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약
양잿물
광택면
광활제
d라이브러리
"
잿물
"(으)로 총 16건 검색되었습니다.
연금술과 화학의 경계에서 색을 만들다
과학동아
l
201308
천에 감싸 액체를 제거하고, 뜨거운
잿물
에 담가 짓이기면
잿물
이 청색으로 물든다. 이
잿물
을 말려 가루를 만들면 울트라마린을 만들 수 있다. 20세기까지 오는 동안 색 제조가들이 아름다운 색을 찾기 위해 가졌던 노력은 끝도 없다. 화려한 색깔과 화가의 정성이 합쳐진 예술품을 우리는 그저 ... ...
호흡을 이용한 전통과학
과학동아
l
201209
옹기는 나뭇잎이 썩어 만들어진 부엽토의 일종인 약토에 식물성재를 물과 함께 개어서
잿물
로 만들고, 이것을 적당한 수분이 함유된 상태에서 안과 밖에 입힌 뒤 불에서 구워낸 그릇을 말한다. 역사적으로 보면 옹기는 넓은 범위에서 활용되고 있다. 전통옹기는 생명에 대한 이해에서 얻은 ... ...
명작에 1000년의 수명을 더하다
과학동아
l
201107
등을 물에 담가 발효시킨 뒤 잘 찧어서 놓고,
잿물
에 삶은 다음 햇볕에 말려 표백한다.
잿물
의 주성분은 산화칼륨(K₂O)으로 염기성을 띄고 있다. 한지가 양지보다 서서히 산성화되는 이유다. 반면 1850년 이후 개발된 양지는 나무로 만든 펄프가 주 원료다. 한지처럼 섬유의 결이 살아 있지 않고, ... ...
천 년을 견디는 종이 ‘한지’
과학동아
l
201002
수명이 1000년이 넘는다. 그 이유는 한지를 만들 때
잿물
과 닥풀뿌리즙이 쓰이는데,
잿물
의 적당한 알칼리성이 닥나무에서 추출한 섬유를 손상시키지 않고 견고한 내구성을 만들어 주기 때문이다. 물에 잘 녹고 녹말 성분이 들어 있는 닥풀뿌리즙은 한지의 수명을 연장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 ...
넌센스! 오징어먹물 염색약
과학동아
l
200901
화원’의 동명 원작 소설을 보면 “오징어 먹물집의 먹물을 말려 가루로 만들고
잿물
에 끓여 가라앉힌 뒤 낮은 온도에서 말려도 짙은 갈색을 얻을 수 있었다”는 구절이 나온다. 이처럼 우리 조상들은 오래전부터 오징어 먹물로 염료를 만들기도 했으나 색이 불안정해 즐겨 쓰지는 않았다고 한다. ... ...
볼록한 몸매가 맛을 좋게 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0617
옹기의 겉에는 무수한 숨구멍이 있습니다. 이 숨구멍은 옹기를 가마에 구운 다음 바르는
잿물
유약이 굳으면서 자연스럽게 생긴다고 합니다. 신기하게도 숨구멍으로 공기는 통과할 수 있지만 물은 통과할 수 없습니다. 숨구멍의 크기가 물방울의 200분의 1 정도 밖에 안 되기 때문이지요.빗물이나 ... ...
기록을 오래 남기고 싶다면 한지를 쓰세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523
사용된 종이가 산성지기 때문이지요. 하지만 한지는 색깔을 희게 할 때 알칼리성을 띠는
잿물
을 쓰기 때문에 쉽게 화학 반응을 하지 않는 중성을 띱니다. 또한 종이의 접착제로서 식물성 소재인 닥풀을 쓴 점도 한지가 오래 보존되는 데 도움을 줬지요.이런 보존성 외에도 한지의 뛰어난 점은 ... ...
색동옷에 숨겨진 전통염색의 비밀
과학동아
l
200406
CaCO₃)과 수산화칼슘(Ca(OH₂))으로 변해 색소를 머금는 성질을 갖는다. 또 사용된
잿물
은 조개가루가 머금은 색소를 다시 분리해내는 작용을 한다. 염색 시작 전 첨가한 강산성의 양조식초와 오미자물은 알칼리성 염료가 강한 산기를 띠게 해 색소가 섬유에 잘 달라붙도록 작용한다.오묘한 색의 ... ...
식물염료로 만든 손수건
과학동아
l
200004
태워 생기는 재에 물을 부어 만든
잿물
을 넣어서 붉은색 염료를 추출하기도 한다.이것도
잿물
에 탄산칼륨 성분이 포함돼 있기 때문이다.이 실험에서와 같이 식물성 염료를 사용하는 염색을 천연염색이라 한다.이 밖에도 동물성 염료와 광물성 염료를 사용하는 경우도 천연염색이라 한다.1856년 ... ...
산과 염기
과학동아
l
199901
만들어 흙이 산성화되는 것을 막아준다. 겨울에 논에 나무를 태운 재를 뿌려 주는 것도
잿물
로 흙을 중화시키고, 필요한 알칼리 이온을 공급해주기 위해서다. 역시 염기성인 암모니아나 석회를 뿌려주는 것도 같은 이유다. 간단한 화학 상식으로 환경도 보호하고, 자원을 아끼며, 생활에 도움을 얻을 ... ...
1
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