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질"(으)로 총 5,005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erview] ‘융합형 창의’ 발휘되도록 학부생 지원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같은 사회적인 문제의 해법도 찾을 수 있고, 스타트업의 탄생으로 일자리도 만들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박 이사장은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교수로 재직하면서 평소 과학기술 대중화에 관심이 많았다. 특히 문화 콘텐츠의 영향력을 절감해왔다고. 그는 “영화 ‘건축학개론’이 공전의 히트를 ... ...
- [Culture] 보리 게놈지도 마침내 완성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보리 표준 게놈지도 완성보리의 품종은 앞으로 더 다양해질 전망이다. 닐스 스타인 독일 라이프니츠 식물유전학작물연구소(IPK) 교수팀을 비롯한 국제보리염기서열분석컨소시엄(IBSC)이 올해 4월 여섯줄 보리의 게놈을 해독해 표준 게놈지도를 완성한 뒤, 과학학술지 ... ...
- [Origin] ‘신의 저주’도 옛말, 에이즈 예방시대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밝혔다(doi:10.3904/kjm.2016.90.6.487). HIV 검사에 대한 인식 바뀌어야한국의 상황은 어떨까. 질병관리본부가 올해 8월 발표한 ‘2016년 HIV/AIDS 신고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신규 신고는 1199명으로 2010년 837명에 비해 43.7% 증가했다. 이를 두고 ‘한국만 신규 감염인이 늘고 있다’는 논란이 분 ...
- [Issue] 동물정신과 측면에서 본 공격성과 치료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두려움을 느끼는 개가 입마개까지 쓰고 산책을 한다고 상상해보라. 공포심은 더욱 심해질 수 있다. 사실 입마개 교육은 공격성을 보이지 않더라도 세상의 모든 개가 받아야 하는 의무교육에 가깝다. 자동차를 탈 때 조금 불편해도 안전벨트를 매는 것 처럼, 어린이가 찻길을 건널 때 엄마의 손을 ... ...
- [Future] 알파고 제로, 공식을 깨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구글 딥마인드 팀조차도 아직 완성하지 못했다. 알파고 제로의 강화학습 방법은 양질의 데이터를 확보하기 어려운 분야에서 특히 유용할 것이다. 의료, 법률, 투자, 예측 등의 분야에서 문제를 발굴하고 궁극적으로는 불치병이나 에너지 문제와 같은 인류의 난제를 푸는 인공지능의 활용 방안을 ... ...
- Part 2. 100년 日기초과학 경쟁력의 상징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즉각 연구소를 떠나야 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경우에 따라 2~3년의 유예 기간이 주어질 수도 있다. 오웬스 부원장은 “NIH 소속 연구자들은 외부에서 연구 수주를 안 해도 된다는 장점이 있지만, 그만큼 성실히 연구해야 할 책임이 따른다”고 말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과학자 10 ... ...
- [Culture] 지옥구더기의 분류학적 위치에 대하여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머릿속에서나 나올 법한 소리였지만, 에반스 교수의 말마따나, 모르는 일이었다. 정말로 질문자의 정체가 다른 생태계의 생물학자라면, 그의 연구는 아마도 순조롭게 풀려나갔을 것이다. 그로부터 온 마지막 메일 내용이 인사치레가 아닌 진실을 담고 있다면. 어디에 사는 사람이든, 어떤 종이든, ... ...
- Part 1. 연구개발(R&D) 평가 패러다임이 바뀐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완전한 질적 평가에 가까운 형태로 평가 방식이 발전하겠지만 그때까지 연구자들에게는 질적 성과지표가 매우 유용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과학자 100명에게 물었습니다Part 1. 연구개발(R&D) 평가 패러다임이 바뀐다Part 2. 100년 日기초과학 경쟁력의 상징 ... ...
- [공룡은 왜?] 공룡이 돌을 먹는다고? 용각류 위석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용각류는 공룡 중에서 몸집이 가장 큰 초식공룡이에요. 기린처럼 긴 목으로 나무 꼭대기에 있는 잎을 따 먹지요. 그런데 용각류 공룡들이 식물 이외에 돌도 ... 소화와 관련 없다고 주장하기도 하지요. 과연 위석은 어떤 역할을 했을까요? 앞으로 밝혀질 새로운 연구 결과를 기대해 주세요 ... ...
- Part 1. 배트맨의 검은 배트슈트, 최소 두께 가진 최강 그래핀으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최근 각종 나노소재를 적용한 복합재료가 개발되면서, 기존의 상식에서 벗어난 물질이 탄생할 가능성이 어느 때보다 높아졌다. 혁신적인 나노복합소재를 개발하려면 나노소재 특유의 강점을 이끌어내는 제조 공정이 필요하다. 더불어 나노복합재료의 방탄 특성을 정확히 분석할 새로운 실험방법도 ... ...
이전10010110210310410510610710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