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dry"(으)로 총 4건 검색되었습니다.
- [IBS 코로나19 리포트 시즌2] 코로나19 감염 여부를 신속·정확하게 진단하는 새로운 방법2021.04.16
- Now COVID-19 Rapid Nucleic Acid Amplification Test Using Nasopharyngeal Swabs Transported in Viral Transport Media and Dry Nasal Swabs in a New York City Academic Institution. Journal of Clinical Microbiology 58, (2020). 10. Notomi, T., Mori, Y., Tomita, N. & Kanda, H. 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LAMP): principle, features, and future prospects. Journal of Microbiology 53, 1-5 (20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우린 어떻게 습기를 느낄까2017.07.25
- 잇달아 발견되면서 수정이 필요하다. 즉 기계감각뉴런(mechano)을 바퀴벌레(A)처럼 mechano(dry cell)과 mechano(moist cell) 두 가지로 표시해야 한다. - 신경생리학저널 제공 이에 따르면 우리가 고온에서 다습을 느끼는 건 전적으로 촉각의 작용으로 여기에는 땀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주변 온도가 올라가면 ... ...
- 분단 70년, 과학 용어 비교..."남북 과학 협력하려면 말부터 합쳐야"동아사이언스 l2015.07.28
- 외래어인 조선어 용어들이다. 예를 들어 다이오드(diode)를 ‘이극소자’로, 드라이아이스(dry ice)를 ‘고체탄산’으로, 임피던스(impedance)를 ‘완전저항’으로 읽고 쓴다. 과거에는 북한이 사용하는 조선어를 보고 북한이 남한보다 우리말을 더 많이 발전시켰다는 주장도 있었다. 하지만 실상 북한의 ... ...
- [신재생에너지 기획④] 첨단 지열발전 시스템, EGS동아사이언스 l2014.08.11
- 유래됐다. 이 프로젝트의 이름은 뜨겁지만 물은 없다는 의미의 ‘고온암체(HDR, hot dry rock)’였다. 이후 1980년대까지는 영국의 로즈마노스(Rosemanowes), 일본의 오가치(Ogachi)와 히죠리(Hijiori) 등 화산지역 중에서도 온도는 매우 높지만 저류구조가 없는 곳에서 주로 연구가 수행됐다. 그러다 1980년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