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영상"(으)로 총 3,01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글쓰기] 인공지능 소설가의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8호
- 프로젝트’를 발표했어요. 이 프로젝트의 목표는 사람을 감동시킬 수 있는 음악과 미술, 영상을 만들어내는 거지요. 프로젝트의 첫 결과물로 공개된 80초짜리 피아노곡은 4개의 음표가 주어진 상태에서 만들어졌답니다.이 곡에 대한 사람들의 평가는 분분해요. 사실 과학자들도 인공지능이 만든 ... ...
- Part 2. 유전자 조각 맞추기 퍼즐수학동아 l2017년 08호
- 됐습니다. 인류 집단의 이동도 알게 된 것이지요.지난 7월 13일에는 박테리아의 게놈에 영상을 넣고, 재생한 조지 처치 미국 하버드대학교 의학과 교수의 연구가 네이처에 실리기도 했었죠. 이 또한 정보를 읽고 쓰는 것을 수학적 이론에 기반한 기술로 구현한 것입니다. 게놈 자체가 일종의 ... ...
- [Future] 조작이 불가능한 선거, 블록체인으로 만든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하나, 간단하고 편리한 선거 절차가 먼저 눈에 띈다. 에스토니아가 공개한 투표 영상(오른쪽)을 보면 마치 미래의 세상처럼 컴퓨터에 ID 카드를 인식시키고 선거 시스템에서 후보자를 선택하면 끝이다. 시간에도, 장소에도 구애 받지 않는다. 새벽부터 몇 안 되는 투표장에 줄을 서서 투표하는 우리의 ... ...
- [Culture] 돌아간 사람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나타났다. 바루나 호가 도착하고 뎀베가 젊은 석사과정 시절 ‘바위’를 설치한 직후의 영상이었다. 타임라인은 바루나 호가 떠나고 나서 한 달 후까지 아무 변화가 없었다. 행성시로 39일이 되던 날 항성 A9813이 강렬한 입자 방사를 시작했다. 행성의 전리층이 단번에 파괴되었고 이후 수년에 걸쳐 ... ...
- [과학뉴스] 욕망이 들끓는 시대의 슬픈 자화상, 대마초와 해피벌룬과학동아 l2017년 07호
- 포털사이트에서 검색해 보면 청년들이 해피벌룬으로 아산화질소를 흡입하고 있는 동영상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아산화질소를 흡입했을 때 나타나는 쾌감은 대마초나 다른 마약처럼 강렬하지는 않다. 경험자들은 술에 취했을 때처럼 알딸딸한 기분을 20~30초 동안 느낄 수 있다고 말한다 ... ...
- [Culture] 시대를 바꾼 패러다임으로 미래를 엿본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갱신> 강연 참여는 열린연단 홈페이지(openlectures.naver.com)에서 직접 신청할 수 있으며, 강연 영상과 강연 원고 전문은 홈페이지 및 모바일에서도 동시에 볼 수 있다 ... ...
- 인형뽑기 마스터의 길수학동아 l2017년 07호
- 비법을 전수받다실제로 인터넷이나 유튜브 채널에는 인형뽑기 고수들의 노하우가 실린 영상과 글이 많이 올라와 있다. 고수들은 구태여 설정을 푸는 일 따위는 하지 않았다. 집게에 회전을 주거나 반동을 주는 등 기술적으로 인형을 뽑는다.그러던 중 기자는 인형뽑기 공략집을 손에 넣는다. ... ...
- [DJ CHO의 롤링수톤] 에스허르 하우스에 갇힌 가상 밴드수학동아 l2017년 07호
- 공연을 벌이는 설정이라고 변명도 해봤지만…, 이제는 가상 밴드라는 말이 무색하게 영상 없이 공연도 합니다.알반이 원래 속한 블러는 어떤 밴드냐고요? 90년대 인기를 누렸던 4인조 밴드인데요, 축구게임 ‘피파’의 가장 오랜 버전 ‘피파 98’의 주제가 ‘Song2’를 불렀습니다. ‘우~후!’로 모든 ... ...
- [쇼킹 사이언스] 호수 한가운데 신비한 구멍이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콸콸 떨어지는 것처럼 보이지요. 대체 이 신비한 폭포의 정체는 무엇일까요?아폰소가 영상을 촬영한 곳은 포르투갈 중부를 가로지르는 ‘세라 다 에스트렐라’ 산맥이에요. 최고 높이가 1204m로 포르투갈에서는 가장 높은 곳이랍니다. 우리나라 치악산 높이와 비슷한 수준이지요.이곳엔 물을 이용해 ... ...
- Part 1. 음악, 수학을 만들다수학동아 l2017년 06호
- 모든 선을 소실점과 연결했을 때 특정한 각도를 이루는 선의 쌍들이 차선이다.소실점은 영상 속 모든 선분을 연장해 교점을 구하면 된다. 실제로는 모든 직선이 한 점에서 만나지 못하기 때문에 김 교수는 하모니 서치로 모든 직선에서 거리가 가장 짧은 점을 계산해 소실점을 찾는 법을 연구하고 ... ...
이전1021031041051061071081091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