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팀
파벌
도당
스페셜
사내기업가에 대한 이해와 상생적 토양의 구축
KOITA
l
2013.05.23
포용하는 문화와 업무여건의 조성 여러 사람들이 같이 상존하는 조직에서 특정 개인・
소집단
의 독자적 운영과 성과를 인정하기에는 현실적인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사내기업가의 성공 여부는 사내기업가 자체에 대한 관리만으로는 부족하다. 사내기업가는 기존 조직에 소속되어 있기에 그를 ... ...
스페셜 더보기
d라이브러리
[수학뉴스] 코로나19에 대한 거짓 소문, 수학으로 잡는다
수학동아
l
2020년 04호
여러
소집단
으로 나눴다면, 이번에 개발된 모형은 여러 개의 인구 집단을 다시 각각의
소집단
으로 나눈 것입니다. 그만큼 현실의 복잡한 관계를 잘 반영할 수 있죠.새로 개발한 모형을 이용하면 소문이 급속도로 퍼지는 시점도 비교적 간단하게 예측할 수 있습니다. 베스피냐니 교수는 “소문이 ... ...
[Origin] 악인의 승리 VS. 선인‘들’의 승리
과학동아
l
2017년 06호
빈도는 50%이고, 따라서 무임승차자의 전체 빈도도 50%라고 가정한다. 전체 개체군은 여러
소집단
으로 나뉘어 그 안에서만 상호작용이 일어난다. 어떤 집단에서는 협력자가 50%를 넘고, 어떤 집단에서는 협력자가 50%보다 적을 수 있다.협력자가 상대적으로 많은 집단은 협력자가 상대적으로 적은 ... ...
PART 3. 건강한 네트워크에서 노벨상 씨앗 자란다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 노벨상 수상자들의 공저자 네트워크는 중심에 자리 잡은 네트워크의 덩어리가 크고,
소집단
이 적었다(40개). 이런 네트워크에서는 정보가 더 빠르게 전파된다. 반면 다른 엘리트 과학자들의 공저자 네트워크는 구심점이 뚜렷하지 않고 소규모 네트워크가 더 많이(55개) 형성돼 있었다.분석 결과, ... ...
[Knowledge] 협력자 끼리끼리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무임승차자가 함께 존재하는 가상의 개체군을 예로 들어 보자(그림 1). 개체군은 4개의
소집단
으로 나뉘어 그 안에서만 사회적 상호작용이 일어난다. 각각의 경우에서 협력을 지시하는 유전자의 평균 빈도는 50%고 무임승차를 지시하는 유전자의 평균 빈도도 50%다.그림 1 가는 협력자와 무임승차자가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