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치
설비
기구
비품
지식
기능
소양
d라이브러리
"
장비
"(으)로 총 2,798건 검색되었습니다.
MEMS와 의생명공학의 기분 좋은 만남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만들 수 있다. MEMS 연구실에서는 새로운 제품을 개발하고 성능을 검사할 수 있는 첨단
장비
를 갖췄다.] [➋ MEMS 연구실에서 개발한 마이크로렌즈의 모습. 가운데 염화칼륨 방울을 기름이 감싸고 있는 형태로 사람의 수정체 구조와 유사하다.]졸업 전에 반드시 특허낸다이 교수는 “MEMS 기술과 ... ...
Part2. 꿈의 기술? 아직 피지 못한 꽃?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응용 분야에서 조만간 상용화될 가능성이 가장 높은 게 초전도 케이블과 같은 전력
장비
”라고 설명했다. 고온초전도체의 발견은 물리학자들의 마음을 들뜨게 했고, 값싼 액체질소를 냉매로 쓸 수 있다는 점도 혁신적이었다. 하지만 일상생활에 적용하기에는 여전히 너무 낮은 온도에서만 작동한다. ... ...
스마트시대, 우리는 스마트해졌나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사라져 버리는 초라한 결과를 얻고 있다. [최근 교육현장에서는 다양한 멀티미디어
장비
가 도입되고 있다. 잘 활용하면 수업의 질을 높일 수 있지만 오히려 수업 집중도를 떨어뜨릴 위험성도 있다.]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한 교육은 운전이나 전투 같은 상황에 미리 적응할 수 있는 매우 ... ...
능동적이고 똑똑한 웹 만들기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잘 만들어야 합니다. 이런 아키텍처를 잘 만들어두지 않으면 각각의 운영체제와
장비
마다 소프트웨어를 다시 만들어야 합니다.”아키텍처는 프로그램의 각 단계 사이의 논리적 구조와 컴퓨터·운영체계·네트워크 간의 논리적 상호관계를 말한다. 아키텍처가 탄탄한, 범용 소프트웨어를 만들기 ... ...
기계에도 근육이 있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근육 같은 일을 하는 장치를 ‘액추에이터(Actuator)’라고 부릅니다. 자동차의 엔진, 중
장비
의 팔에 붙어 있는 실린더 등 기계를 움직이게 만드는 것이라면 모두 액추에이터의 종류에 들어간다고 생각하면 틀림없습니다. 하지만 사람의 근육만 한 것은 없다보니 결국 과학자들은 지금까지 세상에 나와 ... ...
127시간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협곡의 벽 사이에 오른팔이 끼어 꼼짝할 수 없게 됐다.][아론은 등반과 탐험에 필요한
장비
를 늘 지니고 다녔다.] 생존을 위한 과학사건은 말 그대로 ‘아차’ 하는 순간에 벌어졌다. 하지만 탈출의 과정은 그렇지 않다. 극한 상황일수록 치밀하고 정확한 계산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아론은 40여 ... ...
Part1. 당신은 호모 사피엔스 100%인가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오염되기 쉽다. 따라서 특수하게 설계된 분석
장비
를 이용해야 한다. 사진은 게놈 분석
장비
로 DNA를 검출하는 장면.]연구팀은 이 분석 결과를 현대인의 유전자와 비교했다. 결과는 충격적이었다. 현생인류와 네안데르탈인 사이에 유전자 교류가 일부 있다는 결과가 나왔기 때문이다. 유전자 교류가 ... ...
입자 가속기 삼국지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반응성이 높은 우라늄등을 연구하는데 자주 쓰이기 때문에 최근 핵물리학 연구에 필수
장비
로 떠오르고 있다. 한국원자력연구원 역시 소형 중이온 가속기를 갖추고 있다. 중이온가속기로도 인체 내에 깊숙이 위치한 암세포만 파괴할 수도 있기 때문에, 일본과 독일에서는 지금까지 3000명 정도의 ... ...
굿 바이! 킬로그램의 어머니!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미세하게 바뀌기 때문에 와트 밸런스를 이용하려면 중력가속도 값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장비
가 필요하다.와트 밸런스는 1970년대에 영국 국립물리연구소가 플랑크 상수의 값을 정밀하게 측정하기 위해 개발했다. 이미 질량을 알고 있는 물체를 이용하면 와트 밸런스로 플랑크 상수를 정밀하게 ... ...
2020년 무선전력전송 기술이 세상을 바꾼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씁니다. 이렇게 높은 에너지가 사람에게 닿으면 해롭습니다. 그리고 다른 전자
장비
에 간섭을 일으켜 고장 날수도 있죠. 이런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현재 기술로도 사람이 드나들 수 없는 원자력발전소 내부 같은 곳에서 사용할 수 있을 겁니다. [➊ 박영진 책임연구원이 ... ...
이전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