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장비"(으)로 총 2,79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회오리 뒤쫓는 '바람사냥꾼'과학동아 l2011년 07호
- 오는 길목에 놓았다.스톰 박사: 영화에 나오는 ‘도로시’와 비슷한 관측센서 장비가 1970~1980년대에 ‘토토(TOTO)’라는 이름으로 실존했어요. 하지만 실제로는 실패했습니다. 토네이도가 지그재그로 움직이는 탓에 경로를 예측할 수 없었거든요. 우연히 토네이도가 지나가도 캡슐들이 바람에 ... ...
- Part 2. 해킹 Hacking과학동아 l2011년 07호
- 보안 공부 역시 왕도는 없다. 지름길이 없다는 말이다. 특히 보안 분야는 대부분의 IT 장비나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에 해당되기 때문에 공부해야할 것도 많다. 공교육 기관을 통해 관련 학문을 공부하는 것이 가장 좋지만 만일 그런 처지에 있지 않다면 보안 관련 뉴스나 잡지를 꼼꼼히 읽으면서 ... ...
- [life & tech] 집중호우 예측, 64배 섬세해진다과학동아 l2011년 07호
- 많은 관측값을 수집하고 있지만 해양이나 산악, 대기 상공 등은 위성과 레이더 같은 원격 장비로 얻은 관측 자료로 채워 넣고 있다. 하지만 이런 자료를 모두 동원해도 채울 수 있는 초기 값은 2만개에 지나지 않는다. 전체 격자수의 2%에도 미치지 못한다. 관측 자료만으로 초기 값을 생산하기가 ... ...
- “20년 꿈을 달나라로 쏘겠다”과학동아 l2011년 07호
- ‘루나’를 발사했다. 그 무게는 5t에 달했다. 탐사선의 크기가 클수록 실을 수 있는 관측장비가 많아져 더 자세한 조사를 할 수 있다.이렇게 작은 탐사선 밖에 보낼 수 없는 이유는 한국형발사체가 원래 인공위성을 발사하기 위해 설계됐기 때문이다. 한국형발사체가 우주로 내 보낼 수 있는 최대 ... ...
- 디노라이트 USB 현미경 AM-2011과학동아 l2011년 07호
- 꿈꾸는 사람에게 현미경은 필수 장비다. 하지만 현미경은 막상 사 놓고서 잘 쓰지 않는다. 프레파라트 표본을 만드는 것과 같은 준비 과정이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디노라이트 USB 현미경’은 이런 문제를 말끔히 해소했다. 컴퓨터 USB 단자에 꽂은 현미경을 물체에 대고 컴퓨터 모니터로 보면 ... ...
- 수학으로 풍덩, 수영의 매력 속으로수학동아 l2011년 07호
- 단축에 도움이 되고, 선수들이 더 나은 환경에서 훈련할 수 있다면 직접 미국에 가서라도 장비를 구해오고 싶다”고 말할 정도로 열정이 남달랐다. 마지막으로 노 감독에게 수영 선수를 꿈꾸는 독자들에게 조언을 부탁했다.“늘 연습을 실전처럼 하세요. 그리고 유연성과 균형감각을 집중해서 ... ...
- 사자는 무엇을 보고 있을까과학동아 l2011년 07호
- 길러낸 텃밭이 된다. 소년이 들여다보는 잔잔한 호수는 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전자장비를 가동시키는 투명한 액체 에너지로 이루어진 것인지도 모른다.스톰 크라운 메커니즘2009, ⓒDavid Trautrimas데이비드 트라우트리마스는 ‘스파이프로스트 프로젝트’에서, 고물이 된 가전제품의 부품을 ... ...
- 색이 변하는 카멜레온 밴드과학동아 l2011년 07호
- 5억달러가 들어간다”며 “밴드에 나타난 색을 대조표와 비교하기만 하면 비싼 적외선 장비를 사용하지 않아도 빠르고 정확하게 상태를 진단할 수 있다”고 말했다. 워프 박사팀은 이 카멜레온 섬유를 6개월 안에 밴드의 형태로 상용화할 계획이다 ... ...
- 고양이가 혀로 물 마시는 건, “볼 때문이야~"과학동아 l2011년 07호
- 수차례 나왔다 들어가는(평균 3.5회 왕복) 혀의 빠른 움직임을 포착하기 위해 고속촬영장비(초당 120~500프레임)를 이용했다. 그 결과 고양이는 혀를 내밀 때 혀끝을 뒤로 말아 혓바닥 앞부분이 우유(물은 투명하기 때문에 경계 식별이 잘 안돼 우유를 사용했다) 표면에 닿게 한다. 그 뒤 혀를 당기면 ... ...
- 휴대전화가 뇌종양 위험 높인다?과학동아 l2011년 07호
- 명확하게 설명해 줄 수 없어 연구자 역시 답답함을 느끼고 있다”며 “앞으로 의료장비의 선진화와 정밀한 생물학 연구가 뒷받침돼 더욱 확실한 모델이 정립될 것”이라고 예상했다.역학조사 역시 휴대전화와 뇌종양의 관계를 확실하게 밝혀내지 못했다. 1994년 미국건강재단의 조수아 머스캣 ... ...
이전1021031041051061071081091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