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회"(으)로 총 1,863건 검색되었습니다.
- [진화심리학]장인과 사위, 시어머니와 며느리가 닮은 이유과학동아 l2008년 10호
- 진화심리학자 타마스 베레츠케이 교수가 영국왕립학회에서 발행하는 생물학 저널 ‘왕립학회회보 B’ 9월 3일자에 발표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남자는 자신의 어머니를 닮은 여자를, 여자는 자신의 아버지를 닮은 남자를 배우자로 삼을 확률이 높다.베레츠케이 교수는 헝가리에 사는 52가족 312명의 ... ...
- 양자에 ‘순간이동’ 이름 붙인 주인공 찰스 베넷과학동아 l2008년 10호
- 최초로 양자 원격전송 실험 성공1999년 오스트리아 비엔나대 물리학과 교수2008년 영국물리학회가 수여하는 아이작 뉴턴메달 최초 수상자일링거 교수는 베스트셀러 작가이기도 하다. 양자역학에 관한 대중서를 2권이나 썼다. 고등과학원 계산과학부 김재완 교수에 따르면 자일링거 교수가 살고 있는 ... ...
- 2020년 한국판 아이언맨 나온다과학동아 l2008년 10호
- 다시 튕겨내기 때문에 절대 뚫리지 않는 방탄복을 만들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영국물리학회에서 발간하는 온라인 저널인 ‘나노테크놀로지’ 11월 17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에 따르면 초속 2000m가 넘는 속도로 날아가는 실탄에도 탄소나노튜브 방탄복은 끄떡없었다. 실탄이 대개 초속 1000m 미만의 ... ...
- 조선해양공학 인재 키우는 인큐베이터과학동아 l2008년 10호
- 조선소에서 설계도를 얻어와 모형 배를 만든 것이 시작이었다. 모모는 1999년 대한조선학회에서 주최하는 선박설계콘테스트에서 우수상을 받으며 이름을 알리기 시작했다. 2000년에는 충남대가 주최하는 인력선 대회에서 종합우승을 차지했으며 같은 대회에서 2001년 준우승을, 2002년에는 다시 우승을 ... ...
- 국제학회에선 국가대표 선수처럼과학동아 l2008년 10호
- 세계적으로 알릴 수 있었다. 기업에서 후속 프로젝트를 진행하자는 제의도 받았다.국제 학회에 참석하면 필자와 비슷한 또래의 학생들이 멀리 떨어진 곳에서 자신의 연구에 밤낮으로 매진하고 있음을 느낀다. 묘한 긴장감마저 감돈다. 저마다 조선해양 분야의 기술력을 선점하기 위해 눈에 보이지 ... ...
- 동시 발견과 우선권과학동아 l2008년 10호
- 과학적으로 충분히 가능성이 있는 기술이므로 데이터 조작을 통해 특허나 논문으로 학회의 인정을 받고 우선권을 확보한다면 그 이후 다른 과학자가 진짜 ‘최초 발견’을 했을 때 이에 대한 모든 공로는 최초 발견자에게 돌아간다. 두 번째로 실험에 성공한 과학자는 최초발견을 다시 확인했을 ... ...
- 과학으로 지키는 독도과학동아 l2008년 09호
- 섞이는 현상을 발견해 ‘독도 효과’라고 이름 붙인 뒤 지난 5월 말에 열린 한국해양학회에서 발표했다. 이 박사는 “섬 주위에 물이 흐르면 지형 마찰로 난류가 생겨 상하층의 물이 잘 섞이는 것”이라며 “독도 효과 덕분에 하층에서부터 플랑크톤의 먹이인 영양염(무기질)이 풍부한 찬물이 올라와 ... ...
- [지구과학]구름이 하늘에 떠 있는 이유과학동아 l2008년 09호
- fa는 수적의 부력, fb는 공기의 저항, g는 중력가속도이다. - ‘대기과학개론’, 한국기상학회 지음 (다) 물체가 물속이나 공기 속에서 운동할 때 물체는 운동을 방해하는 힘(저항력)을 받는다. 액체와 기체를 합쳐 유체라고 하는데 유체로부터 받는 저항력의 크기는 유체의 성질과 물체의 모양, 속력에 ... ...
- 꿀벌의 4번째 선물, 프로폴리스과학동아 l2008년 09호
- 항균력은 얼마나 될까. 서울프로폴리스 허용갑 소장이 지난해 6월 ‘한국양봉학회지’에 발표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MRSA를 하루 동안 배양한 샬레에 국산 프로폴리스를 한 방울 떨어뜨리자 그 주변의 MRSA가 모두 죽었다.프로폴리스 양이 10mg일 때는 지름 10~15mm, 20mg일 때는 지름 15~20mm에 해당하는 ... ...
- [지구과학]빙하 없는 따뜻한 남극과학동아 l2008년 09호
- 4000만 년 전의 기후를 밝혀 당시 남극 바다는 빙하가 없을 만큼 따뜻했다고 미국지질학회지인 ‘지올로지’ 8월호에 발표했다.뉴질랜드 남섬은 퇴적물이 잘 남아 있어 고환경 연구에 중요한 지역이다. 4000만 년 전 뉴질랜드는 현재보다 1100km 정도 더 남쪽에 있어 남극에 훨씬 가까웠다. 버제스 ... ...
이전989910010110210310410510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