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치
설비
기구
비품
지식
기능
소양
d라이브러리
"
장비
"(으)로 총 2,798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과학수사 X파일 5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해부해 몸 안팎의 외상을 눈으로 확인하는 것을 비롯해 생체조직을 잘라 현미경 같은
장비
로 검사하는 일을 모두 포함한다. 그래서 부검을 하면 자살로 꾸민 타살이나 보험금을 노린 자살 등을 판별할 수 있다. 자살과 타살을 포함해 외부의 힘으로 죽은 경우, 지병이 있었더라도 명확한 사인을 알 수 ... ...
스마트시대, 우리는 스마트해졌나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사라져 버리는 초라한 결과를 얻고 있다. [최근 교육현장에서는 다양한 멀티미디어
장비
가 도입되고 있다. 잘 활용하면 수업의 질을 높일 수 있지만 오히려 수업 집중도를 떨어뜨릴 위험성도 있다.]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한 교육은 운전이나 전투 같은 상황에 미리 적응할 수 있는 매우 ... ...
MEMS와 의생명공학의 기분 좋은 만남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만들 수 있다. MEMS 연구실에서는 새로운 제품을 개발하고 성능을 검사할 수 있는 첨단
장비
를 갖췄다.] [➋ MEMS 연구실에서 개발한 마이크로렌즈의 모습. 가운데 염화칼륨 방울을 기름이 감싸고 있는 형태로 사람의 수정체 구조와 유사하다.]졸업 전에 반드시 특허낸다이 교수는 “MEMS 기술과 ... ...
우주까지 반백 년, 그리고 우주에 다다른 지 반백 년…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대한민국 우주기념일을 꿈꾸며우주인 훈련을 받다 보면, 이제는 더 이상 쓰지 않는 훈련
장비
를 종종 보게 된다. 과거 우주에 대해서 잘 알지 못할 때는 모든 위험한 가능성, 그리고 우주라는 미지의 영역에 사람을 보내기 위해 꼭 필요한 것인지 아닌지도 알 수 없는 상태에서 정말 많은 훈련을 ... ...
융합이 빚어낸 작지만 큰 세계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SF영화를 보면 사람의 몸속으로 작은 기계가 들어가 병을 진단하고, 필요한 수술을 하는 장면이 나오곤 한다. MEMS(미세전자기계시스템)는 이런 상상 속의 이야기를 현 ... 권유했다.“MEMS를 연구한다면 리더십을 기르고 여러 학문을 넘나들며 새로운 기계와 전자
장비
를 개발할 수 있습니다 ... ...
레이저 광선 흡수하는 ‘안티레이저’ 개발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99.4%까지 흡수했다. 이론상으로는 99.99%까지 흡수할 수 있다는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이
장비
로 광학 스위치를 만들면 광자의 움직임으로 작동하는 광학 컴퓨터를 만들 수 있다. 또 전자기선 등에 활용하면 인간의 피부 조직에 침투해 치료나 영상 의학에 활용할 수도 있다 ... ...
입자 가속기 삼국지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반응성이 높은 우라늄등을 연구하는데 자주 쓰이기 때문에 최근 핵물리학 연구에 필수
장비
로 떠오르고 있다. 한국원자력연구원 역시 소형 중이온 가속기를 갖추고 있다. 중이온가속기로도 인체 내에 깊숙이 위치한 암세포만 파괴할 수도 있기 때문에, 일본과 독일에서는 지금까지 3000명 정도의 ... ...
굿 바이! 킬로그램의 어머니!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미세하게 바뀌기 때문에 와트 밸런스를 이용하려면 중력가속도 값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장비
가 필요하다.와트 밸런스는 1970년대에 영국 국립물리연구소가 플랑크 상수의 값을 정밀하게 측정하기 위해 개발했다. 이미 질량을 알고 있는 물체를 이용하면 와트 밸런스로 플랑크 상수를 정밀하게 ... ...
Part1. 당신은 호모 사피엔스 100%인가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오염되기 쉽다. 따라서 특수하게 설계된 분석
장비
를 이용해야 한다. 사진은 게놈 분석
장비
로 DNA를 검출하는 장면.]연구팀은 이 분석 결과를 현대인의 유전자와 비교했다. 결과는 충격적이었다. 현생인류와 네안데르탈인 사이에 유전자 교류가 일부 있다는 결과가 나왔기 때문이다. 유전자 교류가 ... ...
2020년 무선전력전송 기술이 세상을 바꾼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씁니다. 이렇게 높은 에너지가 사람에게 닿으면 해롭습니다. 그리고 다른 전자
장비
에 간섭을 일으켜 고장 날수도 있죠. 이런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현재 기술로도 사람이 드나들 수 없는 원자력발전소 내부 같은 곳에서 사용할 수 있을 겁니다. [➊ 박영진 책임연구원이 ... ...
이전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