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cell"(으)로 총 22건 검색되었습니다.
- 봄 타는 식물, 꽃 피우는 비밀동아사이언스 l2017.04.05
- '피오나1(FIONA-1)'를 세계 최초로 발견했다. 연구결과는 식물학 분야 권위지 플랜트 셀(Plant Cell)에 게재됐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식물은 피오나1 유전자 때문에 생체 리듬을 24시간 주기로 맞춰 광합성을 언제 할지, 꽃을 언제 피울지 결정한다. '슈렉'의 피오나 공주처럼 밤과 낮을 주기로 달라지는 ... ...
- 시스템 생물학의 눈으로 노화의 비밀을 들여다보다동아사이언스 l2017.01.06
- 변화에 강건하게 버틸 수 있는지를 밝혔다. 이 연구 성과는 '디벨롭멘털 셀(Developmental Cell)'에 게재됐다. 그는 "노화시스템의 경우, 분자들의 상호작용 구조조차 밝혀진 바가 없어, 여러 가상 시나리오를 만든 뒤 시뮬레이션을 해보고 실제 데이터와 비교해 가장 잘 맞는 구조를 찾아냈다"고 밝혔다. ... ...
- 만물의 중매쟁이 촉매, 환경 지키는 구원투수로 나선다IBS l2016.03.31
- 화석연료를 대체할 대안 중 하나로 수소연료전지가 주목받고 있다. 현대차의 투싼ix Fuel Cell, 도요타의 미라이처럼 수소연료전지를 적용한 상용 차량도 출시되고 있다. 수소연료전지에서도 촉매의 역할은 중요한데, 그 발전효율을 좌우하는 핵심소재가 바로 백금 촉매다. 수소연료전지를 적용한 ... ...
- 일본 친환경 선박용 LNG 연료전지의 연구현장에 가다동아사이언스 l2016.03.04
- - NMRI 제공 이 시험장치의 연료전지 스택(단위전지를 직렬로 적층한 것)은 퓨얼셀파워(Fuel Cell Power)사의 제품이다. 출력 1kW 단위전지 24개가 적층돼 있는데, 전극 면적이 133cm2이며 대략 폭 14cm, 높이 22cm, 길이 22cm의 크기다. 연구그룹은 개질 가스 중에 포함되는 CO가 전극의 백금 촉매에 악영향을 줄 수 ... ...
- 바이오 마커, 질병 진단에서 개인맞춤의학까지IBS l2016.02.01
- 비밀에 다가선 것이다. 이 연구는 지난 1월 1일 생명과학분야 세계 유명 학술지인 에 실려 새해 벽두부터 국내외를 떠들썩하게 만들었다. 김빛내리 단장과 우재성 IBS 연구위원(서울대 연구교수)는 ‘드로셔-DGCR8’ 단백질 복합체가 1개의 드로셔와 2개의 DGCR8 분자로 구성돼 있음을 처음으로 ... ...
- DNA 복구에 대한 과학자들의 수다IBS l2015.12.29
- 교과서적 업적을 처음 밝힌 만큼 선구적인 연구라고 생각합니다." PCNA (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igen) 단백질 3차 구조 (source: Protein Data Bank). - (주)동아사이언스 제공 과거 사람들은 DNA가 안정적이라고 여겼다. 하지만 DNA 분자는 굉장히 불안정하고 역동적이다. 내부 요인이나 외부 요인에 의해 ... ...
- DNA 복구 과정 밝혀 암과 노화 수수께끼 푼다IBS l2015.02.26
- 본다”고 밝혔다. 또 명 단장은 DNA 복제를 도와주는 증식세포핵항원(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igen, PCNA)을 DNA로부터 떨어뜨리게 하는 단백질을 암호화한 유전자 ATAD5를 포유동물에서 찾아냈다. PCNA는 DNA 복제 시 중합효소(polymerase)를 비롯한 여러 효소를 데려와 복제를 돕는데, DNA 복제가 끝나면 DNA에서 ... ...
- 수의대 출신 연구원의 "연구가 좋았어요" IBS l2015.01.19
- 12월, 분자생물학 분야 최고의 학술지인 셀(Cell)에 IBS RNA연구단(단장 김빛내리)의 논문이 실렸다. 세포 안에 있는 전령RNA의 분해과정에 숨겨져 있던 새로운 메커니즘을 발견했다는 내용이었다. 이 연구는 그 자체로도 의미가 있지만, 지난해 3월 발표했던 '꼬리서열분석법(TAIL-seq)'을 이용해 얻은 ... ...
- 패러다임 바꾸는 연구가 노벨과학상을 받는다과학기술인공제회 l2014.11.12
- 등 3명으로 결정되었다. 이들은 뇌세포 내에서 위치와 방향을 파악하는 '장소세포(place cell)' 시스템을 발견한 공로로 선정되었다. 오키프 교수는 미로 속에서 쥐가 출구를 찾아가는 과정을 관찰하며 위치정보를 처리하는 방식에 궁금증을 가지고 1960년대부터 실험을 계속해왔다. 어느 날 쥐의 뇌 속 ... ...
- 독창적인 광유전학기술로 뇌 비밀 밝힌다IBS l2014.09.04
- 섬유아세포 성장인자 수용체(FGFR1)'의 신호전달을 원격 조종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 '셀(Cell)'의 자매지 '케미스트리 앤드 바이올로지' 7월호에 표지논문으로 발표했다. 특히 특정 위치에 지속적으로 빛을 비출 경우 그 부위로 세포가 모여드는 광주성(光走性)과 유사한 세포의 움직임을 유도할 수 ... ...
1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