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원
스페셜
"
연구진
"(으)로 총 1,272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자기통제를 잘 하는 사람은 있고 그렇지 않은 사람에겐 없는 것
2019.01.05
차이가 있는 걸까?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네덜란드 틸버그대 올가 스타브로바 교수
연구진
은 최근 자기 통제를 잘 하는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이 설정하는 목표의 성격이 조금 다르다는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자들은 세 가지 다른 연구에서 약 1000명의 사람들을 대상으로 자기통제력, 최근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우울증이 말하는 법
2018.12.29
어떤 것인지 살펴본 연구가 나왔다. 영국 리딩대 심리학자 모하메드 알모사이위 교수
연구진
은 온라인에서 회원이 최소 6400명 이상인 총 63개의 우울증, 불안 장애 커뮤니티와 일반 사교 커뮤니티, 당뇨나 암 같은 신체 질환 환자들 커뮤니티를 대상으로 특정 단어들이 등장하는 빈도를 조사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2018년을 빛낸 획기적 연구 성과
동아사이언스
l
2018.12.22
배아가 25가지 종류의 특정 장기세포로 운명이 결정되는 과정을 확인하는데 성공했다.
연구진
은 이 해독기술에 정교한 유전자 교정 도구인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CRISPR=Cas9)’를 접목했다. 시간대별로 배아의 세포들이 자신의 정체성을 찾아가는 발생 과정을 지도로 그리는데 성공했다. 지난 5월 ... ...
"유기농법 확대하면 기후변화 악화된다" 유기농의 역습
동아사이언스
l
2018.12.16
데 일반 농법보다 훨씬 많은 땅이 필요하다. 그만큼 나무를 심을 토지가 줄어든다.
연구진
이 스웨덴 농업위원회의 작물 수확 통계를 분석한 결과 밀을 유기농 방식으로 길렀을 때가 일반적인 농법으로 길렀을 때보다 단위 작물당 탄소배출량이 70%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완두콩도 유기농의 ... ...
[표지로 읽는 과학] 현실로 성큼 다가온 양자 네트워크
동아사이언스
l
2018.12.15
일대 일로 두 사용자간에 정보를 주고 받는 수준이었다. 호주 양자광학및양자정보연구소
연구진
은 양자얽힘 상태를 이루고 있는 단일 양자를 4명의 사용자가 동시에 주고받게 하는데 성공했다. 다자간의 네트워크 통신망을 연결하는 발판을 마련한 것이다. 양자 암호를 이용한 원격 전송기술은 ... ...
[여기에 과학]뒤짱구는 네안데르탈인의 유전적 흔적
동아사이언스
l
2018.12.15
가진 현대인은 뒤통수가 튀어나오긴 하지만 기능적으로는 문제가 없다는 것입니다.
연구진
은 지난 8월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6년 전 러시아 시베리아 지역에서 발견됐던 13살 소녀의 화석이 네안데르탈인 엄마와 데니소바인 아빠 사이에서 태어났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하기도 했습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게임의 제왕 알파제로의 등장
동아사이언스
l
2018.12.08
알파고 제로를 이기기 까지는 30시간이 걸렸다. 알파고제로과 알파제로에 차이에 대해
연구진
은 “알파고 제로는 지금까지 해왔던 게임에서 가장 승률이 높았던 가상의 선수를 상대로 훈련한다”며 “하지만 단 하나의 신경망인 알파제로는 점점 강해지는 자신을 상대로 게임을 한다”고 ... ...
中 아무도 못 가본 달 뒷면으로 '대장정'… ‘창어 4호’ 발사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8.12.08
쏘아올린다. 한편 팰컨9은 이달 4일 KAIST 인공위성연구소를 중심으로 국내
연구진
이 독자 개발한 표준 소형위성인 ‘차세대소형위성 1호’를 지구저궤도에 쏘아 올린 로켓이기도 하다. 당시 스페이스X는 사상 최초로 하나의 로켓을 세 번 사용하는 기록을 세웠다. 다만 아직까지는 팰컨9 로켓으로 ... ...
[표지로 읽는 과학]3D프린터로 출력한 뇌 신경망 모형
동아사이언스
l
2018.12.01
적용해 신경망과 같은 정밀한 물리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수학적 모델을 만들었다.
연구진
은 신경세포간 연결 부위 두께나 휘는 정도(곡률)를 조절해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패턴을 형상화했다. 연결 단위별로 상호작용하는 정도를 조절하면 신경망이 성장하는 과정을 예측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 ...
수소 연료 앞당길 효율 높은 나노 촉매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13
촉매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오아람·백현석 선임연구원
연구진
은 이광렬 고려대 교수, 주상훈 울산과학기술원(UNIST) 교수팀과 공동으로 물을 분해해 수소를 얻을 때 생산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새로운 전극 촉매를 개발했다고 13일 밝혔다. 수소는 자연계에 존재하는 ... ...
이전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