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습
연구
공부
수업
학문
글공부
수강
스페셜
"
학업
"(으)로 총 100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덕환의 과학세상] 고교학점제·통합수능에 시름깊은 고교…논문표절에 묻힌 이진숙 장관 검증
2025.07.16
고교 학점제가 실제로는 "학점을 채우기 위한 무리한 과목 선택과 반복 수강으로 학생의
학업
스트레스만 증폭시키고 있다"고 지적한다. 현장 여건을 무시하고 섣부르게 시행한 고교 학점제는 "학생의 학습권과 정신 건강을 위해 전면 폐지하거나 최소한 전면 재검토해야 한다"는 것이 청원의 핵심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돈먹는 하마' AI 디지털 교과서
2025.05.07
기술인 생성형 AI에게는 '교사 자격증'을 충분히 준비할 여유가 없었다. AIDT가 학생의
학업
능력이나 창의성을 다면적으로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다는 객관적 근거가 없다는 뜻이다. 결국 AIDT의 평가는 에듀테크 기업이 미리 탑재해 놓은 객관식 정답을 확인하는 수준일 뿐이다. 학생의 영어 발음을 ... ...
[이덕환의 과학세상] 탄핵에 길 잃은 과학기술·교육·의료개혁
2024.12.18
상황은 매우 심각하다. 특히 올 한 해 동안 정부의 비현실적인 의대 증원에 반발해서
학업
을 포기했던 학생들이 복귀하면 걷잡을 수 없는 상황이 벌어진다. 3000명을 교육하는 시설·인력으로 7500명을 교육해야 한다. 의대 정원이 동결된 서울의 의대도 평소의 2배나 되는 학생을 가르쳐야 하는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교사자격증도 없이 교단에 서는 생성형 인공지능
2024.07.17
다르지 않다.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도 비슷한 내용의 보고서를 내놓았다. 2022년 국제
학업
성취도평가(PISA)의 분석 결과에 따르면 수업 중 디지털 기기 활용 시간이 길어질수록 수학 성적에 부정적인 영향이 나타난다는 것이다. 수업 중 디지털 기기 사용 시간이 1시간 늘어나면 수학 점수가 3점씩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무너지는 이공계 인력 양성 체계
2024.07.03
의 새로운 생명줄이 돼버린 현실은 황당한 것이다. 상위권 대학에서는 의대 입학을 위해
학업
을 중단하는 재학생이 큰 폭으로 늘어나고 있다. 입시학원의 분석에 따르며 지난 17일 기준으로 서울대학교 1학년 1학기 휴학생은 모두 248명이나 된다. 2020년의 109명에서 2배가 넘게 늘어난 것이다.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국어'보다 '영어'에 더 정성인 사회
2024.06.19
방안'이 기초학력 회복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이지는 않는다. '책임교육학년' 지정이나
학업
성취도 자율 평가 전수 실시는 잘못된 처방이다. 자율형 사립고를 비롯한 고교 유형 다양화도 이미 실패가 확인된 낡은 정책이다. 교육부가 내년부터 밀어붙이겠다고 호기를 부리고 있는 'AI 디지털교과서'를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의료개혁에 흔들리는 이공계 교육과 지방대 소멸
2024.03.27
상위권 대학의 이공계 학과는 정상적인 운영이 어려워질 것이다. 의대 진학을 위해
학업
을 중단하고 'N수생'의 길을 선택하는 학생이 큰 폭으로 늘어날 것이 분명하기 때문이다. 심지어 이번 의대 증원 논란으로 휴학을 선택한 지방 의대 재학생들도 수도권의 의대로 옮겨가기 위해 재수를 선택할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지나치게 파격적인 의대 증원
2024.02.14
건너 불구경하듯 지켜보기만 하지 않을 모양새다. 최상위권 대학의 이공계열의 재학생이
학업
을 포기하고 의대로 빠져나간 빈자리를 채우기 위한 학생들의 대규모 연쇄 이동도 불가피해진다. ‘SKY서성한’과 ‘의치한약수’의 편입학 광풍이 대학 사회를 뒤흔들 것이다. 이제 이공계 대학은 ... ...
[과기원은 지금] KAIST, 기존 대비 111배 빠른 검색 엔진용 AI반도체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5.25
최고경영자과정 주임교수는 “이번 후원을 통해 더 많은 학생들이 아침밥 걱정 없이
학업
에 열중할 수 있을 것”이라며 “후배들을 위해 선뜻 후원해주신 동문들께 감사하다”고 말했다. ■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2001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인 팀 헌트 박사를 초청해 특별강연을 개최한다고 25일 ... ...
[박정연의 닥터스] 생체신호 데이터로 수술만큼 중요한 '환자안전 관리'
동아사이언스
l
2023.04.03
더욱 키우고 싶어서 공부를 시작하게 됐다. 낮에는 병원 근무를 하면서 주말과 야간에
학업
을 병행해야 했기 때문에 졸업하기가 쉽지는 않았던 것 같다. 힘든 시간이었지만 이후 환자관리업무를 위한 데이터 업무에서 중요한 역량으로 작용했다. 배움의 고통은 컸지만 이후 얻는 것이 더 많았다.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