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이름"(으)로 총 1,270건 검색되었습니다.
- ‘도덕적이니까’라는 믿음의 무서움2016.06.14
- 순간 그 믿음은 강해지고 행동으로 옮기기 쉬워진다.” 개인적으로는 도덕과 원칙 등의 이름으로 선을 행할수도 있지만 반대로 소수자를 자신의 기준으로 쉽게 판단하고 배척해 버릴 수 있는 우리 인간들에게 던지는 경계의 메시지로도 받아들여졌다. 관련해서 “도덕적으로 옳다/그르다”의 ... ...
- 창업하려면 잘하는 것에만 집중하세요과학기술인공제회 l2016.06.08
- 만든 기업으로 유명하다. 2014년 구글이 4억 달러에 인수해 현재는 구글 딥마인드라는 이름으로 변경됐다. 물론 허사비스를 포함한 설립자들은 계속 개발 업무를 진행한다. 이 대표가 추천하는 모델이 바로 이것이다. 관련 연구는 계속 진행하되 회사는 매각해서 전문 경영진이 성장시킬 수 있도록 ... ...
- “참으면 더 좋은 걸 주지~” 마쉬멜로우 실험의 다른 이야기2016.06.07
- 지위가 더 높았다는 등의 연구들이 다수 이루어진 바 있다. ‘마쉬멜로우 실험’이라는 이름으로도 유명한 실험들이다. 이러한 일련의 연구들을 통해 연구자들은 미래의 더 큰 보상 또는 목표 달성을 위해 현재의 유혹을 뿌리칠줄 아는 능력, 즉 ‘만족 지연(delay of gratification)’이 삶에 각종 ... ...
- 다윈의 나방 유전자 마침내 규명2016.06.06
- 맨체스터에서 날개가 검은 얼룩나방이 처음 보고됐다. 원래 얼룩나방(peppered moth)은 이름처럼 밝은 색 바탕에 후추를 뿌린 듯 짙은 색 무늬가 흩뿌려진 날개 패턴이 나무 기둥이나 줄기를 덮은 지의류와 비슷하다. 그 뒤 영국 전역에서 공업지역을 중심으로 검은색 얼룩나방의 개체수가 점점 늘어가 ... ...
- 양귀비꽃, 그 붉은 아름다움의 비밀2016.05.30
- 죽자 그 애첩인 우희(虞姬)도 자결을 했고 우희의 무덤에 핀 꽃이 바로 개양귀비라 이런 이름이 붙었다. 양귀비속(屬) 꽃들의 자태에는 남심(男心)을 홀리는 뭔가가 있는가보다. 꽃잎의 색은 빛의 흡수와 반사, 투과의 효과가 종합된 결과다. 그림은 꽃잎의 앞면(adaxial side. 꽃을 오므렸을 때 안쪽)에 ... ...
- 양자역학 문제, 게임으로 푼다2016.05.10
- 인공지능의 직관을 개발하기 위한 도구인 셈이다. 참고로 알파고를 만든 구글의 자회사 이름이 딥마인드(DeepMind)다.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9월부터 ... ...
- 인류는 언제부터 전쟁을 했을까?2016.05.02
- 거대한 고분 20여 기가 있는 대릉원에 와서는 책에서 ‘우리의 뿌리이자 원형의 다른 이름-대릉원에서’라는 에세이를 읽은 뒤 둘러보는 식으로 이곳저곳을 다녔다. 특히 분황사와 황룡사지가 인상적이었다. 사진으로만 봤던 분황사 모전석탑은 생각보다 규모가 커서 좀 놀랐다. 벽돌로 지어서인지 ... ...
- 호기심의 두 얼굴: 호기심은 인간을 이롭게 만들까, 아니면 해롭게 만들까? 2016.04.19
- 5종(빈대, 지네, 바퀴벌레, 모기, 좀)을 놓고 비슷한 실험을 했다. 그 결과 버튼에 곤충 이름이 쓰여 있을 경우 평균 9회 클릭한 반면 물음표일 때는 16회였다. 어차피 물음표를 클릭해봐야 혐오스런 5종 가운데 하나가 나올 뿐임에도 불확실성을 해소하고자 하는 욕망에 거의 두 배나 많이 누른 것이다. ... ...
- 10파운드 지폐 인물이 된 스코틀랜드 신사임당은 누구?2016.03.28
- 있는 사람이라면 세종대왕을 알 것이고 유학의 역사에 정통한 사람은 이황과 이이의 이름을 들어봤을 수도 있다. 그러나 5만 원 권에 나오는 신사임당은 우리나라 밖에서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을 것이다. 위키피디아의 글을 읽다보니 소머빌은 과학자로서보다는 과학저술가로 더 유명해 책을 ... ...
- 원자폭탄이 탄생시킨 SF 걸작, 닥터 스트레인지러브2016.03.08
- 위력은 가해자와 피해자 양측 모두를 공포에 떨게 만들었죠. 그 공포스런 녀석들의 이름은 귀엽게도 ‘리틀 보이’와 ‘팻맨’ 이었다죠? ● 건배럴 방식, 히로시마급, 인플로전 방식과 짜르봄바까지 먼저 리틀 보이라는 폭탄은 U-235 기반의 원시적인 건배럴 방식의 핵분열 폭탄이며, 최저 13에서 ... ...
이전9910010110210310410510610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