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큰"(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 [시사과학] 해저 화산폭발! 남태평양 통가에 무슨 일이?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4호
- 피해 규모가 알려지지 않은 것은 물론 복구에도 오랜 기간이 걸릴 전망이에요. 얼마나 큰 화산 폭발이었을까? 통가는 170여 개의 섬으로 구성된 인구 10만여 명의 나라예요. 이번 화산 분화로 통가에서는 최소 23명의 사상자가 발생했고, 국제적십자연맹은 통가 주민 10만 명 중 8만 명이 피해를 보았을 ... ...
- [파고 캐고 지질학자] 우리가 숨쉬는 산소, 세균이 만들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4호
- 깜짝 놀랐지요. 전 세계를 돌아다녔지만, 호수에서 자란 스트로마톨라이트 중 이렇게 큰 것을 본 적은 없었거든요. 스트로마톨라이트는 100여 년 동안 겨우 수 cm 두께로 자랍니다. 그러니 이 거대한 스트로마톨라이트는 사실 수천 년이 넘는 오랜 세월 동안 만들어진 매우 귀중한 암석인 거예요.이곳 ... ...
- [출동! 슈퍼M] “같은 40인치 TV인데 화면 크기가 다르다?”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4호
- 2021년 1월부터 9월까지 판매된 TV를 조사한 결과, 40% 이상의 사람들이 75인치보다 큰 TV를 샀다고 해요. 10명 중 4명은 대형 TV를 구입한 셈이지요. 넷플릭스나 유튜브 등 영상을 볼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 생겨났고, 코로나19로 인해 집에서 보내는 시간이 많아졌기 때문이라고 전문가들은 설명해요 ... ...
- [수학으로 발사! 누리호] 지구를 떠나자! 한국형 발사체수학동아 l2022년 04호
- 진입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어요. 이를 토대로 한국형 발사체는 앞으로 이뤄 나갈 큰 꿈이 있어요. 바로 달을 탐사하러 가는 거예요! 올해 8월에 달의 둘레를 돌며, 달 착륙선이 착륙할 장소를 찾는 달 궤도선을 발사하는 것을 시작으로, 2030년에 달 착륙선을 보내는 것이 목표랍니다. 달 궤도선은 ... ...
- 암흑물질의 추적자들과학동아 l2022년 04호
- 것”이라고 밝혔다. “LHC 등에 비교했을 때는 작지만, 실험설비 자체로 봤을 땐 굉장히 큰 규모의 실험입니다. 새로 생긴 이 공간에 검출기 등을 만들어 설치하려면, 연구설비뿐 아니라 엔지니어, 기술자 등 소프트 인프라를 더 많이 개발해야 할 겁니다. 좋은 시설과 거대한 규모에 걸맞게 세계 ... ...
- [드론으로 본 제주] 자연이 빚어낸 절경 ③ 동부과학동아 l2022년 04호
- 때 1m가 넘고, 무게는 배터리를 장착했을 때 9kg 정도다. 최대 속도는 초속 23m다. 이렇게 큰 드론은 드론 자격증이 있어야만 날릴 수 있다. 또 드론을 날리기 전에 반드시 관계기관에서 허가를 받아야 한다. 다만 249g 이하의 드론은 자격증, 사전신고 없이 허가된 장소라면 누구나 날릴 수 있다. 물론 이 ... ...
- [헷갈린 과학] 멜로디와 리듬 사이 전기 기타 vs 베이스 기타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4호
- 베이스 기타는 전기 기타와 비슷하게 생겼어요. 하지만 베이스 기타와 전기 기타의 가장 큰 차이점은 줄의 개수예요. 베이스 기타 줄은 4줄로, 6줄인 전기 기타보다 적지요. 베이스 기타의 ‘베이스’는 ‘콘트라베이스’에서 따온 말이에요. 콘트라베이스는 현악기 중 가장 낮은음을 내는 악기예요. ... ...
- 질문하면 답해 ZOOM!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4호
- 많습니다. 튀김의 경우에는 바삭한 식감을 만들어주기도 하지요. 무엇보다도 가장 큰 이유는 기름이 맛있기 때문입니다! 참기름이나 올리브 기름처럼, 인류는 기름 특유의 맛과 향을 즐기기 위해 수천 년 전부터 식용유를 써왔답니다. 2012년에는 사람의 혀에서 지방의 맛을 느끼는 수용체가 ... ...
- [특집] 수학 콘텐츠, 갑자기 쏟아진 이유는?수학동아 l2022년 04호
- 관련 책부터 읽었지요. 인상 깊은 부분은 드라마 대사에 녹였어요. 옛날엔 큰 숫자가 큰 권력을 의미했다는 사실을 꼬아서 “지금은 작은 숫자가 권력이에요. 1등, 1등급, 상위 1%”라는 대사를 썼어요. 수학 선생님, 수학자로부터 자문을 받아 수학 문제도 만들었어요. 제가 먼저 ‘주인공이 절망에 ... ...
- [2022 필즈상 예측] 함수의 뿌리를 탐구한 알렉산드르 로구노프 교수, 베일에 싸인 미분기하학 고수 쑨쏭 교수수학동아 l2022년 04호
- 아니에요. 하지만 한 차원 높은 도형이라고 생각하면 쉬워요. 예를 들어 3차원인 아주 큰 구가 있을 때 구 표면을 기어 다니는 개미는 주변을 2차원 평면이라고 생각할 거예요. 이처럼 부분적으로 봤을 때 한 차원 낮은 공간을 갖는 대상을 ‘다양체’라고 해요. 이런 다양체 중 켈러 다양체가 ... ...
이전1021031041051061071081091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