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원
스페셜
"
연구진
"(으)로 총 1,272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계에도 금수저, 흙수저가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6.09.25
신열대지역 건조림에 서식하고 있는 생물들이 원시 상태의 10%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연구진
은 잉카 문명이 들어서며 인간이 농작을 시작했고, 그 결과 생물다양성도 빠르게 줄어들고 있다고 설명했다. 토비 교수는 “이미 알려진 것 외에도 생물학적으로 위기에 처한 많은 장소는 더 있을 ... ...
사람처럼 도구 이용해 벌레 잡는 하와이 까마귀
동아사이언스
l
2016.09.19
행동을 보고 자연스럽게 도구 사용 능력을 학습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연구진
은 보호시설에서 길러온 까마귀 일부를 올해 말 야생으로 돌려보낼 계획이다. 현재는 야생에서 하와이 까마귀를 볼 수 없지만, 앞으로는 하와이의 야생 곳곳에서 다시 하와이 까마귀의 모습을 볼 수 있게 될 ... ...
SF거장 ‘조지 웰스’ 탄생 150주년의 의미
동아사이언스
l
2016.09.11
그런데 불과 6개월만인 8월 5일 미국 하버드대와 브라질 상파울루대 등 국제공동
연구진
은 지카 바이러스 백신을 만든 뒤 원숭이에 접종해 예방 효과를 확인했다. 미국 국립보건원(NIH)은 8월 2일 사람을 대상으로 백신 임상시험에 들어가기도 했다. 현재는 18∼35세 연령대의 건강한 지원자 80명을 ... ...
가장 효과 좋은 알츠하이머 치료 후보물질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6.09.04
“이번 관측 결과 세레스는 과거 지질활동이 활발했던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연구진
은 세레스에서 얼음의 흔적도 탐지했다. 세레스의 작은 크레이터에서 얼음일 가능성이 높은 은빛 물질을 발견했다. 돈은 세레스 상공 380㎞ 궤도를 돌며 관측작업을 진행했다. 현재 NASA는 추가 관측을 ... ...
"광학 이미징의 새로운 장을 열어가겠습니다"
IBS
l
2016.09.01
고해상도 이미징으로 생체 조직 깊은 곳을 자세히 들여다보는 데 있어서는 최 부단장
연구진
이 현재 세계 최고 수준에 있다. 최 부단장은 더 나아가 단일 산란뿐 아니라 다중 산란까지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다. 그는 "한 번 산란된 빛만 이용하면 근본적으로 더 깊은 곳을 관찰하지 ... ...
광유전학, 빛으로 뇌의 비밀 풀고 새로운 치료법 찾는다
IBS
l
2016.09.01
이 단백질의 활성을 조절하는 GEF 단백질이 관여하는데, PLEKHG3은 GEF 단백질 중 하나다.
연구진
은 63개의 GEF 단백질에 바이오이미징 기술을 적용해 PLEKHG3가 세포의 진행 방향으로 빠르게 이동하며 방향타 역할을 담당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또한, 광유도 분자올가미 기술을 방향타 단백질에 적용해 ... ...
지각구조 이해할 새 도구 찾았다… ‘폭풍 지진파’ 첫 탐지
동아사이언스
l
2016.08.28
거리가 지구와 태양 거리의 5% 수준으로, 11.2일마다 중심별 주위를 한 바퀴를 돈다.
연구진
은 프록시마 b의 표면 온도가 물이 액체 상태로 존재할 수 있는 0~100도 사이일 것으로 추정했다. 생명체가 있을 가능성도 높은 셈이다. 이전까지 발견된 지구형 행성 중 가장 가까운 것은 지난해 발견된 ... ...
유전자 변이 740만개 찾았다… 역대 최대 규모 연구결과 발표
동아사이언스
l
2016.08.21
TMI가 생기면 인체가 괜한 염증반응을 일으켜 신경세포를 파괴할 위험이 있다고 여겼다.
연구진
은 일부러 염증을 억제했을 때가 염증이 자연스럽게 생긴 경우보다 건강에 더 안 좋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염증은 상처부위를 청소하고 신경세포를 수리하는 등 긍정적인 역할을 했다. 첫 번째 논문 ... ...
[표지로 읽는 과학] 2배 더 정확한 뇌지도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6.08.15
주 ‘사이언스’ 표지엔 파란색 눈동자를 치뜨고 있는 상어의 모습이 등장했다. 덴마크
연구진
이 대서양에 사는 ‘그린란드상어’가 400년 이상 장수하는 동물이란 사실을 새롭게 조명했다. 이는 현재까지 수명이 가장 긴 척추동물로 알려진 북극고래의 211년에 비해 2배가량 더 오래 사는 셈이다 ... ...
“어른이 된 해바라기는 동쪽만 바라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16.08.07
성장한 해바라기는 이런 주기적 움직임을 멈추고 동쪽만 바라본다는 사실도 밝혀졌다.
연구진
은 이 원인을 동쪽을 바라보고 있는 해바라기가 서쪽을 바라보고 있는 해바라기보다 더 많은 햇빛을 받을 수 있고, 그 결과 온도가 높아져 더 많은 곤충을 끌어들일 수 있기 때문으로 추정했다. 서쪽을 ... ...
이전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