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참고서
전과
참고문헌
스페셜
"
참고서적
"(으)로 총 19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정연의 닥터스] “해외 원정수술 받아야 했던 성소수자에 의료 인프라 제공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3.05.02
국내 최초로 소장을 이용한 성확정수술을 집도한 황나현 고대안암병원 성형외과 교수. 고대안암병원 제공 성소수자를 위한 의료는 의료강국이라 불리는 한국에서도 오랫동안 불모지였다. 2013년까지 국내에서 출판된 성소수자 건강 관련 논문은 128편에 불과했다. 의대에서 성소수자 의료에 관한 선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삶에서 실제로 가치가 높고 희소한 것들을 알아보는 법
2021.09.11
집에서 걸어갈 거리에 영화관이 있다. 가까우니까 아무 때나 가면 된다고 생각하고서는 이사 온지 1년 반이 지나도록 한 번도 간 적이 없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이전에 살던 도시에는 도심에 큰 공연장이 있었는데 역시 언제든 가면 된다고 생각하고서는 가본 적이 없었고, 갑자기 떠나게 되어서야 ... ...
[강석기의 과학카페]살아있는 화석 폐어와 실러캔스, 엇갈린 운명
2021.01.26
실러캔스는 몸길이가 일미터를 훌쩍 넘는 물고기로 지느러미가 8개인데 특이한 형태의 꼬리지느러미와 살집이 통통한 가슴지느러미 한 쌍, 배지느러미 한 쌍이 특히 눈길을 끈다. 린다홀도서관 제공 1860년대 호주 뉴사우스웨일즈 주정부의 국토부 장관 윌리엄 포스터는 퀸즈랜드 남동부 와이드베 ... ...
[대학의 과거와 미래]⑤플랫폼과 네트워크 관점에서 대학의 역할
2020.10.27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하버드 경영대학원의 노히리아 학장은 2014년 “우리 교수들이 결정해야 할 것은 하버드 경영대학원과 같은 세계 최고 대학의 ‘플랫폼’에 있을 것인지, 개별적인 브랜드를 세울 것인지에 대한 것”이라며 “크리스텐슨 교수가 하버드경영대학원에 있기 때문에 크리스텐슨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공공지식은 누구의 소유인가
2020.08.27
《단백질 서열과 구조의 도해서》라는 책은 당시 생화학자들에게는 매우 중요한
참고서적
이었다. 데이호프가 NBRF에 설치한 데이터베이스는 처음엔 아미노산 서열을 해독한 연구자들이 데이호프가 개발한 형식에 맞춰 데이터를 보내면, 이 데이터를 포함하는 그의 도해서 책을 선물하는 방식으로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해부학 시대의 도래
2020.04.16
해부학 실습 모습. 하이델베르크대 제공 고대 의학의 큰 줄기는 고대 그리스의 히포크라테스에서 초기 로마의 갈레노스에 이르는 흐름이다. 앞서 이미 소개했듯이 갈레노스는 인체보다 동물을 이용해 해부학적 지식을 얻었다. 자유롭게 사람 배를 갈라볼 수 없었던 시대의 한계라 어쩔 수 없는 일 ... ...
[사이언스N사피엔스] 그래도 지구는 돈다
2019.11.29
시레데우스 눈치우스 책의 일부.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1610년에 출간한 《시데레우스 눈치우스》는 유럽 지식인 사회에 신선한 충격을 던졌다. 그러나 망원경을 이용한 갈릴레이의 놀라운 발견을 모두가 곧이곧대로 받아들인 것은 아니었다. 일단 눈과 물체 사이에 뭔가가 가로막고 있다는 사실 자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한국 기초과학 발전의 기구한 역사
2019.11.07
대학과 정부출연연구소의 갈등 그리고 노벨상 1975년, 한국 엔지니어회관 개관기념 리셉션에서 기념케이크를 자르는 당시 김종필 국무총리와 최형섭 과학기술처장관의 모습. 연합뉴스 제공 “과학기술처 장관 5년째로 접어들어 나는 그만두기 전에 기초연구를 강화하는 방안, 특히 대학의 연구를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혁명의 시작
2019.10.03
미국의 폭스 TV가 지난 2014년에 리메이크한 유명 과학다큐 '코스모스'.imdb 제공 톨레마이오스가 《천문학대전》을 쓴 것이 서기 약 150년이고 이 책이 이슬람 세계에서 《알마게스트》로 번역된 것이 820년대 무렵이었다. 코페르니쿠스는 1473년에 태어나 1543년에 사망했다. 아리스토텔레스부터 계산하 ... ...
[인류와 질병] 투유유의 세 번째 낫
2019.08.25
2015년 노벨생리의학상을 수상한 투유유(屠呦呦). 개똥쑥에서 말라리아 치료 성분인 아르테미시닌(Artemisinin)을 발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노벨상수상위원회 제공. 인간은 낫으로 풀을 베고 숲을 개간했지만, 덕분에 모기와 재회하게 되었다. 말라리아라는 불청객이 찾아왔고 수많은 사람이 말라 ... ...
1
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