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면
외부
바깥
얼굴
낯
밖
뉴스
"
표면
"(으)로 총 3,914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원은 지금] 포스텍, 수소생산 효율 12배 높인 새 광촉매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4.20
19일 밝혔다. 속이 빈 이산화티타늄에 얇은 질화탄소를 덧씌운 이중 구조로 내외부
표면
에 환원반응을 일으키는 백금과 산화반응을 일으키는 이리듐산화물을 공간적으로 분리한 광촉매다. 이산화티타늄이 자외선을, 질화탄소가 가시광선을 흡수해 두 영역에서 모두 작동한다. 백금과 ... ...
[강석기의 과학카페]우리 몸은 왜 향기 분자를 만들까
2022.04.19
나쁜 콜레스테롤(LDL)의 지방산이 산화돼 생긴 옥타날이 혈관 대식세포(vascular macrophage)
표면
의 냄새수용체 OLFR2에 달라붙으면 일련의 염증반응이 활성화돼 동맥경화가 진행된다. 사이언스 제공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 ... ...
[산업게시판]실내에서도 발전 가능한 태양광 패널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4.19
새로운 형태의 태양광 발전 시스템 기술을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연구팀은 광섬유
표면
에 나노 크기의 홀을 가공해 빛의 산란을 극대화하고, 산란된 빛을 최대한 흡수할 수 있도록 유기물 기반의 태양전지 구조를 재설계했다. 이를 통해 빛의 입사각에 상관없이 전기를 생산할 수 있고, 하루 최대 ... ...
팔에 붙이는 패치로 심전도 모니터링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4.18
전자패치 전극의 약한 내구성을 보완하기 위해 전도성 소재인 탄소나노섬유를 실리콘
표면
에 넣는 새로운 구조를 고안했다. 신체 움직임에 따라 늘어나면서도 패치와 전극이 쉽게 분리되지 않아 신축성과 전도성, 내구성을 동시에 확보한 것이다. 연구진은 개발한 패치 소재와 신축성 전극, ... ...
[표지로 읽는 과학]유리를 인쇄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4.17
유리는 특히 균열이 많거나
표면
이 거칠면 더 쉽게 부서지는 경향이 있는 만큼 매끄러운
표면
이 중요하다. 연구팀은 고분자에만 적용하던 CAL 기술을 유리로 확장했다. 2019년 처음 CAL 기술을 개발했을 당시에는 0.3mm 두께로 고분자 물체 인쇄가 가능했다. 이를 개선한 마이크로 CAL은 사람 ... ...
[2022 필즈상 후보] (6) 미분기하학의 기대주 쑨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 교수
수학동아
l
2022.04.16
한 차원 높은 도형이라고 생각하면 쉽습니다. 예를 들어 3차원인 아주 큰 구가 있을 때 구
표면
을 기어 다니는 개미는 주변을 2차원 평면이라고 생각할 겁니다. 이처럼 부분적으로 봤을 때 한 차원 낮은 공간을 갖는 대상을 ‘다양체’라고 합니다. 이런 다양체 중 켈러 다양체가 표준이자 최적의 ... ...
코속에 뿌리는 코로나 치료제가 온다…모든 변이 효과
동아사이언스
l
2022.04.15
슈퍼컴퓨터를 이용해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인체에 침투할 때 활용하는 스파이크 단백질
표면
의 취약한 부위에 달라붙을 수 있는 단백질을 설계하고 지난 2020년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논문을 발표했다. 이번 연구에서는 ‘미니 바인더’로 불리는 단백질을 재설계했다. 미니바인더는 ... ...
ESA "달 탐사 협력 중단" 러시아와 결별
동아사이언스
l
2022.04.14
착륙 시스템을 구축할 협력 상대를 찾고 있다고 덧붙였다. ESA는 앞서 지난달 17일 화성
표면
을 2m 깊이까지 굴착할 수 있는 탐사 로버로 생명체 흔적을 찾기 위해 러시아와 함께 추진해온 '엑소마스' 미션을 중단한다고 밝혔다. ESA는 13일(현지시간) 성명을 통해 “엑소마스 로버가 모든 준비를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도무지 사라지지 않는 ‘천연 상술’
2022.04.13
자연에서 채취한 광물을 이용한다고 무작정 안심할 수도 없다. 물에 젖어있는 광물의
표면
에서 세균이나 곰팡이가 증식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결로 현상이 나타나는 벽체나 뚜껑을 열어놓은 물티슈에서 세균이나 곰팡이가 증식하는 것과 똑같은 일이 벌어질 수 있다는 뜻이다. ... ...
화성에선 소리가 어떻게 들릴까...퍼시비어런스가 포착한 최초의 소리 분석 결과
동아사이언스
l
2022.04.11
화성은 소리가 전달되는 속도(음속)이 지구보다 느린 것으로 나타났다. 지구 지
표면
에서 소리가 퍼져나가는 속도는 초당 343m이지만, 화성 음속은 지구의 3분의 2 수준인 초당 240m 수준이다. 과학자들은 이같은 결과가 어느 정도 예상된 것으로 보고 있다. 소리는 대기를 매질로 삼아 전달되는데 ... ...
이전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