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플라스터
석고
모르타르
혼합물
벽토
뉴스
지진 대비하려면? 알림 체계 정립보다 중요한 건 이것!
동아사이언스
l
2017.04.11
느낀다. 많은 사람들이 잠을 깬다. 그릇, 창문 등이 깨어지기도 하며, 어떤 곳에서는
회반죽
에 금이 간다. 불안정한 물체는 넘어 진다. 나무, 전신주등 높은 물체가 심하게 흔들린다. 추시계가 멈추기도 한다.”는 현상입니다. 문제는 진도Ⅴ에 대한 이 설명은 우리나라 건축물과 지반 상황에 기초해 ... ...
9500년 전 유골의 얼굴 복원해 ‘화제’
팝뉴스
l
2016.12.13
같이, 중요한 종교적 장례 절차를 치러졌기 때문이다. 얼굴을 몸에서 떼어내고 그 속을
회반죽
으로 채우며 안구가 들어 있던 공간은 조개껍질로 채우는 의식이었다. CT촬영과 법의학 등 현재 과학 기술을 통해 복원된 9,500년 전 인물은 살아 있는 눈빛을 갖고 있어 인상적이다. 이 유골의 전시 기간은 1 ... ...
뉴스 더보기
d라이브러리
[Origin] 미라가 알려주는 조선 양반 사망 사건의 전말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여긴 물건들을 담았다. 먼 길을 떠나는데 혹시나 들짐승이 방해라도 할까봐, 역시
회반죽
으로 빚은 뚜껑으로 관을 닫았다. 개미새끼 한 마리 들어가지 못할 정도로 빈틈없이 만들었다. 가족들은 울음과 함께 관을 땅에 묻었다. 370년이 훌쩍 넘은 최근, 한국 과학자들은 김씨와 정 씨 부인이 어떤 ... ...
[Issue] 경주 지진 벌써 1년, 석가탑과 첨성대 큰 지진에 견딘 비결
과학동아
l
2017년 09호
고운 모래를 깔고 증류수를 뿌린 다음, 윗돌을 놓았다. 그러면 무기질재가 물과 만나
회반죽
처럼 끈적끈적해졌다가 단단해 진다. 결국 위아랫돌 사이의 접촉 면적이 넓어지면서 마찰력도 커진다. 그래서 지진이 일어났을 때 좌우 방향으로 일어나는 진동을 버티는 힘이 커진다. 이외에도 티타늄을 ... ...
[매스투어] 불교문화 속 띠군을 찾아~ 태국으로!
수학동아
l
2015년 01호
부다는 1434년 치앙라이에서 처음 발견되었습니다. 발견 당시에는 외관의 색깔이
회반죽
색이어서 평범한 부처처럼 보였는데, 어느 날 코 부분이 벗겨지면서 천연의 옥색이 드러났습니다. 그런데 맨 처음 옥색의 몸체를 발견한 스님은 그 보석이 에메랄드인 줄 알았다고 합니다. 그래서 옥으로 만든 이 ... ...
Part 2. 죽음의 안식처, 무덤에게 묻는다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한다(이 기사에서는 특별히 회격묘와 회곽묘를 구분할 필요가 없을 경우에는 ‘
회반죽
을 주위에 두른 무덤’이라는 포괄적 의미에서 ‘회곽묘’라고 통일해 쓰고 있다).세조실록을 살펴보면 왕실이 사대부 집안에서 석실묘를 쓰지 못하도록 했고, 대신 장례를 치를 때 직급에 따라 석회를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