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center"(으)로 총 12건 검색되었습니다.
- 미지의 뇌 연구: 기억과 의사결정, 시간 지각의 비밀을 찾아서IBS l2016.04.04
- 인터넷도 없던 시절에 미국 문화원의 대학 가이드북만을 보고 ‘학습 및 기억 연구센터(Center for Learning and Memory)’가 있는 캘리포니아대를 선택했을 정도로 연구 분야에 대한 열정이 대단했다. 심리학과 생물학 둘 다 공부할 수 있었던 그 곳에서 그는 차근차근 꿈을 키웠다. 대학원 때부터 약 30년간 ... ...
- 생명연장 꿈 이뤄주는 힘센 난쟁이IBS l2015.12.28
- 우수한 연구 인력과 기술이 있다. 특히 기초과학연구원은 12월 내로 나노의학연구단(Center for Nanomedicine)을 출범하고 나노의학 연구에 더욱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이는 세계적 나노의학 석학이자 올 4월 기초과학연구원 단장으로 취임한 천진우 단장의 방침에 따른 것이다. 이를 위해 ... ...
- 영국 국립해양연구센터, 로봇 탐사선을 이용한 해양보호구역 조사 2015.12.17
- 국립해양연구센터(National Oceanography Center: NOC)가 9월, 심해탐사용 로봇과 선박기반의 측정방식을 결합하여 심해협곡 해양생물서식지에 대한 최초의 3차원 지도를 완성했다고 발표했다. 이 지도는 영국 국립해양연구센터에 의해 주도된 Biscay만의 Whittard 협곡에 대한 연구의 결과물로 영국 유일의 ... ...
- 인공광합성공동연구센터, 미국 인공광합성 연구의 최전선을 가다2015.10.01
- 최신 흐름을 들어봤다. 미국의 인공광합성 연구는 인공광합성공동연구센터(Joint Center for Artificial Photosynthesis, JCAP)가 중심이다. 2010년 미국 에너지부(DOE) 혁신허브로 설립된 JCAP은 태양빛, 물, 이산화탄소만으로 연료를 생산하는, 비용 효율적 방법을 찾는 것이 주요 미션이다. 당시 미국 의회는 ... ...
- 한국도 인공광합성 연구로 달린다동아사이언스 l2015.08.20
- ● 한국인공광합성연구센터, 포스코와 손잡아 한국인공광합성성연구센터(Korea Center for Artificial Photosynthesis, KCAP)는 미래창조과학부에서 ‘기후변화대응 기초·원천기술 개발사업’의 일환으로 2009년에 설립됐다. 이후 윤경병 센터장을 중심으로 미국로렌스버클리국립연구소, KAIST, 포스텍 등 ... ...
- DNA 복구 과정 밝혀 암과 노화 수수께끼 푼다IBS l2015.02.26
- " 명 단장은 DNA 복구 연구에서 새로운 길을 열고 있다. 특히 NIH 내 NCATS(National Center for Advancing Translational Sciences)에서 수십만 개의 작은 화합물(compound)을 모아 희귀병 환자에게까지 혜택을 줄 수 있는 약을 만들기 위해 노력 중인데, 명 단장은 이 많은 화합물 중에서 일부가 틀림없이 DNA 손상과 관련 ... ...
- 명품화장품은 좋은 원료에서 나온다KOITA l2015.02.23
- In-Cosmetics Asia; INCA)가 열리는 방콕국제무역전시센터(BITEC; Bangkok International Trade & Exhibition Center)를 찾았다. BITEC는 방나(Bang Na)역에서 걸어서 1~2분이면 갈 수 있는 거리지만 본 행사장까지 5분은 더 걸렸다. ‘You Are Part Of Our Big Plan’ 지난 11월 4일부터 6일까지 방콕 BITEC에서 열린 INCA전시회 출입구에는 ... ...
- '우주의 미스터리' 암흑물질 액시온을 찾아서 IBS l2014.05.14
- 연구단장으로 선정됐다. 세메르치디스 박사가 이끄는 '액시온 및 극한상호작용 연구단(Center for Axion and Precision Physics Research)'은 KAIST 캠퍼스에 둥지를 틀고 있다. 그를 만나 소립자 물리학 분야의 실험 연구로 우주의 비밀을 밝히고자 하는 연구단의 목표에 대해 들었다. 우주 전체의 95%가 '암흑' ... ...
- 미래 보건의료산업KOITA l2013.08.09
- 곳곳에 침투하게 될 것이다. 또 디즈니 가정 암센터(The Roy and Patricia Disney Family Cancer Center)의 예에서 볼 수 있듯이 병원 내부를 각자의 취향에 맞게 디자인하여 병원환경에 나를 맞추는 게 아니라 병원을 내가 원하는 환경으로 만드는 것도 가능해질 것이다. 이와 같은 미래의 의학수준이 어떤 정책에 ... ...
- [표준연] 대덕에 학연간 벽허물기 시동동아사이언스 l2013.07.19
- 내 한국과학기술원(KAIST, 총장 강성모)와 측정과학우수연구센터(MRC, Metrology Research Center)를 운영하기로 하였다. 지금까지 출연연과 대학 간의 공동연구는 위탁사업 형태로 예산이나 단발적인 인력교류 등 단기적인 공동연구 위주의 연구수행이 이루어진 경향이 있었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고 ... ...
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