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영상"(으)로 총 3,019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공감➌ 통계, 생활이 되다수학동아 l2017년 09호
- 활용할 수 있는지 조사해 이야기로 푼 것이다. 생생하게 발표하기 위해 각 상황마다 짧은 영상을 담았다. 아침 기상 상황의 경우는 조건부 확률로 지각할 수 있는 가능성을 구했다. 고등학생 A는 매일 아침마다 일어나 통학 버스를 타고 학교에 간다. 기상 시간에 따라 통학버스를 탈 수 있는 지 ... ...
- [과학뉴스] 가상현실에서 미키마우스와 놀 수 있는 ‘요술 의자’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예컨대 캐릭터가 공을 건네주면 사람이 받는 것 처럼, 화면에는 실제로 교감하는 듯한 영상이 나타난다. 특히 의자 밑에는 액추에이터가 달려 있어서 캐릭터의 움직임에 따라 의자의 진동을 직접 느낄 수 있다. 디즈니연구소 디지털아티스트인 모쉬 멜러는 “이 플랫폼은 여러 사람이 다양한 ... ...
- Part 1. Back to the Moon, 다시 불붙는 달 탐사 경쟁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설명했다. 한국_달 탐사 사업 관리 기관: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임무: 달 표면 영상 확보, 우주방사선 측정, 자원 탐사구성: 궤도선, 착륙선, 탐사차목표시기: 2020년(1단계)발사체: 한국형발사체(KSLV-Ⅱ)특징: 첫 도전 한국도 2020년 처음으로 달에 궤도선을 보낸다. 한국의 달 탐사는 편의상 ... ...
- [Future] 재난구조로봇 1등은 ‘나야 나’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있다. 원자로에서 흘러나온 핵연료가 뒤섞이면서 오염수 아래로 가라앉은 것이다. 이 영상은 일본의 원자력 및 전자회사인 도시바와 국제원전해체연구소(IRID)가 제작한 원격 제어 잠수정 ‘리틀 선피시(개복치)’가 촬영했다. 격납용기 내부의 모습이 공개된 것은 사고 이후 6년 만이다. 과거에도 ... ...
- [과학뉴스] 베풀면 행복해지는 이유과학동아 l2017년 08호
- 했고, 절반에게는 다른 사람을 위해서 쓸 계획을 세우게 했다.그런 뒤 기능성자기공명영상(fMRI) 장치로 뇌를 촬영하면서 또 다른 실험을 실시했다. 관용을 베풀 대상을 선택한 뒤, 그에게 줄 돈과 자신이 부담 할 비용을 제시했을 때 수락과 거절을 참가자가 선택하게 한 것이다.분석 결과, 다른 ... ...
- Part 3. [글쓰기] 인공지능 소설가의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8호
- 프로젝트’를 발표했어요. 이 프로젝트의 목표는 사람을 감동시킬 수 있는 음악과 미술, 영상을 만들어내는 거지요. 프로젝트의 첫 결과물로 공개된 80초짜리 피아노곡은 4개의 음표가 주어진 상태에서 만들어졌답니다.이 곡에 대한 사람들의 평가는 분분해요. 사실 과학자들도 인공지능이 만든 ... ...
- Part 3. 생명을 지키는 착한 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아이언맨’의 주인공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가 팔이 없는 소년에게 로봇팔을 선물하는 영상이 공개돼 큰 감동을 줬어요. 그런데 사실 이 로봇팔을 만든 주인공은 미국 센트럴 플로리다대학교 공과대 학생들이에요.이들은 선천적이거나 사고로 팔을 잃은 어린이들에게 3D프린터로 직접 만든 ... ...
- [Issue] 미국 개기일식, 과학자들도 ‘스탠바이’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연구팀은 530.3nm 파장을 비롯해 코로나의 다양한 온도에서 방출되는 여러 분광선의 필터 영상과 분광 스펙트럼을 관측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코로나의 온도 구조와 변화를 살펴보고 코로나의 가열과정을 연구한다. 대기권 이온층 연구자들도 ‘스탠바이’개기일식을 활용해 지구대기를 연구하는 ... ...
- [Future] 조작이 불가능한 선거, 블록체인으로 만든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하나, 간단하고 편리한 선거 절차가 먼저 눈에 띈다. 에스토니아가 공개한 투표 영상(오른쪽)을 보면 마치 미래의 세상처럼 컴퓨터에 ID 카드를 인식시키고 선거 시스템에서 후보자를 선택하면 끝이다. 시간에도, 장소에도 구애 받지 않는다. 새벽부터 몇 안 되는 투표장에 줄을 서서 투표하는 우리의 ... ...
- [Culture] 돌아간 사람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나타났다. 바루나 호가 도착하고 뎀베가 젊은 석사과정 시절 ‘바위’를 설치한 직후의 영상이었다. 타임라인은 바루나 호가 떠나고 나서 한 달 후까지 아무 변화가 없었다. 행성시로 39일이 되던 날 항성 A9813이 강렬한 입자 방사를 시작했다. 행성의 전리층이 단번에 파괴되었고 이후 수년에 걸쳐 ... ...
이전10110210310410510610710810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