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회"(으)로 총 1,863건 검색되었습니다.
- 알고 보니 '젊은' 서부 그랜드 캐니언과학동아 l2008년 03호
- 젊은 지층이며 4회 이상의 용암분출과 하천의 복합작용으로 만들어졌다고 미국 지질학회지 ‘지오스피어’ 2월호에 발표했다.미국 애리조나주 북부에 위치한 그랜드캐니언은 각종 지형이 잘 드러나 지질학의 교과서라 불리는 장대한 협곡이다. 길이 400km, 깊이 1.5km 이상인 이 협곡은 다양한 연령의 ... ...
- PART4 지구온난화 늦춰줄 한 줌의 '소각재'과학동아 l2008년 03호
- 6월 필자는 이산화탄소를 이용해 소각재를 깨끗이 ‘정화’하는 공정으로 일본소재물성학회에서 최우수논문상을 받았다. 지난해 말에는 1시간에 200kg의 소각재를 깨끗이 처리할 수 있는 연구플랜트를 국내 최초로 만들었고, 곧 산업현장에 적용할 예정이다. 소각재를 맘껏 재활용할 수 있고 ... ...
- 만화 '포닭 블루스' 그리는 생명과학자 신인철과학동아 l2008년 03호
- 소식지인 ‘분자생물학뉴스’에 ‘대학원생 블루스’라는 만화를 연재했습니다. 요즘도 학회에 가면 가끔 그때 만화를 재밌게 봤다는 분들을 만납니다.”어릴 적 길창덕, 이두호 같은 만화가들의 작품에 푹 빠져있었던 신 교수는 특히 길창덕 화백의 주인공 ‘꺼벙이’를 즐겨 모사하곤 했다. ... ...
- 민부리고래, 목구멍으로 소리 듣는다?과학동아 l2008년 03호
- 하나인 민부리고래가 목구멍을 통해 음파를 수신한다는 연구결과를 영국물리학회가 발행하는 생체모방 관련 국제저널(Bioinspiration & Biomimetics) 온라인판 2월 4일자에 발표했다. 이는 음파가 고래의 아래턱뼈를 거쳐 귀에 전달된다는 기존 학설과 배치된다.크랜포드 박사팀은 민부리고래의 머리 부분을 ... ...
- 로봇과 스피커, 종이로 만든다과학동아 l2008년 03호
- 마분지, 셀로판지, 한지까지 종이 종류만 60여가지였다.2000년과 20001년 그는 국제학회에서 이 실험 결과를 정리해 발표했다. ‘종이가 전기로 움직인다’는 흥미로운 주제에 학계의 관심이 쏠렸다. 특히 미국 항공우주국(NASA)에서 김 교수의 연구 내용에 특별한 관심을 보였다. 2001년 그는 두 차례에 ... ...
- 태양보다 뜨거운 반도체칩?과학동아 l2008년 02호
- 반도체 회사 중 하나인 인텔이 2001년 반도체 설계 분야의 권위 있는 학회인 국제회로설계학회(ISSCC)에서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반도체칩의 단위 면적당 발생하는 열이 2009년 원자로를 뛰어넘고 2020년에는 태양표면을 넘어설 것이라고 예측했다.믿기 어려운 얘기지만 이런 예상은 현실이 되고 있다. ... ...
- 우리은하 향해 돌진하는 거대한 가스구름과학동아 l2008년 02호
- 미국국립전파천문대(NRAO) 제이 록맨 박사는 지난 1월 11일 미국 텍사스에서 열린 미국천문학회에서 우리은하를 향해 돌진하는 거대한 가스구름인 ‘스미스구름’의 영상을 처음 공개했다.스미스구름은 우리은하에서 약 8000광년 떨어진 곳에 존재하는 거대한 수소가스 덩어리로 1963년 네덜란드의 ... ...
- 조선조류열전과학동아 l2008년 01호
- 일본의 조류학자인 나가미치 구로다 박사가 조선 땅의 원앙사촌을 먼저 발견해 국제학회에 보고한 탓에 영어로는 ‘구로다 쉘덕’(Kuroda shelduck)이라고 부른다. 표본을 단서로 원앙사촌의 ‘외모’를 추론해보면 부리 길이 4.15cm, 부리에서 꼬리까지의 몸길이는 64cm이며 다른 오리보다 다리가 약간 ... ...
- 초미세 생체현상 속에 답이 있다과학동아 l2008년 01호
- 떠오르면 일단 실험으로 재현해 본 뒤 특허등록 과정을 거친다. 그 다음에 국제학회에 보고하거나 논문으로 발표한다. 당연히 연구단 안에서도 ‘입단속’이 심하다.지금까지 디지털나노구동연구단이 출원한 특허 수는 국내 23건, 해외 12건에 이른다. 국제적으로 산업화될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될 ... ...
- 모래쥐도 나(me), 너(you) 구분한다과학동아 l2008년 01호
-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 결과는 지난 11월 27일부터 12월 1일까지 열린 미국 음향학회에서 발표됐다. 시넛 박사팀은 소리를 언어로 인지하기 전단계인 유아기에는 소리의 차이를 어떻게 구분하는지 연구하기 위해 실험동물을 찾았다. 처음에는 원숭이를 상대로 실험했지만 너무 똑똑해 언어의 ... ...
이전1021031041051061071081091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