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질"(으)로 총 5,00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5. [노벨상 예측] 노벨상 제정 벌써 117년 향후 노벨상 탈 연구는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조절하는 ‘도움 T세포’, 면역 반응을 억제해 항상성을 유지하는 ‘조절 T세포’, 독성물질을 분비해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를 죽이는 ‘세포독성 T세포’, 항원을 기억했다가 후에 빠르게 활성화되는 ‘기억 T세포’ 등으로 구성돼 있다. 이 분야의 핵심 논문들은 다양한 T세포가 어떻게 분화하고 ... ...
- [Culture] 알골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저희 본명을 밝히지 못해 죄송합니다. 본명이 알려지면 친구나 친척들이 정부의 인질로 잡히지 않을까 싶어서요. 저희는 외모도 크게 바꿨습니다.” 남자가 말했다. 나는 그때서야 정부가 알골들의 신상명세를 제공하지 않은 이유를 알게 되었다. 정부는 그 정보를 아예 몰랐던 것이다. “외모를 ... ...
- [Issue] 잘 나가는 크리스퍼 ‘처녀생식’ 논란과학동아 l2017년 11호
- 교정 실험에서 보편적으로 발견되는 문제점 중 하나다. 에글리 교수가 말한 대립형질 결실은 1000개 이상의 염기가 사라지는 큰 결실을 의미한다. 이 정도로 큰 결실이 일어나면 정자의 유전자는 작은 조각으로 부서지게 되고, 결국 난자의 유전자만 남게 된다. 즉, 남겨진 난자의 유전자를 보고, ... ...
- Part 2. [화학상] 현미경의 ‘혁명’을 이끌다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사실이 된 셈이다. 덕분에 기자도 노벨상 수상자를 1년 일찍 만났다는 흐뭇한 기억을 가질 수 있게 됐다. 이미지 출처: Columbia University, MRC LMB, Felix Imhof ⓒUNIL,ⓒ Martin Hogbom/The Royal Swedish Academy of Sciences, Nature, Royal Swedish A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11호
- 겹친다는 사실입니다. 분해되는 과정은 아직 밝혀지는 중입니다만, 수정란의 유전물질이 만들어낸 짧은 RNA 하나가 난자의 RNA 꼬리에 붙어서 난자의 RNA를 야금야금 분해시키는 효소를 불러온다는 연구도 있습니다(doi:10.1126/science.1122689). 이 일련의 과정이 수정란이 자궁에 착상하기도 전에 일어나는 ... ...
- Part 2. 무리생활을 하는 동물의 게임이론수학동아 l2017년 11호
- 나온 한 마리가 아닌 무리 전체를 뒤쫓을 수 있기 때문에 자칫하면 무리 전체가 위험해질 수도 있어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수학탐험 동물왕국의 능력자Part 1. 기이한 술법 3가지Part 2. 무리생활을 하는 동물의 게임이론Part 3. 둔갑과 은신을 위한 ... ...
- [공룡은 왜?] 공룡이 돌을 먹는다고? 용각류 위석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용각류는 공룡 중에서 몸집이 가장 큰 초식공룡이에요. 기린처럼 긴 목으로 나무 꼭대기에 있는 잎을 따 먹지요. 그런데 용각류 공룡들이 식물 이외에 돌도 ... 소화와 관련 없다고 주장하기도 하지요. 과연 위석은 어떤 역할을 했을까요? 앞으로 밝혀질 새로운 연구 결과를 기대해 주세요 ... ...
- Part 2. 슈퍼맨의 히트비전 고출력 광섬유 레이저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레이저 무기의 제작 계획을 발표하면서 향후 광섬유 레이저 개발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10kW급 레이저 100개면 미사일 요격그러면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 10kW급 소형 레이저를 개발해 슈퍼맨처럼 눈으로 레이저를 쏜다고 가정해보자. 조금 억지스럽지만, 광섬유 레이저 장치가 ... ...
- Part 1. [물리학상] 100년 만에 중력파 존재 확인과학동아 l2017년 11호
- 포착됐다. 분석 결과, 지구로부터 1억3000만 광년 떨어진 우주에서 발생한 신호였다. 질량이 태양의 0.86~2.26배인 중성자별 쌍성의 충돌로 인해 발생한 중력파로 추정됐다. 공교롭게도 1.7초 뒤, NASA의 페르미 감마선 우주망원경에 감마선 폭발이 감지됐다. 위치는 ‘NGC4993’이라 불리는 타원은하 근방. ... ...
- Part 4. [이그노벨상] 고양이는 고체일까, 액체일까?과학동아 l2017년 11호
- 흔들림이 점점 커지다가 흘러 넘치는 현상을 억제하는 효과보다, 돌부리에 걸려 넘어질 위험이 더 커진다”며 “이는 가장 확실하게 커피를 넘치게 하는방법”이라고 너스레도 떨었다. 그리고는 두 번째 방법으로 고양이처럼 손가락을 펼쳐 아래로 향하게 한 뒤 컵의 윗부분을 감싸 쥐고 걸으라고 ... ...
이전10110210310410510610710810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