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집회
회합
위원회
모임
소사이어티
협회
단체
d라이브러리
"
학회
"(으)로 총 1,863건 검색되었습니다.
특집03 뚝딱뚝딱 '프랑켄슈타인 세포' 만들기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가능성을 열었다. 그리고 2007년 6월 스위스 취리히에서 열렸던 제3차 세계합성생물
학회
에서 이탈리아 로마 제3대학의 지오반니 뮤타스 교수는 인공적으로 만든 리포솜 안에서 유전자를 발현시켰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그는 리포솜 안에 실제 세포의 다양한 구성요소를 대신해 36가지 정제된 ... ...
'휴보' 기술로 개기일식 촬영하는 로봇공학자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아버지’로 유명한 로봇공학자다.지난 11월 중순 두바이에서 열린 미국 전자전기
학회
(IEEE) 컨퍼런스 ‘혁신과 IT’에 참가한 그는 ‘휴머노이드 걷는 로봇’이란 주제로 기조연설을 하고 600여명 앞에서 휴보의 움직임을 시연하기도 했다. 휴보의 인기는 대단하다. 2005년 부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 ...
과학자들의 친구 쥐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셈이다.국내에서 과학자가 한해 실험대 위에 올리는 실험동물은 한국실험동물
학회
추산치로 연간 약 500만 마리다. 그 가운데 80%가 실험쥐다. 쥐를 통해 약품이 인체에 안전한지 검사하는 것은 물론 화장품의 독성이나 노화 정도, 각종 질환을 테스트할 수 있다. 쥐는 만능 실험꾼인 셈.2003년 2월 ... ...
다시 보면 고마운 '키다리 아저씨' 혐기성 미생물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데이스 교수팀은 이를 2007년 6월 6일 영국 에딘버러대에서 열린 제161회 영국미생물
학회
에서 ‘혐기성 미생물과 암 질환 치료’란 논문으로 발표했다.클로스트리디아는 무산소 환경에서만 증식하는 혐기성 미생물이다. 데이스 교수는 “암환자 가운데 방사선요법이나 화학요법의 효과를 보지 ... ...
비누는 물고기 떼의 '적'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4-NP)이 물고기가 무리 지어 사는 습성을 방해해 생존 능력을 줄인다는 사실을 ‘영국왕립
학회
보’ 10월 23일자에 발표했다.4-NP는 비누나 살충제, 그리고 하수처리 시에 널리 쓰이며 사람이나 동물에게 영향을 미치는 환경호르몬으로 잘 알려져 있다. 물고기가 4-NP에 오래 노출되면 여성호르몬이 ... ...
엄마 뚱뚱하면 아이 ADHD 가능성 높아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무거운 여성이 낳은 아이일수록 ADHD를 앓을 확률이 높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비만
학회
지’ 인터넷판에 11월 1일 발표했다. 연구팀은 신체질량지수(BMI, 몸무게를 키의 제곱으로 나눈 값)가 25kg/m2(과체중)와 30kg/m2(비만)가 넘는 여성이 낳은 아이들이 취학 때까지 보이는 행동 변화를 지속적으로 ... ...
과학의 힘으로 장애를 뛰어넘다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느끼는데, 증상이 온몸으로 확대될 수도 있다.지난 9월 아르헨티나에서 열린 세계피부과
학회
광의학분과모임에서 동아대 의대 피부과 김기호 교수는‘2000~2005년 사이 한반도의 일조시간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만성일광피부염 환자 수도 늘었다’는 연구논문을 발표했다. 극지방 못지않게 ... ...
크리스마스 밤하늘 장식하는 '전구별'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이 내용을 왕립
학회
에 발표했고 당시 천문학자들에게 큰 호평을 받았다. 얼마 뒤 왕립
학회
는 그를 특별회원으로 추대하기로 결정했다. 하지만 구드릭은 이 결정이 난지 사흘 뒤, 미처 이 사실을 통보받기 전에 병으로 사망했다.구드릭의 안타까운 이야기는 100년 뒤 여성 천문학자 헨리에타 리빗에 ... ...
종이컵이 남긴 탄소발자국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그리고 3일 동안 일교차가 평소보다 1℃ 더 컸다는 사실을 발견해 2002년 5월 미국기상
학회
에 발표했다.그는 이 결과를 ‘지구흐리기’(global deeming, 인간이 만든 먼지 같은 입자가 태양빛을 차단해 지구의 온도를 낮추는 현상)의 증거로 해석했지만 학계에서는 의견이 분분했다.하지만 이 연구의 ... ...
무한속도의 비밀은 '칩'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ISSCC)에서 주목을 받았다. ISSCC는 ‘황의 법칙’이 무어의 법칙을 뒤엎은
학회
로 새로운 IT 기술의 데뷔 무대이기도 하다. 김 교수는 3차원 디스플레이를 실시간으로 재생하도록 돕는 칩을 설계해 ‘하이라이트 논문’으로 선정됐다.김 교수팀은 3차원 디스플레이를 만드는 3차원 그래픽의 용량을 ... ...
이전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