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폴"(으)로 총 16건 검색되었습니다.
- 레이저가 보여주는 전자들의 흔적을 찾아IBS l2016.02.02
- 아토과학의 대가인 폴 코쿰(Paul Corkum) 캐나다 오타와대 교수와 공동 연구를 하기도 했다. 폴 코쿰 교수, 독일 뮌헨 루트비히 막시밀리안대의 페렌츠 크라우스(Ferenc Krausz) 교수 등이 아토과학을 창시한 연구자들이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고체 분야에서 관련 성과가 있으면 이들이 노벨상을 수상할 ... ...
- DNA 복구에 대한 과학자들의 수다IBS l2015.12.29
- 찾은 3명의 과학자인 영국 프랜시스크릭연구소의 토머스 린달 명예 교수, 미국 듀크대 폴 모드리치 교수,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 아지즈 산자르 교수에게 돌아갔다. 유전 정보를 담고 있는 DNA는 뉴클레오티드라는 화학물질로 구성되어 있다. 뉴클레오티드는 염기, 당, 인산의 3가지로 이뤄지는데, ... ...
- [KSTAR 그것이 알고 싶다 4] 플라즈마 실험을 시작하려면 어떤 준비가 필요할까?2015.11.16
- 코일을 동시에 작동시켜보는 종합시운전으로 나눠서 진행하게 됩니다. 그 이유는 폴로이달 초전도자석의 경우 플라즈마의 위치 및 형상, 전류를 제어하는 섬세한 역할을 하므로 개별적인 자석의 성능 및 각 자석간의 간섭효과를 확인할 필요가 있기 때문입니다. 이처럼 초전도자석의 상태를 ... ...
- 기억을 잃는다는 것KISTI l2015.10.24
- 수 있다는 점이다. 이번 이론을 제시한 캐나다 토론토 대학교의 쉬나 조슬린 교수와 폴 프랭크랜드 교수의 실험 결과도 이를 입증한다. 연구팀은 새끼 쥐가 특정한 상자에 들어갈 때마다 전기 자극을 줬다. 쥐들은 점차 이를 기억하고 상자를 피했다. 이후 실험쥐의 절반에게 뉴런의 재생이 ... ...
- 힉스 이후, 한국인이 제안한 3대 입자가 이끈다IBS l2015.05.06
- 을 이용해 자기홀극을 찾겠다고 선언했다. 2013년 봄에 이어 포럼 때 다시 한번 방한한 핀폴드 교수는 "조-메이슨 자기홀극은 뫼달의 주요 목적"이라며 "자연계에 존재할 수 있는 유일한 자기홀극으로, 물리학자라면 그 중요성을 알 것"이라고 말했다. 가볍고 느리게, 보이지 않는 액시온 1977년은 ... ...
- 눈(雪) 위의 스포츠! 스키와 스노보드 정복하기KISTI l2015.02.16
- 플레이트 이외에 다양한 장비를 갖춰야 스키를 탈 수 있게 됐다. 지팡이처럼 생긴 기다란 폴, 발목 고정을 담당하는 방수 부츠, 이물질이나 밝은 빛으로 눈이 상하는 것을 막는 고글, 충격으로부터 머리를 보호하는 헬멧, 동상과 부상을 방지하는 장갑, 바람을 막아 체온을 적절하게 유지시키는 ... ...
- 영화 속에서 나타난 바이러스와의 전쟁과학기술인공제회 l2014.12.11
- 이유 없는 분노에 괴성을 지르고 새로운 먹이 대상을 찾아 육상선수처럼 질주한다. 폴 앤더슨 감독의〈레지던트 이블〉시리즈 또한 좀비영화의 걸작이다. 밀라 요보비치라는 미녀배우를 간판으로 앞세우고 지금까지 5편의 연작이 나왔다. 원래 CAPCOM 사의 게임이 원작이었는데 게임의 인기에 힘입어 ... ...
- [Green Economy_기업인사이드] 이산화탄소를 플라스틱으로 바꾸다! 그린폴동아사이언스 l2014.11.19
- 상용화에 성공한 후 세계로 기술 적용을 확대할 것입니다. 그리고 제2, 제3세대의 그린폴을 개발함으로써 이산화탄소를 기반으로 한 고분자 분야의 ‘글로벌 리더’가 되는 것이 목표입니다.” *본 콘텐츠는 녹색기술센터에서 발행한 < Green Tech. HORIZON> 3호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 ...
- 장님 코끼리 만지기 : 뇌와 의식을 이해하려는 노력들IBS l2014.10.08
- 질환과 대뇌 특정 영역 사이의 관계뿐 아니라 그 변화도 확인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폴 브로카는 근대적 뇌 연구의 선구자 중 한 명이다. 그는 해부를 통해 언어중추의 위치를 규명하였으며, 그의 업적은 대뇌의 언어중추의 이름인 '브로카 영역'에 남아 있다. 브로카의 연구는 후대의 ... ...
- 아토초 레이저로 원자ㆍ분자의 초고속 현상 밝힌다IBS l2014.06.12
- Joint Attosecond Laboratory)에서 연구원으로 지냈다. 그는 "아토 과학의 대가인 폴 코쿰(Paul Corkum) 교수와 함께 연구하고 싶어서 그가 있는 캐나다로 가게 됐다"고 말했다. 코쿰 교수는 아토초 펄스의 생성을 설명하는 3단계 모델을 제시한 사람이다. 2013년 김 교수는 코쿰 교수와 함께 <네이처 포토닉스 ... ...
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