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치
설비
기구
비품
지식
기능
소양
d라이브러리
"
장비
"(으)로 총 2,798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2. 꿈의 기술? 아직 피지 못한 꽃?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응용 분야에서 조만간 상용화될 가능성이 가장 높은 게 초전도 케이블과 같은 전력
장비
”라고 설명했다. 고온초전도체의 발견은 물리학자들의 마음을 들뜨게 했고, 값싼 액체질소를 냉매로 쓸 수 있다는 점도 혁신적이었다. 하지만 일상생활에 적용하기에는 여전히 너무 낮은 온도에서만 작동한다. ... ...
MEMS와 의생명공학의 기분 좋은 만남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만들 수 있다. MEMS 연구실에서는 새로운 제품을 개발하고 성능을 검사할 수 있는 첨단
장비
를 갖췄다.] [➋ MEMS 연구실에서 개발한 마이크로렌즈의 모습. 가운데 염화칼륨 방울을 기름이 감싸고 있는 형태로 사람의 수정체 구조와 유사하다.]졸업 전에 반드시 특허낸다이 교수는 “MEMS 기술과 ... ...
우주까지 반백 년, 그리고 우주에 다다른 지 반백 년…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대한민국 우주기념일을 꿈꾸며우주인 훈련을 받다 보면, 이제는 더 이상 쓰지 않는 훈련
장비
를 종종 보게 된다. 과거 우주에 대해서 잘 알지 못할 때는 모든 위험한 가능성, 그리고 우주라는 미지의 영역에 사람을 보내기 위해 꼭 필요한 것인지 아닌지도 알 수 없는 상태에서 정말 많은 훈련을 ... ...
능동적이고 똑똑한 웹 만들기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잘 만들어야 합니다. 이런 아키텍처를 잘 만들어두지 않으면 각각의 운영체제와
장비
마다 소프트웨어를 다시 만들어야 합니다.”아키텍처는 프로그램의 각 단계 사이의 논리적 구조와 컴퓨터·운영체계·네트워크 간의 논리적 상호관계를 말한다. 아키텍처가 탄탄한, 범용 소프트웨어를 만들기 ... ...
굿 바이! 킬로그램의 어머니!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미세하게 바뀌기 때문에 와트 밸런스를 이용하려면 중력가속도 값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장비
가 필요하다.와트 밸런스는 1970년대에 영국 국립물리연구소가 플랑크 상수의 값을 정밀하게 측정하기 위해 개발했다. 이미 질량을 알고 있는 물체를 이용하면 와트 밸런스로 플랑크 상수를 정밀하게 ... ...
127시간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협곡의 벽 사이에 오른팔이 끼어 꼼짝할 수 없게 됐다.][아론은 등반과 탐험에 필요한
장비
를 늘 지니고 다녔다.] 생존을 위한 과학사건은 말 그대로 ‘아차’ 하는 순간에 벌어졌다. 하지만 탈출의 과정은 그렇지 않다. 극한 상황일수록 치밀하고 정확한 계산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아론은 40여 ... ...
레이저 광선 흡수하는 ‘안티레이저’ 개발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99.4%까지 흡수했다. 이론상으로는 99.99%까지 흡수할 수 있다는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이
장비
로 광학 스위치를 만들면 광자의 움직임으로 작동하는 광학 컴퓨터를 만들 수 있다. 또 전자기선 등에 활용하면 인간의 피부 조직에 침투해 치료나 영상 의학에 활용할 수도 있다 ... ...
입자 가속기 삼국지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반응성이 높은 우라늄등을 연구하는데 자주 쓰이기 때문에 최근 핵물리학 연구에 필수
장비
로 떠오르고 있다. 한국원자력연구원 역시 소형 중이온 가속기를 갖추고 있다. 중이온가속기로도 인체 내에 깊숙이 위치한 암세포만 파괴할 수도 있기 때문에, 일본과 독일에서는 지금까지 3000명 정도의 ... ...
10억분의 1m 여행으로 꿈을 심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기부하겠다고 나선 사람들이다. 이들은 나노원정대에게 특별 수업을 진행하고 고가의
장비
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시간을 마련했다. 아무리 자원봉사 문화가 발달한 미국이라지만 일반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런 실험을 진행하기는 힘든 일이기 때문에 이들의 기부는 더욱 뜻 깊었다.여러 사람의 ... ...
2020년 무선전력전송 기술이 세상을 바꾼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씁니다. 이렇게 높은 에너지가 사람에게 닿으면 해롭습니다. 그리고 다른 전자
장비
에 간섭을 일으켜 고장 날수도 있죠. 이런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현재 기술로도 사람이 드나들 수 없는 원자력발전소 내부 같은 곳에서 사용할 수 있을 겁니다. [➊ 박영진 책임연구원이 ... ...
이전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