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치
설비
기구
비품
지식
기능
소양
d라이브러리
"
장비
"(으)로 총 2,798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가장 완벽한 이론’을 꿈꾸다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노벨상 수상자인 고(故) 폴로터버 교수를 예로 들었다.“양자역학을 이용한 실험
장비
중에 핵자기공명장치(NMR)가 있어요. 1960년대까지만 해도 물질의 구조를 연구하는 실험실용 장치였지요. 그런데 로터버 교수는 이걸 의학용인 MRI로 개조해서 노벨상을 받았어요. 순수과학용 실험이 아니었다면 ... ...
Part 3. 투수를 해부하는 메스, 투구추적시스템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볼 수 있어 누구나 2007년 이후 메이저리그 선수의 PTS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 하나의
장비
가 야구장에는 엄청난 변화를 몰고 왔다. 훨씬 과학적으로 분석하게 된 것이다. 투수에 대한 PTS 데이터를 분석할 때 가장 보편적인 접근법은 투구 궤적을 살펴보는 것이다. 3차원 영상으로 제공되기 때문에 ... ...
영화 순식간에 내려받는 황금 주파수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줄어든다. 하지만 휴대전화용으로 쓸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은 한정돼 있다. 전파를 쓰는
장비
가 휴대전화만은 아니기 때문이다.나라마다 주파수별로 다양한 전파기기를 사용해야 하니 국제적으로 쓸 수 있는 주파수의 대역도 서로 약속을 한다. 우선 주파수가 0.3MHz 이하로 낮은 초장파, 장파 등은 ... ...
한국의 대표 이공계 중점대학 GIST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있다. 실험동은 일반 건물에 실험 시설을 갖춘 형태가 아니라 처음부터 실험 목적으로,
장비
의 효율까지 고려해 지었다.[GIST 학교 전경. 나즈막한 빨간 건물은 작은 마을을 연상케 한다.]세계 속 GIST가 아닌 ‘GIST 속 세계’GIST에 대한 선입견 중 하나는 서울에서 멀리 떨어져 있어 학문적 교류가 ... ...
같은 실험을 여러 관점에서 보기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것입니다. 연구활동의 주제를 찾지 못하는 학생들에게 측정
장비
를 하나 줬습니다. 측정
장비
라고 하면 거창하게 들리지 모르지만, 건습구 습도계는 간단하게 습도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입니다. 건습구 습도계를 이용해 학교의 습도를 측정하고 그 과정에서 얻은 데이터를 이용해 결론을 ... ...
트랜스포머 무한변신의 힘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슈퍼컴퓨터를 활용한 영화제작 시설과
장비
를 사용한다”며 “이곳에서도 같은
장비
를 사용하기 때문에 졸업생이 바로 현장에서 일할 수 있는 것이 강점”이라고 설명했다.와인버그 교수가 “할리우드 블록버스터의 핵심을 보여주겠다”며 안내한 곳은 한여름에도 16℃ 정도로 서늘한 기계실이다. ... ...
PART 2. 진동은 피곤해!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등 인체 거의 모든 기관에 골고루 영향을 미친다”고 말했다. 우리나라에 전신진동운동
장비
가 소개된 것은 2002년 월드컵 축구대표팀 감독이었던 거스 히딩크가 파워프로그램의 일환으로 도입한 것이 최초라 할 수 있다. 요즘은 피트니스센터 외에도 비만클리닉이나 통증클리닉을 중심으로 ... ...
세계에서 가장 밝은 빛 쏜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건물 안에 들어가자마자 김경진 엑스선운영2팀장이 말했다. 길이가 280m에 이르는 육중한
장비
를 모두 새로 설치했다니 얼마나 대대적인 작업이었는지가 훅 느껴졌다. 새로 태어난 방사광가속기“빔 에너지만 높아지는 게 아닙니다.”빔의 출력(에너지)이 높아진 거냐고 넌지시 ‘아는 척’을 하자 ... ...
심해잠수정 얼마나 깊이 내려가야 하나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중국이 또 한 번 일을 벌였다. 유인우주선으로 세계를 놀라게 하고, 얼마 전에는 스텔스기로 세계를 위협했던 중국이 이번엔 잠수함을 들고 나왔다. 7월 26일에 자체 개발한 심 ... 원격 조정기능을 구현하는 것이 까다롭다. 물속에선 전파가 통하지 않으므로 초음파 신호
장비
를 써야 한다 ... ...
해양관측 바다를 보면 OO 이 보인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9호
바다 표층의 따뜻한 물과 심층의 차가운 물이 뒤섞여요. 태풍이 생길 무렵에 아르고
장비
가 수집한 바다의 정보를 분석한 결과, 평소보다 혼합층의 수온이 평균 1℃ 정도 내려갔다고 해요. 평소 혼합층의 수온은 거의 변화가 없기 때문에 1℃의 변화도 엄청난 것이랍니다 ... ...
이전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