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 [데이터로 지구 지킨다] 전기가 집으로 오기까지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8호
- 그곳에서 선생님은 학생들과 함께 태양광 충전등을 만들어 봤어요. 태양 전지판과 충전지, 간단한 회로를 이용해 낮 동안 에너지를 저장하고, 밤에 에너지를 쓸 수 있는 충전등을 만들었지요. 또, 학교 근처에 있는 노원 에너지 제로 주택을 방문했습니다. 노원 에너지 제로 주택은 화석연료 대신 ... ...
- '자체발광' 발광식물 연구 히스토리과학동아 l2024년 04호
- 건너편 한국에는 발광식물에 매료돼 직접 개발에 뛰어든 한 소년이 있습니다. 과학동아 전지적 독자위원회 4기 활동을 활발히 하고 있는 김민서(닉네임 전독위 4기 꼬리별, 한국과학영재학교 1학년) 님이 그 주인공입니다. 틸란드시아, 국화 등 식물이 초록, 빨강, 파랑색으로 빛나도록 만드는 데 ... ...
- [전지적 독자 시점] “머지않을 미래에 실현될 것만 같은 기대감이 있어요”_김순용 독자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전독위 위원님들의 다양한 취향을 반영하듯 매달 주요기사 투표 때는 두 기사가 엎치락 뒤치락 1위를 다툽니다. 하지만 이번만큼은 달랐습니다. 40%가 넘는 압도적인 비율로 1위 기사가 선정됐거든요. 그 주인공은 바로 뉴럴링크였습니다. 전독위분들이 뉴럴링크 기사를 뽑은 이유도 각양각색이었습 ... ...
- [전지적 독자시점] “아, 초음속 비행기 진짜 재밌는데”과학동아 l2024년 03호
- 과학동아 기자들은 기획회의가 끝나고 나면 저마다 이달의 전독위 투표 결과를 추측합니다. “다들 우주를 좋아하시니 수수께끼 천체가 선택될걸요?” “성 전환 산호, 이거 엄청 흥미로워할 것 같은데요?” 뭐, 주로 자기가 가져온 아이템이 재밌을 것이라는 기자들의 (자부심 넘치는) 대화입니다.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 이것저것 100문답..포스팅 l20250406
- 6.싫어하는 음식? 계피사탕 극혐 우욱웩 37.좋아하는 웹툰?(안본다면 패스) 쌉초의난,집이없어,야매힐러로사는법,소년경찰,폭력의왕,전지적독자시점. 38.좋아하는 장르? 다크판타지, 피폐, 고어 39.싫어하는 장르? 로맨스, 로판 40.취미 뭐야? 대상받은 콩쿨곡 전력으로 빨리치기 구라고,그림그리기 41.어떤 세계관 하나에 들어가서 놀수있다면, ...
- 외계문명의 단계, 카르다쇼프 척도(1~4단계)기사 l20250302
- 둘째, 2단계입니다. 2단계에 도달하려면 항성(태양 등) 하나의 에너지를 100% 사용해야 합니다. 하지만 태양 전체를 감싸는 발전전지(다이슨 구체)를 만드려면 태양계 전체의 광물을 다 채굴해도 만들지 못합니다. 따라서 인류는 1.5단계 정도 이상으로는 발전하기 힘듭니다. 그래도 만약 인류가 2단계에 도달하면 화성, 금성, 달은 테라포밍 ...
- 역대급으로 이상한 어젯밤 꿈 꺄악!!포스팅 l20250218
- 자기 전에 네이버에 미수반 굴린 글을 보고 잤거등요?? 그거때문인가봐용^^ 근데 제가 범인 시점도 되고 3인칭 시점도 되고 하는데(전지적 범인 시점(?) 일단 전 범인 아닙니다(?) 하.. 진짜 현타오는데.. 대충 범인이 약을 탄건지 어떻게 한건지는 기억 안나는데 미수반 전원 배탈나게 만들어 놨어요ㅋㅋ(그 이후는 기억 안남) 그리고 그 다음은 ...
- 그냥 해보고 싶었듭니다..(오타쿠 문답)포스팅 l20250217
- 하나코군"이었던 것 같아요 +플러스로 장르 영업합니당 소설(웹소설)좋아하시고 잔인한 묘사가..쪼금 있는 건 괜찮다! 하시면 "전지적 독자 시점"(이하 전독시)..ㅎㅎ네7. 인생 최애ㄴ 아아아아아....이건...아흐억...일단 현재 최애는 (애니) 마오마오고요, (소설)우리엘..입니다.. 근데 훨씬 많으니까여..밑에다 적어볼게여..(게임) 사쿠마 ...
- 아 언제 이런 해프닝이 있었어요포스팅 l20250111
- 은지 시점:잠만요 우리 엄마를 첫째로 보신건가ㅋㅋㅋㅋㅋㅋㅋㅋ아니!! 나 외동이라고!!근데 이모 이런거 다 정정하는 사람이구나 전지적 경찰 시점:10대 딸 둘을 데리고 무단횡단을 하려고하는 어머니.. 가 아니라 이모였구나^^ 가족의 딸 둘 데리고 무단횡단 하려고 하시면 안돼요~ 아마도 저 ...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