들이 팔을 뻗는 것처럼 세포막을 길게 뻗어 옆 세포를 끌어안는다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doi: 10.1038/ncb2875 단단히 붙은 난할구들은 분열을 거듭하며 ‘상실배(morula)’가 됩니다. 상실배는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타르스키 문제수학동아 l2018년 03호
- 잘라서 정사각형을 만들 수 있을까요? 아래 그림과 같이 정삼각형을 4개 조각으로 잘라서 조립하면 가능합니다. 정삼각형을 다각형으로 확장하면 어떨까요? 평면에 넓이는 같지만 모양은 다른 두 다각형이 있을때 하나를 잘라서 다른 다각형으로 만들 수 있냐는 겁니다. 이 질문의 답은 놀랍게도 ... ...
- [BJ맹추의 수동TV] 기사 속 수학 개념 완전정복수학동아 l2018년 03호
- 모임의 구성원이 수면 함수를 간단하게 표현할 수 있거든요. 오른쪽 위에 있는 그림처럼 저와 다솔, 진호에게 번호를 매겨 각각 1, 2, 3으로 표시하고, 메뉴는 카페모카, 카푸치노, 캐러멜 마키아토, 아메리카노 순으로 1, 2, 3, 4로 표시했다고 해보죠. 이제 이름과 메뉴명 대신 번호를 이용하면 이 ... ...
- 교내 과학경시대회 잘 준비하는 법 (신과람 교사)과학동아 l2018년 03호
- 마음이 잘 맞는 친구들과 미리 준비해 보는 것도 좋습니다. 이밖에도 학교별로 과학그림그리기 대회, 과학독서감상문 대회, 과학에세이 쓰기 대회, 수학과학체험 보고서 쓰기 대회 등 여러 형태의 대회들이 열립니다. 학교 홈페이지 등을 통해 꼼꼼하게 살펴보고 자신의 흥미와 관심에 맞는 대회에 ... ...
- [과학뉴스] 독감 바이러스, 변신 지치지 않는 이유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높이고, 항체와의 결합력은 낮추는 영리한 돌연변이를 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위 그림). 연구팀은 이번 연구결과가 효과적인 독감 백신을 설계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했다. 연구결과는 ‘플로스 병리학(PLOS Pathogens)’ 1월 18일자에 실렸다. doi:10.1371/journal.ppat.100679 ... ...
- [종목1] 스피드스케이팅, 0.1초 단축 위해 찰나의 순간 분석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점과 선만 남는다. 마치 그림 밑에 카본지(먹지)와 흰 종이를 대고 그림을 따라 그리면 그림의 윤곽만 남는 것과 유사하다. 이렇게 재구성한 각 프레임을 하나의 좌표 공간 속에 동시에 나타내면 시간에 따라 움직이는 선수의 동작을 점과 선 형태로 파악할 수 있다. 선수의 관절 각도와 주행 경로 ... ...
- [Origin]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염색체에 붙습니다. 그 결과 염색체가 반씩 찢어지며 세포의 양쪽 끝으로 당겨집니다(위 그림). 이후에 세포질이 분열되면 염색체 분리가 한 번 더 일어나고, 마지막에 23개의 염색체를 갖는 생식세포 4개가 만들어 집니다. 그러나 모든 일에는 오류가 발생할 수 있죠. 염색체 구조에 문제가 있거나, ... ...
- [BJ맹추의 수동TV] 기사 속 수학 개념 완전정복수학동아 l2018년 02호
- 정삼각형과 정오각형의 회전대칭을 반복적용해서 만들 수 있습니다. 아래 왼쪽 그림처럼 정15각형의 꼭짓점 A가 B로 이동하려면, 정오각형이 360°×1/5=72°만큼 회전하는 대칭을 두 번 적용한 뒤(①), 정삼각형을 360°×1/3=120°만큼 반시계 방향으로 돌리면(②) 정15각형을 360°×1/15 =24°만큼 회전하는 ... ...
- [Future] 그림이 열일 하는 메디컬 일러스트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많이 달랐다”고 회상했다. 메디컬 일러스트 한 점을 그리는 데에는 아무리 간단한 그림도 최소 3시간 이상 걸린다. 내용에 따라 한 달 이상 걸리는 경우도 있다. 사람의 목숨이 달려 있어 경각을 다투는 수술실에서 이렇게 오랫동안 스케치를 하기는 불가능하다. 그래서 수술실에서는 주로 연필을 ... ...
- 주기율표와 화학결합의 비밀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인력으로 결합돼 있기때문이다. 예를 들어 NaCl은 Na+ 이온과 Cl- 이온이 오른쪽 위 그림처럼 교차돼 결합해 있다. 그런데 힘이 가해져서 원자열 하나가 움직이면 아래 원자열과 서로 같은 극이 돼 반발력이 발생하고, 결합이 끊어지게 된다. 고체 상태에서는 전기 전도성이 없지만 액체나 수용액 ... ...
이전10010110210310410510610710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