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blind"(으)로 총 8건 검색되었습니다.
- [강석기의 과학카페] 물리학은 생명을 이해할 수 있을까2023.11.29
- 저자는 “지금까지 발견된 물리학과 화학의 법칙들은 생명을 보지 못한다(life blind(생명맹))”며 “만일 자연에 어떤 ‘생명원리’가 작용하고 있다면 그것은 아직 발견되지 않은 것”이라는 주장했다. ● 진화의 물리학 조립이론 “순수하게 생명의 화학적 지문만을 가지고 생명 여부를 ... ...
- [일상 속 뇌과학] 노화성 기억 감퇴 되돌리는 '전기충격기'2023.10.06
- 기술이다. 연구팀은 65~88세 연령의 150명 노인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중맹검(double-blind)으로 수행되었다. 대상자들은 특정 질환을 앓고 있지 않는 정상적 노인들이지만 모두 노화성 기억 감퇴 또는 경도인지장애를 갖고 있었다. 고해상도 경두개 교류자극은 20분간 4일 연속으로 가해졌다. ... ...
- "통풍 치료제 콜키신, 코로나19 사망 위험 44%↓"연합뉴스 l2021.01.26
- 위약이 누구에게 투여되는지를 참가자와 연구자가 모두 모르게 하는 이중맹(double-blind) 방식으로 진행됐다. 결과는 콜키신이 투여된 환자는 위약(placebo)이 투여된 환자보다 입원 치료가 필요한 경우가 25% 적고 인공호흡 치료율은 50%, 사망률은 44%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타르디프 박사는 밝혔다 ... ...
- 日아비간 코로나치료 승인 먹구름…당국 "유효성 판단 곤란"연합뉴스 l2020.12.17
- 테스트·single blind test) 방식으로 시행돼 '이중맹검법'(더블 블라인드 테스트·double blind test)으로 얻은 결과보다 신뢰할 근거가 빈약하다고 봤다. 단맹검법은 시험 대상 약품과 환자에게 심리적 효과를 주기 위해 주는 가짜 약 중 어느 것을 환자에게 투여했는지의 정보를 환자에게는 제공하지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과학 논문도 변해야 한다2020.01.17
- https://m.blog.naver.com/enagokr/220952077670 -https://web.facebook.com/groups/reviewer2/?_rdc=1&_rdr -Single-Blind Vs. Double-Blind Peer Review, https://www.enago.com/academy/double-blind-peer-review-for-better-or-for-worse/ -Peer Review: New initiatives to enhance the value of eLife’s process, https://elifesciences.org/inside-elife/e9091cea/peer-review-new-initiatives-to-enhance-the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과학계의 인종차별2019.09.25
- status/687287890796261376 -Tomkins, A., Zhang, M., and Heavlin, W. D. (2017) Reviewer bias in single- versus double-blind peer review Proc. Natl. Acad. Sci. 114: 12708 - -Milkman, K. L., Akinola, M., & Chugh, D. (2012). Temporal distance and discrimination: An audit study in academia. Psychological Science, 23(7), 710-717. -https://www.nber.org/digest/sep03/w9873.html -Race, ethnicity, and NIH ... ...
- 성인병의 주범? 소금에 대한 오해와 진실과학기술인공제회 l2016.11.17
- 질환의 위험 증가 관련성을 직접 증명한 연구는 없다는 주장이다. *이중맹검법(double-blind test):의약품 개발 등에서 플라시보 효과를 막기 위해 실험자도 실험대상도 무엇을 테스트 하는지 모르는 상태로 임상실험 하는 방법. 오히려 소금을 적게 먹어 심혈관 질환이 증가했다는 논문도 있다. 캐나다 ... ...
- 미래부, 창의 도전적 기초연구 진흥 및 우수 연구자 집중 육성 추진동아사이언스 l2013.06.05
- 5~8억원, 9년간(3+3+3) 지원 신청과제에 대해 1단계 예비평가로 연구계획서의 암맹평가(Blind Review)*와 연구책임자의 역량 부문을 분리 평가하며, 2단계로 연구 계획서와 연구자 역량에 대한 본 평가(심화평가)를 실시하여 국내 최고의 과제를 엄선하였다 * 연구책임자의 이름과 업적 부문을 가리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