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보급
유포
전개
전달
전파망원경
망원경
파설
뉴스
민들레 홀씨 잘 불어 날리는 과학적 비결…"아래에서 위로 불어야"
동아사이언스
l
2025.09.10
민들레(학명 Taraxacum officinale)는 바람을 이용해 씨앗을 퍼뜨리는 대표적인 식물이다. 씨앗
전파
를 바람에 맡기는 과정은 얼핏 무작위적으로 보이지만 식물은 씨앗을 날리는 시점이나 씨앗의 공기역학적인 특성을 조절해 간접적으로 관여한다. 가벼운 솜털이 달린 민들레 홀씨는 바람이 불면 홀씨 ... ...
[인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동아사이언스
l
2025.09.08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장급 △
전파
정책국장 오용수 ...
니파바이러스감염증 '제1급 법정감염병' 지정…치명률 40~75%
동아사이언스
l
2025.09.08
PHEIC)을 일으킬 수 있는 병원체 후보 중 하나로 니파바이러스를 선정했다. 병원성,
전파
력, 의료도구 유무 등을 평가해 공중보건 위협 가능성이 있는 병원체로 선정되면 백신, 치료제 개발이 권장된다. 니파바이러스감염증은 사람과 동물이 모두 감염될 수 있는 인수공통감염병이다. 1998년 ... ...
중력파 검출 10주년…매료된 여대생, 중력파 연구 최전선에
동아사이언스
l
2025.08.29
중력파 세기가 크기 때문에 빠르게 감지될 것이라고 예상했다"고 했다. 중력파는 광학,
전파
망원경 외에 인류에게 우주를 바라보는 새로운 망원경을 제공한 것과 같다. 중력파가 빛과 달리 모든 물질을 통과하면서도 통과하는 물질에 의해 왜곡되지 않기 때문이다. 중력파로 초신성 폭발, 블랙홀 ... ...
뉴스 더보기
스페셜
[표지로 읽는 과학] 3만 7000년 걸친 유라시아 감염병 지도…가축화, 전염병 불렀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7.26
일치하는 양상을 보였다고 설명했다. 인류의 이주가 단순한 문화
전파
를 넘어 질병의
전파
경로에도 깊은 영향을 미쳤다는 것이다. - doi.org/10.1038/s41586-024-07594- ... ...
[인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동아사이언스
l
2025.05.2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중앙
전파
관리소 서울
전파
관리소 이용자보호과장 신재성 △중앙
전파
관리소 서울
전파
관리소 운영지원과장 이선미 ...
[사이언스게시판] 우주청, 우주용 전기추력기 개발 기업체 간담회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4.03
필 다이아몬드 거대
전파
망원경 관측소(SKAO) 사무총장이 우주항공청을 방문해 국제 거대
전파
망원경(SKA) 개발 관련 협력을 논의하였다고 밝혔다. 다이아몬드 사무총장은 SKA 건설 현황과 핵심 연구 분야에 대해 발표를 진행했다. 한국의 참여가 SKAO의 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셀프 도덕적 판단'의 위험성
2024.10.05
이야기하던 사람들이 있었다. 이들 중 다수가 마스크를 쓰지 않아서 병을
전파
함으로써 노약자의 사망을 야기하는 것보다도 마스크 쓰기를 권하는 행동이 더 비도덕적이라고 진지하게 믿었다고 한다. 비슷하게 자동차 안전벨트를 법제화 할 때에도 안전벨트를 착용하게 하는 것은 자동차 사고로 ... ...
스페셜 더보기
d라이브러리
[특집] 비둘기, 인간과 함께 살려면?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7호
집단으로 몰려다니기 때문에, 한 마리가 조류독감 같은 전염병에 걸리면 주변에 빠르게
전파
됩니다. 강원대학교 산림환경과학대학 야생동물연구실 최순규 연구원은 “사람이 개량하고 개체 수를 늘린 종이기 때문에 사람이 책임지고 개체 수 관리를 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환경부는 민원이 ... ...
