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로
뱃길
선로
도랑
개천
도량
스페셜
친환경 에너지 타운에 전통녹색기술 접목하자
동아사이언스
l
2015.01.14
선조의 지혜로 만들어진 마을의 방재 시스템이다. 마을에서 도랑을 통해 이어지는
물길
은 바로 하층부의 못으로 이어지는 게 아니라 중간 못을 거쳐 물의 유량과 유속을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이런 중간 못과 도랑은 그 기능을 종합해 보면 현대 기후변화에 따라 잦아진 폭우에 의한 홍수를 막고 ... ...
스페셜 더보기
d라이브러리
가뭄으로 뱃길이 막혔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1호
땅을 뚫어 물을 흐르게 해 배들이 다닐 수 있도록 만든
물길
이에요. 대서양과 태평양을 잇는 파나마 운하가 대표적이지요. 그런데 작년부터 비가 오지 않아 배들이 파나마 운하로 들어가지 못하고 있습니다. 73년 만에 가장 건조했던 파나마 2023년 초부터 파나마에는 극심한 가뭄이 이어지고 ... ...
배가 산으로 간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1호
엘리베이터 한 번에 물 2억L? 운하는 보통 가로막고 있는 땅을 모두 파내고 서로 떨어진
물길
을 잇는 방식으로 만들어져요. 하지만 파나마는 가운데가 산맥으로 막혀 있어 이를 뚫고 평평한 운하를 파기가 힘들었습니다. 이 때문에 파나마는 산 중턱에 있는 강을 막아 호수로 만들고 중간중간 ... ...
[파고캐고 지질학자!] 석회암에 찍힌 네모난 자국의 정체는? 태백 구문소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2호
하천이 만나는 곳에 있습니다. 황지천의 강한
물길
이 절벽을 강하게 침식했고, 그 결과
물길
이 절벽을 뚫으면서 멋진 통로가 생겼습니다. 산을 뚫은 모양의 연못인 구문소가 탄생한 거죠. 그런데 구문소 바로 왼쪽에는 동굴이 하나 더 있습니다. 일제강점기인 1937년, 일본인들이 석탄을 운반하기 위해 ... ...
[특집] 어디로 이사가야 안전할까요?
과학동아
l
2022년 10호
과거에 물이 흐르던 길을 사람이 인위적으로 막고, 바꾸면서 생긴 것”이라며 “과거
물길
지도를 살펴보면 현재 침수에 취약한 지역을 알 수 있다”고 덧붙였습니다.“이렇게 다양한 지도가 있었는데 왜 전 몰랐을까요? 알았다면 피해서 집을 구했을 텐데….”위험한 지역이 어딘지 알려주는 지도가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좀비가 된 연어를 아시나요?
기사
l
20230724
이번에는 좀비 연어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연어는 산란기가 되면 강을 거슬러 올라가 바다에서 알을 낳습니다. 그렇게 되면
물길
을 역으로 타고 올라가야 하기 때문에 많은 고난을 겪게 되기 때문에 자신의 통각을 차단하고 면역 체계를 망가뜨립니다. 이렇게 통각이 차단된 연어들은 비늘이 떨어지고 지느러미가 뜯기고 눈이 멀고 뭄이 반쪽나도 계속해서 ...
용용이나르샤 - 221122 - 1
탐사기록
l
20221122
동영상이 지원되지 않는 브라우저입니다.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하세요계곡산개구리인것 같은데, 비오는 날 계단에서 발견했어요. 주변에 산은 있고
물길
은 멀리 있는데 건물들 사이까지 왔어요. ...
탐사기록
l
20220504
이 피라미 B타입은 한반도와 중국대륙, 일본 열도가 연결되었던 과거에도 고립되어서 독자적으로 진화 했다는 뜻이지요.그러다가
물길
이 바꼈다던지 어떠한 지리적 변동으로 인해 피라미 B형 과 R형이 낙동강에서 만나게 되었고 지금까지 오게 된것이지요.아직 피라미에 대해 진행된 연구가 없기에 정확하게 말씀드리긴 힘들지만 지리적 현상으로 인해 서로 다르게 ...
탐사기록
l
20220427
위치: 경남 함양군 서상면 도천리 옥당교 약 50m 하류 수온: 15도 주변환경: 하천 옆으로 제방이 쌓여있고 다리 상류와 하천을 두고 하류방향으로 바라보았을때 오른쪽 수변부가 공사로 인해 흑탕물이 계속 유입되고 있 ... 휴식하거나 숨기 좋은 환경. 탁도: 하천 아래를 바라본 기준으로 오른쪽
물길
은 흑탕물이여서 커피색으로 바닥이 보이지 않고 ...
현현이네 - 220416 - 7
탐사기록
l
20220416
물길
따라서 상류까지 올라가 봤는데 버들치가 없으면 알이 쌓여있고 버들치가 많은대는 알이 없어요.원래 알이 늘있던데에도 버들치만 바글바글...알주변에 개구리도 많았는데 개구리앙도 없네요...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