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연구진"(으)로 총 1,272건 검색되었습니다.
- 돼지→인간 장기이식, 가능성 높아졌다동아사이언스 l2017.09.24
- 인해 PERV 혹은 변종 바이러스가 인간까지 감염시킬까 하는 우려는 끊이지 않았다. 연구진은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로 PERV의 흔적을 완전히 없앤 돼지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돼지 유전자 전체를 분석해 25군데에 있는 PERV를 찾아냈다. 이후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를 적용, PERV를 모두 제거했다. 가위로 ... ...
- 토스터 크기 소형 탐지기, “유령을 찾았다!”동아사이언스 l2017.09.17
- 차벽 안에 담겼다. 중성미자 외 다른 입자가 투과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서다. 연구진은 토스터 크기의 이 작은 탐지기로 43년 만에 이론으로만 제기돼 왔던 중성미자의 ‘결맞음 상호작용’을 처음으로 관측하는 데 성공했다. 결맞음 상호작용은 파동 성질을 가진 중성미자가 원자핵을 미세하게 ... ...
- 식물의 ‘잎 크기’ 결정하는 요인은?동아사이언스 l2017.09.03
- 수 없는 식물들도 나타나며, 새로운 분류법의 필요성이 대두됐다. 이를 위해 맥퀴리대 연구진은 대규모 조사에 나섰다. 그 결과 건조하면서 따뜻한 지역, 건조하면서 덥고 빛의 양이 많은 지역, 습하지만 추운 지역에서 자란 식물들이 잎의 크기가 작다는 복합적인 분석 결과를 내놨다. 라이트 ... ...
- 아프리카 하드자 족에겐 있고, 도시인에겐 없는 것은?동아사이언스 l2017.08.27
- 속엔 항생제 내성을 가진 미생물 무리가 하드자 족에 비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1만~1만5000년 전 농업이 발전하며 인류의 식습관이 급격히 바뀐 것이 하드자 족과 같은 전통적 식생활을 하던 선조들과 현대인의 건강 상태의 차이가 생긴 가장 중요한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소넨버그 ... ...
- 최초의 미국인은 어디서 왔을까?동아사이언스 l2017.08.13
- 탐사하고 있다. 인디언들이 이동할 때 휴식처로 활용했을 가능성이 높은 지역이다. 연구진은 해저 침전물을 채취해 ‘해안 이주설’의 근거가 될 유물들을 찾아내고 있다. 사이언스의 리지 웨이드 기자는 “해안 유적지의 발굴이 어려운 것은 대부분의 유적이 현재는 깊은 바다 속에 잠겨 있기 ... ...
- 지퍼가 열리니, 부도체 물질이 반도체로!동아사이언스 l2017.08.06
- 특성을 갖던 폴리레더린은 반도체의 성질을 갖는 나노선이 됐다. 양 교수는 “연구진이 재료로 사용한 레더린의 구조는 DNA의 이중 나선 구조와 같은 생명체의 분자구조에서 영감을 얻었다”며 “화학적 반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화시키는 이 소재를 이용해 향후 청각이나 촉각을 재현할 수 있는 ... ...
- 스트레스에는 ‘잠’이 보약인 이유2017.08.06
- GIB 제공 그런데 잠을 자는 게 스트레스 해소에 도움이 될까? 최근 스위스 취리히 대학 연구진의 연구에 따르면 잠을 자는 게 정서적 충격을 줄이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한다(Kleim et al., 2016). 연구자들은 사람들에게 성적, 육체적 폭력 장면이 가득한 충격적인 영상(영화 ‘돌이킬 수 없는’)과 ... ...
- 2m 길이 DNA가 4㎛ 세포핵에 쏙 들어가는 비밀은동아사이언스 l2017.07.30
- 염색체는 실에 꿴 바늘처럼 긴 사슬 모양의 뉴클레오솜이 결합한 형태로 존재한다. 연구진은 3차원 현미경 구조 분석을 통해 염색질을 조사한 결과, DNA를 응축하는 정도는 DNA를 전사하는 역할의 ‘RNA 역전사효소’의 크기에 따라 달라진다는 점을 확인했다. 오쉬 교수는 “DNA의 고차구조를 ... ...
- 최대 시속 160㎞, 참치 수영실력의 비밀은?동아사이언스 l2017.07.23
- 참치가 가진 림프계의 공간은 참치 외 다른 고등어과 어종들에게서도 발견됐다. 연구진은 정교한 수영실력을 요구하는 어종들이 지느러미의 정교한 조정을 위해 진화적으로 이 공간이 생겨났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파블로브 교수는 “고등어과 어종의 특별한 림프계 구조를 이해하면, 바다 ... ...
- [표지로 읽는 과학_사이언스] 제 2의 메르스 ‘라싸 바이러스’ 구조 밝혔다동아사이언스 l2017.06.04
- 실제 라싸 바이러스 생존자의 항체를 이용해 백신 개발 가능성도 재차 확인했다. 연구진이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바이러스 구조 모델과 이 항체를 결합시켜 가며 확인한 결과, 항체의 90%가 GP1과 GP2 사이의 결합을 방해해 바이러스가 숙주세포에 들어가는 것을 막는다는 기작도 확인했다. 헤스티 ... ...
이전1021031041051061071081091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