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젓가락
젖가락
저
젖갈
젓
스페셜
차례상에 담긴 음양의 법칙
KISTI
l
2014.09.05
놓는 것일까? 좌포우혜의 경우 포(脯, 말린 것) 종류의 음식보다는 혜(醯, 소금에 절인
젓갈
류) 종류의 음식이 좋고, 어동육서 또한 육(肉, 육류)의 음식보다는 어(魚, 생선류)의 음식이 좋다고 여기기 때문이다. 두동미서는 미(尾, 꼬리)의 음식보다는 두(頭, 머리)의 음식이 좋은 것이니 좋은 것을 먼저 ... ...
한국의 ‘김장문화’, 인류무형유산 등재!
KISTI
l
2014.01.06
섞어 버무리는데, 여기서 우리 조상들은 미생물들을 위한 배려도 빠뜨리지 않았다.
젓갈
과 쌀가루 등을 넣어 김치를 발효시키는 미생물의 먹이가 되게끔 한 것이다. 이 같은 지혜는 타 국가의 저장 식품과는 전혀 다른 김치만의 특징이다. 김치가 지닌 또 하나의 장점은 단백질이나 지방 등 열량을 ... ...
스페셜 더보기
d라이브러리
애피타이저와 날 것 즐긴 조선의 밥상
과학동아
l
2020년 02호
막을 수 있다.한편 본식은 전식에 비해 음식의 가짓수가 훨씬 많았다. 밥과 탕을 비롯해
젓갈
과 소고기, 수란 같은 반찬에 회와 소 내장 요리도 나왔다. 포크는 전주에서 본식을 먹은 뒤 “높이가 가슴에 닿을 만큼 쌓아 올린 음식 상”이라고 기록했다. 박 단장은 “조선 시대에는 큰 행사나 중요한 ... ...
‘배민 떡볶이 마스터즈’ 결선에 가다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1900년대에야 생겼다는 결론이 나온다. 권 책임연구원은 “고추장뿐만 아니라 김치,
젓갈
, 장아찌 등 우리나라의 많은 발효식품에 고추가 들어간다”며 “100년 만에 이 모든 음식이 생겨나 중심 식문화로 자리 잡는 건 불가능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그는 “일본에서 고추가 전파됐다면 일본에도 ... ...
[사이언스 010] 맛의 과학
과학동아
l
2017년 02호
간장은 감칠맛이 풍부하다.생선생선에도 글루탐산이 많다. 발효한 음식으로 한국에는
젓갈
이, 서구에는 피시소스가 있다.해산물, 버섯글루탐산 외에도 멸치에 풍부한 이노신산(IMP)과 버섯에 풍부한 구아닐산(GMP)이 있다. 섞으면 감칠맛이 증폭된다.*발효조미료: 발효법으로 만든 양념. 장 이외에도 ... ...
[News & Issue] 감칠맛=글루탐산 맛!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35g생선해수어나 담수어에 관계 없이 MSG 함량이 높다. 생선을 발효한 음식으로 한국에는
젓갈
이, 서구권에는 피시소스가 있다. 감칠맛을 즐기기에 좋은 방법이다. | 피시소스 59mL콩단백질 함량이 30% 이상으로 식물 중 특이하게 높은 편이다. 콩단백질을 발효로 분해해서 만든 된장과 간장은 감칠맛이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김치]
포스팅
l
20251026
저는 파김치가 좋아요. 파김치는 아삭아삭해서 식감도 좋고, 건강에도 아주 좋아요. 그리고
젓갈
이랑 잘 어우러져 느끼할 때마다 먹으면 아주 끝내주거든요. ...
[기사콘 챌린지] 나만의 장을 만든다면
기사
l
20250208
발전이 덜하다고 합니다. 장의 정의에 대해서는 논란이 많은데, 보통은 콩장(메주 원료)만을 장이라 생각할 수 있으나, 새우
젓갈
등의
젓갈
류도 장이라고 합니다. 춘장(짜장의 재료)은 장이라 인정받지만, 사실 중국 장이 한국식으로 변화한 형태라고 합니다. 2. 이것도 장이었다? 우리는 '소스'를 장으로 생각하지만, 낫토도 장의 일종 ...
하코다테 국제 과학제를 다녀와서
기사
l
20240911
관련된 산업들이 발달했을 정도로 많이 잡혔다고 합니다. 예전에는 생으로 먹는 방법 밖에 몰랐다면, 오래 먹기 위해 진미채나
젓갈
을 만들 정도로 관련 산업이 발달했는데요. 이젠 오징어가 많이 잡히지 않아서 슬프다고 합니다. 그 이유는 바다의 수온이 높아졌고, 외국어선들이 일본의 200해리 안에서 오징어를 잡고 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어려 ...
염전에 관하여
기사
l
20230821
있습니다. 입자 작은 꽃소금의 경우는 우리가 직접 음식에 간을 하는 경우에 많이 사용하고, 입자가 상대적으로 굵은 소금은 김장이나
젓갈
등을 담그는 용도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고 합니다. 이렇게 한 장소에서 입자의 굵기에 따라 두 종류의 소금을 채취한다니 신기하죠? 이렇게 만들어진 두 종류에 소금은 끌개로 밀어 채취하게됩니다. 그 다음 수레에 ...
김치의 역사
기사
l
20220814
이상발효를 방지하고 맨드라미로 붉은 색의 아름다운 김치를 만들었습니다. 1600년대 이후 고추가 김치에 사용되면서,소금 양을 줄이고
젓갈
까지 사용한 김치가 보편화 될 수 있었습니다. 지금까지 이효민 기자였습니다. 안녕히 계세요 ...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