3년의 사투, 코로나19 팬데믹
수학동아
l
2024년 04호
사이에서의 감염
전파
율은 매우 낮게 나타났다. 연구팀이 구한 감염
전파
율은 실제 감염
전파
율과 거의 일치했다. 수학으로 찾은 합리적인 거리 두기 2020년 초 전 세계는 코로나19를 타파하기 위해 사적 모임과 다중 이용 시설 출입을 통제하는 등 사회적 거리 두기를 실천했다. 전기 공학자 아리 ... ...
[과학 용어] 요소/태양풍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4호
꼬리가 생기지요.태양풍이 너무 강하게 몰려오거나 지구 자기장이 약해지면 사람들에게
전파
장애 등 피해를 주기도 해요. 특히 지구 궤도에 떠 있는 인공위성이나 우주정거장은 방사능에 노출되기 쉬워 위험합니다. 지난해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올해 태양의 활동이 왕성할 것으로 예측해 태양풍 ... ...
전염병 모형 만드는 법
수학동아
l
2024년 04호
회복 집단(R)을 제외하고, 잠복기 상태인 집단(E)과 병에 걸려 죽은 집단(D), 바이러스를
전파
하는 집단(C)을 포함한 모형이다. 연구팀은 SEICD 모형을 통해 20km2 지역 내 9개 마을에서 돼지를 사육할 때 아프리카돼지열병이 퍼지는 상황을 시뮬레이션했다. 대응책으로는 도로 통제와 이동 금지를 포함한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텔레픽스 스페이스랩 탐방기: 민간 우주 시대의 문을 열다
기사
l
20250829
소개되었다.해외 주요 천문대 및 망원경으로는 하와이의 CFHT(캐나다·프랑스 공동 운영), 칠레의 초대형 광학 망원경인 VLT, 미국의
전파
망원경 배열인 VLA 등이 언급되었다. 특히 블랙홀을 최초로 관측하며 전 세계의 주목을 받았던 사건의 지평선 망원경(EHT)의 성과도 다뤄졌다. 이 외에도 허블 딥필드 사진으로 유명한 허블 우주망원경(HS ...
KAIST 인공위성 연구소에서 만난 미래의 우주
기사
l
20250809
진행 중입니다. 그중 하나는 차세대 소형위성 2호입니다.이 위성은 180kg급 소형위성으로, 구름이 껴도 선명한 사진을 찍을 수 있는
전파
영상 기술을 갖추고 있습니다.국내 우주 기술의 실용화를 위한 검증 임무를 수행하고 있으며, 연구원들은 이 위성이 실제 임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날을 기대하고 있습니다.또한, 여러 대의 소형 위성이 함께 임무 ...
대한민국 우주 도전의 시작, KAIST 인공위성 연구소
기사
l
20250806
최근 차세대소형위성 2호를 발사했는데 이 위성은 비가 오나 눈이 오나 날씨에 관계없이 사진을 찍습니다. 왜냐하면
전파
로 사진을 찍기 때문입니다. 또한 KAIST 인공위성연구소는 초소형군집위성도 개발했는데 초소형군집위성이란 하나의 궤도에 여러 위성을 올리는 것입니다. 초소형군집위성은 인도 타지마할과 카타르 도하도 찍었습니다. 인공위성에는 추력기 ...
[우주기자단] KAIST 인공위성연구소에서의 놀라운 하루
기사
l
20250804
호는 아래 길다란 판같이 생긴 안테나가 있는데요. 5.2m 의 영상레이다 안테나를 이용해 사진을 찍는다고 합니다. 반사되어서 돌아오는
전파
를 가지고 사진을 찍는 시스템이라고 합니다. 저희는 그동안 여러 강연과 기사를 통해 인공위성의 궤도들을 알아보았었는데요. 박사 ...
대한민국을 우주와 연결하다, KAIST 인공위성 연구소!
기사
l
20250802
2호는 카메라가 아닌 안테나로 찍는데요, 아래 사진에서 판같은 부분이 안테나 입니다.이 차세대소형위성 2호가 찍은 사진은
전파
사진이기 때문에 흑백이지만 구름을 뚫고 찍을 수 있고, 선명합니다. 출처: KAIST 인공위성 연구소 홈페이지 2번째로 최근에 날린 위성은 초소형군집위성 NEON SAT 입니다. NEON SAT은 사진을 찍는 위성으로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