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맥곡
보리
뉴스
[강석기의 과학카페] 인류는 밀 부족 위기를 극복할 수 있을까
2022.04.05
한 종(학명 Puccinia striiformis)이 병원체다. 농약이 있음에도 내성이 생겨 잘 듣지 않으면서
맥류
줄녹병 피해가 점점 커지고 있다. 따라서 이 병원체에 저항성이 있는 카리에가의 비밀을 밝힌다면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빵밀은 게놈 크기가 무려 154억 염기로 사람 게놈의 5배에 이르고 이배체 식물 세 ... ...
"발기부전 치료제 비아그라, 대동
맥류
악화시킬 수도"
연합뉴스
l
2022.01.07
조절하는 평활근 세포로 구성돼 있다. 혈관 평활근 세포가 제 기능을 하지 못하면 대동
맥류
위험이 커진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 심장협회 저널(Journal of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최신호에 실렸다. [연합뉴스 TV 캡처] ... ...
뉴스 더보기
스페셜
[강석기의 과학카페] 인류는 밀 부족 위기를 극복할 수 있을까
2022.04.05
한 종(학명 Puccinia striiformis)이 병원체다. 농약이 있음에도 내성이 생겨 잘 듣지 않으면서
맥류
줄녹병 피해가 점점 커지고 있다. 따라서 이 병원체에 저항성이 있는 카리에가의 비밀을 밝힌다면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빵밀은 게놈 크기가 무려 154억 염기로 사람 게놈의 5배에 이르고 이배체 식물 세 ... ...
스페셜 더보기
d라이브러리
밀 VS 보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2호
맥류
밀과 보리, 호밀, 귀리 같은
맥류
곡물은 예로부터 인류의 주요한 먹거리였어요.
맥류
는 전부 벼과에 속하는데, 그 생김새가 모두 비슷해서 처음 보는 사람은 구별하기가 쉽지 않답니다. 그러나 자세히 보면 보리는 수염이 길고 빳빳한 반면, 밀은 수염이 짧고 가늘지요. 호밀(왼쪽)은 수염이 ... ...
육종기술이 바꾼 풍성한 우리 식탁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더 빨리 수확할 수 있는 보리 품종을 개발하려고 노력해왔다.국립식량과학원 벼
맥류
부 최재성 연구관은 “육종 결과 겉보리와 쌀보리는 5일, 맥주보리는 10일씩 성숙기가 빨라졌다”며 “이와 함께 수확량 증가도 육종의 큰 성과”라고 말했다.보리는 원래 물을 흡수하는 능력이 쌀에 비해 떨어지기 ... ...
이산화탄소 배출 주범은 주요 산업국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먹이다 5-8억t에 달하는 방대한 생물자원으로 추측된다호밀을 비롯해 보리와 밀과 같은
맥류
와 화본과식물의 잡초에 기생하는 곰팡이 종류다 곰팡이균의 핵이라 할 수 있는 작은 알갱이 모양의 균핵 이름이 맥각이다 약용으로 사용되기도 하는데, 주로 호밀의 이삭에 형성된 균핵을 건조시킨 ... ...
헬리콥터 100년史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그 양친의 한쪽과 교배시키는 것)을 되풀이하면 B의 핵을 A의 세포질로 치환할 수 있다
맥류
(麥類) 등에서 핵과 세포질과의 생리적 기능 관계를 조사하기 위해 행해진다 아메바 개구리알 등에서는 세포수술에 의하여 직접 핵을 다른 종의 것과 바꿔칠 수 있다 이것을 특히 핵이식이라고 한다동물의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