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바로"(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류멸망시나리오② 10km급 천체가 떨어져 겨울이 찾아왔다과학동아 l2022년 02호
- 지점은 멕시코의 유카탄 반도였다. 6600만 년 전 공룡 멸종을 몰고온 소행성이 떨어졌던 바로 그곳이었다. 다이너소어를 발견한 과학자는 처음에는 충돌지점을 태평양 한가운데라고 잘못 예측했는데, 이 때문에 정확한 충돌지점이 나오기까지 일부 사람들은 떨어지는 지점이 바다라 피해가 적을 수도 ... ...
- [SF소설] 마지막 인사과학동아 l2022년 02호
- 973이에요. 잘 부탁드려요.”그리고 침묵이 이어졌다. 아이는 옅은 미소를 띤 채 당신을 똑바로 바라보고 있었다. 당신이 먼저 말을 건네지 않으면 영원히 그러고 있을 것 같았다. 역시 인공지능이구나 싶었다. 당신이 물었다.“궁금한 것 없니? 나에 대해서.”“뭘 궁금해해야 하는지 잘 모르겠어요. ... ...
- [통합과학 교과서] 사랑꾼 에릭 왕자를 구해 줘!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2호
- 투명하면서도 눈의 빈 공간을 채워 동그란 형태를 유지하죠.눈이 동그란 두 번째 이유는 바로 각막과 수정체 사이 공간을 흐르는 ‘방수’라는 투명한 액체 덕분입니다. 방수는 외부의 압력과 유리체가 밀어내는 힘에도 각막과 수정체 사이가 찌그러지지 않도록 합니다. 또, 눈에 영양분을 공급하는 ... ...
- 질문하면 답해 ZOOM!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2호
- 왜 나는 건가요?조우리(ivorypr) “웅~, 지잉~.” 냉장고에서 나는 이 소음의 정체는 바로 냉장고 속 냉매●가 압축되며 나는 소리입니다. 주사 맞기 전, 알코올 솜을 팔에 문지르면 시원한 느낌이 들죠? 피부에 묻은 알코올 액체가 기체로 변하는 과정에서 피부의 열을 빼앗기 때문이에요. 액체가 ... ...
- [주니어 폴리매스] 폴리매스 어셈블수학동아 l2022년 02호
- ‘창의 수학’ 문제를 내고 수학 공부법과진로 등에 대한 상담도 해 줄 계획이에요.지금 바로 폴리매스 홈페이지에 접속해 [주니어 폴리매스]-[폴리매스 어셈블]에서 문제를 풀어보세요! 폴리매스 어셈블 유태영 멘토 안녕하세요! 2019년에 IMO 후보로 선발됐으며, 고등학교 졸업 후에도 ... ...
- [드론으로 본 제주] 독특한 화산의 흔적과학동아 l2022년 02호
- 반복됐고, 그렇게 총 세 개a의 화구에서 분출된 화산쇄설물로 만들어진 물속 화산이 바로 용머리해안이다. 용머리해안은 원시 제주의 모습을 담고 있으며, 독특한 지형 덕에 2011년 천연기념물 제526호로 지정됐다. 용머리해안은 형성 당시 화구에서 나온 화산분출물이 바닷물을 만나며 수평으로 ... ...
- [METAVERSE] 현실에선 부자인 내가 이세계에선 상거지?과학동아 l2022년 02호
- 정신력이야. 내가 만든 상품이 잘 안 팔리거나 부정적인 평가를 받을 수도 있어. 정신 똑바로 차리고 꾸준히 도전해야 경험도 쌓이고 성공에 다가갈 수 있겠지.나만의 스타일을 갖추는 것도 중요해. 아무리 인기 있고 좋은 디자인이라도 우리 숍의 콘셉트와 맞지 않으면 만들 필요가 없지. 대단한 ... ...
- 네, 그래서 이과가 충전식 휴지를 만들어봤습니다과학동아 l2022년 02호
- 놓치지 않을 겁니다. 휴지심에서 가죽을 키우는 방법입니다. 이미 상용화되기도 했죠. 바로 ‘버섯 가죽’입니다. 최근 비거니즘이 식생활을 벗어나 패션, 화장품 등 생활 전반으로 확장되고 있습니다. 버섯 가죽은 버섯의 영양기관인 균사체를 가공해 가죽 형태로 만든 겁니다. 동물을 죽이지 ... ...
- [화보] 초콜릿 산에 크림 호수가? 맛있는 세상 속으로~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2호
- 눈 위를 시원하게 미끄러지는 기분을 느낄 수 있지요. 그런 스키장이 어디 있냐고요? 바로 헝가리의 사진작가 피터 츠사크바리가 만든 ‘밀가루 스키장’이지요! 피터 츠사크바리는 다양한 음식과 미니어처 인형을 활용해서 작은 세상을 만들어요. 그가 만든 손바닥만 한 세상으로 함께 떠나볼까요 ... ...
- [수학자 가상 인터뷰] 수학으로 세상을 설명하다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2호
- : 인류 역사상 가장 위대한 책으로 꼽히는 ‘프린키피아’를 쓴 바로 그분이시죠! 네. 모든 물체 사이에는 서로 잡아당기는 힘이 있다는 ‘만유인력의 법칙’을 설명한 책이지요. 사람들이 제 덕분에 세상의 자연 현상을 이해할 수 있게 됐다고 하더군요, 하하. 저는 자연의 법칙을 숫자와 식, 타원, ... ...
이전9697989910010110210310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