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이름"(으)로 총 1,270건 검색되었습니다.
- [사이언스 지식IN] ⑤ 곧 B형 독감이 유행한다고요? A형 독감과 무엇이 다른가요?동아사이언스 l2016.12.26
- A형 독감, B형 독감, C형 독감, 그 차이점은? - (주)동아사이언스(이미지 소스:GIB) 제공 일단 이름대로 독감을 일으키는 바이러스가 다릅니다. 증상은 서로 조금 다르다고는 하지만 독감에 걸린 환자가 본인이 A형 독감에 걸렸는지, B형 독감에 걸렸는지 구별하기는 어려운 정도입니다. 아마 ...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0) 현장에 개입해 핵심종 개념을 만든 로버트 페인 2016.12.24
- 자율성을 최대한 보장하고 필요할 때는 도움을 주면서도 논문에는 되도록 자신의 이름을 넣지 않으려는, 즉 제자들이 빨리 독립할 수 있게 하려는 배려가 있었기 때문이다. 페인은 1967년 연어낚시 여행을 떠났다가 발견한 태평양 연안의 작은 섬 타투시(Tatoosh)를 둘러본 뒤 연구에 최적지라는 사실을 ... ...
- 조류독감, 발병의 주범은 오직 ‘철새’?2016.12.22
- 검색해 봤을 겁니다. 그러면 맨 위에 “조류인플루엔자·구제역”이라는 이름으로 홈페이지가 하나 나옵니다. 농림축산식품부에서 운영하고 있는 가장 믿을만한 홈페이지이지요. (누구나 그렇게 생각할 겁니다.) 네이버 화면 캡쳐 제공 예상했던대로 팝업창이며 메인 페이지며 모두 조류독감 ... ...
- 조류독감은 백신으로 예방할 순 없나요?2016.12.21
- N 관련 단백질(전문 용어: NA)이 모두 9종류이며 발견 순서대로 번호를 매겨 바이러스 이름을 완성합니다. 둘 중 H관련 단백질은 동물의 세포와 결합해 바이러스가 세포 안으로 들어갈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래서 백신을 만들 때는 유행하는 바이러스의 H관련 단백질이 몇 번인지가 가장 ...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7) 메타개체군 연구를 심화시킨 ‘일카 한스키’2016.12.20
- 도움을 주면서도 ‘상당한 지적 기여’를 했다고 판단하지 않는 한 논문에 공동저자로 이름을 올리는 걸 거부했다. 후배 과학자들이 하루 빨리 경력을 쌓아 독립하기를 바랐기 때문이다. 뛰어난 학자이자 존경받는 스승으로 학계에서 널리 인정받고 있던 한스키는 그러나 2014년 암 진단을 받았다. ...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6)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분자를 발견한 '해리 크로토'2016.12.19
- 발표한 논문에서 이 분자에 버크민스터풀러렌(buckminsterfullerene)이라는 다소 긴 이름을 붙였다. 크로토가 지오데식 돔을 디자인한 버크민스터 풀러(Buckminster Fuller)를 떠올려 제안했다고 한다. 비록 일류 저널에 실렸지만 질량분석 데이터만으로는 구조를 100% 증명한 게 아니기 때문에 회의적인 시각이 ... ...
- [사이언스 지식IN] 예뻐지고 싶은 그대를 위한 보톡스의 진실동아사이언스 l2016.12.16
- 관련 기사 ☞ 보톡스는 본디, 어마어마한 맹독 2) 필러 사실 필러(filler)는 약물의 이름이 아닌 ‘충전제’라는 뜻을 가진 영어 단어로, 성형외과에서 ‘충전제 성분을 주사기로 피부 속에 넣어 주름을 펴주는 시술’을 일반적으로 부르는 용어입니다. 주로 젤리 형태의 약물을 피부 속에 넣어 ... ...
- [사이언스 지식IN] ②독감 예방주사, 지금이라도 맞을까요?동아사이언스 l2016.12.15
- 감염을 예방할 수 있는 바이러스의 수가 다르다. - (주)동아사이언스 제공 Q3. 분명 이름이 같은 백신 주사인데, 왜 가격이 천차만별인가요? ▶ 독감 예방주사 가격에는 지역차, 병원차(각 병원의 임대료가 모두 다른 탓? 백신 공급 가격이 다른 탓?)가 존재합니다. 보통 3가 백신의 비용이 3만원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301] 잠과 꿈의 유전학 - 잠꾸러기 생쥐와 꿈 안 꾸는 생쥐2016.12.05
- 시간도 반토막이 났을 것이지만 꿈을 아예 꾸지 않는 건 아님에도 극적 효과를 위해 이런 이름을 붙인 듯하다. 반면 비렘수면은 정상 생쥐와 별 차이가 없었다. 게놈에서 변이가 일어난 부분을 확인한 결과 14번 염색체에 있는 Nalcn 유전자의 엑손에서 염기 하나가 티민(T)에서 아데닌(A)으로 바뀌어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300] 발 냄새와 낫토와 청국장2016.11.28
- 냄새 지각에 큰 영향을 미치는 현상에 대해 저자들은 ‘탑-다운 조절 메커니즘’이라고 이름 붙였다. 즉 냄새에 대한 지각(다운)이 냄새에 대한 기존 정보(탑)에 크게 좌우된다는 말이다. 1906년 일본 농학자 사와무라 신 박사는 낫토에서 발효를 담당한 박테리아인 낫토균(Bacillus subtilis var. natto)을 ... ...
이전9697989910010110210310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