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약
양잿물
광택면
광활제
뉴스
[짬짜면 과학 교실] 주방과 욕실의 두 재주꾼
2018.06.23
소금, 황산 나트륨 등의 염을 만드는 물질을 일컬어요. 나무를 태워 생긴 재를 거른 물인
잿물
, 그리고 위장의 속 쓰림을 가라앉히기 위해 먹는 의약품 ‘제산제’의 재료인 암모니아수 등이 염기성 물질이에요. 염기성은 일상생활에서는 흔히 알칼리성이라고 불러요. 그런데 어떤 용액의 성질이 ... ...
[토요일에 만난 사람]닥나무 껍질 벗기고, 삶고, 때리고, 풀고… 이게 진짜 韓紙!
동아일보
l
2016.02.06
규명됐다. 전통 방식 복구하고 새 도침 기법 완성 국산 닥나무만 사용할 것. 백피는 천연
잿물
로 삶을 것. 닥섬유를 칼로 자르지 말고 나무 방망이로 두드릴 것. 닥섬유를 흐르는 물에 일광 표백할 것. 황촉규 같은 식물성 분산제를 사용할 것. 가둠뜨기가 아닌 외발뜨기로 종이를 뜰 것…. 어떻게 ... ...
뉴스 더보기
d라이브러리
연금술과 화학의 경계에서 색을 만들다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천에 감싸 액체를 제거하고, 뜨거운
잿물
에 담가 짓이기면
잿물
이 청색으로 물든다. 이
잿물
을 말려 가루를 만들면 울트라마린을 만들 수 있다. 20세기까지 오는 동안 색 제조가들이 아름다운 색을 찾기 위해 가졌던 노력은 끝도 없다. 화려한 색깔과 화가의 정성이 합쳐진 예술품을 우리는 그저 ... ...
호흡을 이용한 전통과학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옹기는 나뭇잎이 썩어 만들어진 부엽토의 일종인 약토에 식물성재를 물과 함께 개어서
잿물
로 만들고, 이것을 적당한 수분이 함유된 상태에서 안과 밖에 입힌 뒤 불에서 구워낸 그릇을 말한다. 역사적으로 보면 옹기는 넓은 범위에서 활용되고 있다. 전통옹기는 생명에 대한 이해에서 얻은 ... ...
명작에 1000년의 수명을 더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등을 물에 담가 발효시킨 뒤 잘 찧어서 놓고,
잿물
에 삶은 다음 햇볕에 말려 표백한다.
잿물
의 주성분은 산화칼륨(K₂O)으로 염기성을 띄고 있다. 한지가 양지보다 서서히 산성화되는 이유다. 반면 1850년 이후 개발된 양지는 나무로 만든 펄프가 주 원료다. 한지처럼 섬유의 결이 살아 있지 않고, ... ...
천 년을 견디는 종이 ‘한지’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수명이 1000년이 넘는다. 그 이유는 한지를 만들 때
잿물
과 닥풀뿌리즙이 쓰이는데,
잿물
의 적당한 알칼리성이 닥나무에서 추출한 섬유를 손상시키지 않고 견고한 내구성을 만들어 주기 때문이다. 물에 잘 녹고 녹말 성분이 들어 있는 닥풀뿌리즙은 한지의 수명을 연장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한지 제작방법과 한지의 우수성
기사
l
20230705
맑은 물에 하루 동안 담가둔 다음 외피를 훑어내면 백피가 만들어 집니다. 5. 저불 작업(표백) 닥에서 순수 섬유질을 추출하기 위해
잿물
에 백피를 넣고 4 ∼ 5시간 정도 삶습니다. 6. 고해 작업(두드리기) 저불 작업을 거친 백피를 나무방망이 등으로 두들겨서 백피의 섬유를 분리시키는 방법으로 종이의 질을 좌우하는 중요한 공정의 하나입니다. 7 ...
선비, 도포자락 휘날리며 가을을 거닐다. (영주 선비세상)
기사
l
20220922
확인 중인 모습 메일로 온 레시피 책거리 상 한지촌 다음 일정은 한지만들기였습니다. 고유한지는 천연재료인 닥나무와
잿물
, 닥풀을 사용하기 때문에 중성을 띠게 돼 1000년 이상 보존이 가능하며 한지 섬유의 조직 방향이 서로 90도로 교차하고 있어 매우 질긴 성질을 갖고 있습니다. 또 종이를 옆으로 찢을 때 견디는 힘인 인열강도 ...
종이에 대해 알아보자!
기사
l
20220105
이러합니다. 1. 닥나무껍질을 잘라 찐 후에 껍질을 벗겨낸 후 다듬고 말려 준비합니다.(백피) 2. 백피를 물에 넣고 불려 솥에 넣어
잿물
에 삶아냅니다. 3. 삶은 것을 일광 표백 혹은 화학표백 합니다. 4. 방망이 등으로 잘 두드려 섬유가 부드럽게 분산 되도록 만듭니다. 5. 닥풀을 물에 넣고 섬유소를 풀어준 후 발로 종이를 떠 말리면 한지가 ...
나의 몸은 어떻게 깨끗해 지는 걸까? 그의 이름은 비누!
기사
l
20190424
를 쉽게 만드는 방법을 발명하면서 이때부터 비누가 널리 쓰이기 시작했답니다. 이당시 우리 조상님들은 녹두가루, 쌀겨, 쌀뜨물,
잿물
등을 비누로 썼어요. 한편, '더러움을 날려 보낸다' 의 뜻인 '비루'가 지금의 '비누'가 되었다고 해요. 그러면, 우리가 비누를 쓸 때에 비누가 없을 때를 대비해서~ 비누를 만드는 방법을 알아봤어요~이 방법대로 ...
종이나라 박물관 한지체험
포스팅
l
20190121
안녕하세요 신유빈기자입니다.종이나라박물관에서 우연히 과학동아발견해서열심이 읽었어요 그러다 체험이 시작되서 들어갔는데 섬유질을만지니까 읽으면 기분이 몰랑몰랑해지는과학동아생각났어요 한지는닥나무채취하면 그 닥나무를 쪄서껍질을벗기고
잿물
에삶아 씻고 일광표백해요.그 다음두드리고 섬유를풀어요 섬유를 뜨고 탈수와 건조하고 도침까지하면 한지가 만들어져요 한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