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명칭
성명
호칭
고유명
직함
명성
네임
스페셜
"
이름
"(으)로 총 1,270건 검색되었습니다.
북아메리카 비둘기가 멸종한 원인은?
동아사이언스
l
2017.11.19
지구상에 마지막으로 살아‘남았었던’ 유일한 새다. 사람들이 ‘마사(Martha)’라는
이름
까지 지어준 이 비둘기는 1914년 죽었고, 동시에 이 종은 멸종했다. 마사는 여행비둘기(Passenger Pigeon), 나그네비둘기(학명 Ectopistes migratorius)라고 불리던 종으로 1800년대까지만 해도 북아메리카 대륙에 30~50억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약초 족도리풀, 알고 보니 독초?
2017.11.07
실체를 확실히 알기 어렵고 한 약재에 여러 식물이 섞여 있기도 하고 심지어 엉뚱한
이름
이 붙어있기도 하다. 따라서 약재의 성분을 확인할 수 있는 크로마토그래피 같은 분석법과 약재 유통을 관리하는 규제가 병행돼야 AA에 대한 노출을 줄이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 필자소개 강석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노세보 효과의 뇌과학
2017.10.17
연구자들은 노세보 통각과민 효과에 관여하는 이 회로를 ‘rACC-PAG-척수 축’이라고
이름
붙였다. 즉 제삼자의 눈에는 노세보 효과가 엄살처럼 보이지만 당사자는 정말 그렇게 느낀다는 것이다. 얼마 전 뉴스에서 서울대병원이 진료시간을 5분에서 15분으로 늘리기로 했다는 얘기를 들었다 ... ...
심장 세포가 심장만 만들 수 있는 이유를 찾는 과학자들
동아사이언스
l
2017.10.15
관계나 X염색체가 불활성화 되는 과정에 대한 논문이 발표됐습니다. GTEx 컨소시엄의
이름
으로 발표된 논문1)은 빅데이터를 이용해 유전자의 발현이 유전적 변이에 영향을 받는 다는 사실을 밝혀냈습니다. 알렉시스 배틀 미국 존홉킨스대 교수와 스테판 몽고메리 미국 스탠퍼드대 교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017 노벨상 발표를 지켜보며 떠오른 두 명의 로널드
2017.10.10
동년배인 코놉카와 친하게 지냈다. 코놉카는 홀과 로스바쉬의 1984년 논문에 공동저자로
이름
을 올렸다.) 그가 칼텍 교수로 있을 때 냉소적인 유머와 박학다식함이 버무려진 강의로 학생들에게 인기가 많았다고 덧붙였다. 어릴 때부터 전자장치를 만드는 걸 좋아했던 로널드 드레버는 1987년 출범한 ... ...
수 천만 개의 원자가 하나처럼 움직이는 때는?
동아사이언스
l
2017.09.10
보스가 처음 예견한 현상으로 이들의
이름
을 따 ‘보스 아인슈타인 응축(BEC)’ 현상이란
이름
이 붙었다. BEC의 이론적 현상이 제기된 진 오래지만 실제 실험실에서 이 현상을 증명한 건 불과 20년 밖에 되지 않았다. 과학자들은 왜 눈에 보이지도 않는 원자의 거동을 연구하려 끊임없이 노력할까?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플라스틱을 분해하는 애벌레가 있다고?
2017.08.15
학명 Galleria mellonella)의 애벌레가 벌집을 갉아먹는 장면을 목격한다. 이 나방의 영어
이름
‘왁스 모스(wax moth)’에서 짐작하듯 애벌레는 밀랍(beeswax)을 먹고 자란다. 베르토치니 박사는 애벌레를 잡아 플라스틱봉지에 넣었는데 다음날 보니 구멍이 여러 개 뚫려 있었다. 플라스틱봉지는 대부분 ... ...
중고 카메라에서, 37년전 화산 폭발 장면 발견돼
팝뉴스
l
2017.08.09
‘오리거니언’은 이 희귀한 사진들을 신문에 실었는데, 멜빈 퍼비스란
이름
의 사내가 이 신문을 보고 의자에서 굴러 떨어질 뻔 했다고 말한다. “이 사람은 바로 나잖아!” 그 카메라는 한 때 멜빈의 할머니가 소유했던 물건이었다! 화산 폭발 다음 해인 1981년에 돌아가신 할머니의 카메라는 알 수 ... ...
지퍼가 열리니, 부도체 물질이 반도체로!
동아사이언스
l
2017.08.06
사다리가 등장했다. 분자 구조가 사다리와 닮았다고 해서 ‘레더린(Ladderene)’이라
이름
붙은 고분자의 모습이다. 양시아 미국 스탠포드대 교수팀은 이 고분자를 이용해 외부의 자극에 따라 전기적 특성이 변하는 ‘메커노케미컬(mechanochemical) 소재’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고 ‘사이언스’ 4일자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생쥐의 앞발이 손이 되지 못한 사연
2017.08.01
강, 바이올린)-손열음 듀엣의 연주 동영상도 올라왔다. 덕분에 신지아 씨 연주와 함께
이름
은 알고 있었던(워낙 특이해서) 클라라 주미 강의 연주도 즐겁게 감상했다. 사람을 포함한 고등영장류는 손놀림을 잘 할 수 있게 신경회로가 구축돼 있다. - 동아DB 제공 평소 클래식 음악은 라디오나 CD ... ...
이전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