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기
시샘
투기
새암
선망
시기지심
질투심
스페셜
"
질투
"(으)로 총 12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데이트폭력'으로 이어지는 '가스라이팅'
2024.07.27
생각하도록 만든다. 상대방을 모욕하고 수치스럽게 만드는 일들도 여기에 포함된다.
질투
와 집착을 보이고 친구와 만나는 것도 싫어하는 등 사회적 관계를 통제하려고 하는 것도 대표적인 위험 신호 중 하나다. 주변 사람들 모두, 또 가족과도 거리를 두게 하는 등 피해자를 고립시켜 도움을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대우받을 '자격'이 있다고 믿는 사람들
2024.02.03
나와 비슷하거나 혹은 못난 것 같은데 나보다 더 행복해 보이냐며 남들과 비교하고
질투
하면서 점점 더 고립되고 불행해져 갈 뿐이다. 추상적인 관념 또는 허상에 불과한 나의 이미지 나라는 사람의 중요성 등에 집중할 시간에 내 눈 앞에서 실제로 벌어지고 있는 다양한 경험에 집중하며 실제로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우연적이고 느슨한 관계 '친구'가 필요한 이유
2023.05.20
더해 가족과도 함께하기 어려울 수 있는 취미와 관심사, 가치관을 공유하는 것. 비교하고
질투
하기보다 서로의 행복과 성장을 위해 노력하는 것. 또한 힘의 균형에 있어 대등하다는 점 등이 소외되기 쉽고 서열로 나뉘기 쉬운 사회적 관계에서 친구 관계가 갖는 독특한 점이다. 연인, 가족 관계도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다른 사람의 불행에서 안도감을 느끼는 심리
2021.01.30
행복이 될 거 같기도 하다. 응원하던 사람이 잘 되면 나 또한 기쁘기 마련이니까. 시기와
질투
의 효용이나 어설픈 자기 위안의 유통기한은 짧다. 남는 것은 내가 어떤 태도로 삶을 살아가는 사람이냐는 것이다. 기왕 사는 인생 아름답게 살 수 있도록 응원하고 축복하는 마음을 통해 더 행복해지고 더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목표를 이루고 싶다면 불행을 멀리 하라
2021.01.16
나타난다. 나아가 남들과 비교하며 남들을 미워하거나 나를 미워하는 것, 시기하고
질투
하는 것 모두 결국 나를 소모시킴으로써 다른 사람이 아닌 내 발목을 잡을 수 있다. 불행은 공짜가 아니다. 불행은 많은 흔적을 남기고 많은 유무형의 자원들을 갉아먹는다. 무엇을 하든 목표 달성을 위한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분노는 스스로 독을 마시는 것과 같다
2020.11.21
것만 바라보고는 성급히 ‘다 가졌네’라고 판단할 때 생기는 감정이다. Behler 연구팀은
질투
와 시기가 우리에게 독이 되는 방식에 대해 다음과 같은 실험을 했다. 사람들에게 부러움과 시기심을 느꼈던 경험에 대해 생각해보거나 어제 뭐 했는지 같은 평범한 일을 생각해보게 한다. 그러고 나서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친밀한 관계에서의 폭력이란?
2018.03.31
협박한 적이 있다. - 원치 않은 성관계를 요구한 적이 있다. - 물건을 잘 부순다. - 의심과
질투
심이 많다. - 내가 어디를 가고 누구를 만날지를 통제하려 든다. - 자신이 원하는 행동을 하지 않으면 자살하겠다고 협박한 적이 있다. GIB 제공 ‘자살하겠다고 협박’해서 상대로부터 특정 행동을 ... ...
호기심의 두 얼굴: 호기심은 인간을 이롭게 만들까, 아니면 해롭게 만들까?
2016.04.19
판도라는 결국 남편이 외출한 틈을 타서 뚜껑을 열었고 그 순간 죽음과 질병, 미움과
질투
등 모든 해악이 사방으로 퍼졌다. ‘판도라의 항아리’(훗날 ‘판도라의 상자’로 바뀜)는 호기심의 백해무익함을 상징하는 문구다. Pandora - Nicolas Régnier 제공 ● 불확실성 보다는 손해 보더라도 확실한 쪽 ... ...
‘태양의 후예’ 시청주의보? “일리 있지 말입니다”
2016.03.27
성형수술 건수가 많아지고 있다는 것이다. ‘유시진 앓이’를 하는 여성들과, 이에
질투
하는 남성들의 모습을 경계하는 것이 과한 처사는 아니다. 실제로 드라마는 사실을 기반으로 한 뉴스보다도 시청자에게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모예 구세 미국 캘리포니아대 교수팀은 18~2 ... ...
양자역학 도약 이끈 슈뢰딩거방정식은 ‘간통’ 덕분?
2015.03.02
걸 봤다. 반면 버스 교수는 진화심리학의 관점에서 해석한다. 즉 치정에 얽힌 살인은
질투
의 극단적인 형태이지만 여기에는 진화적인 메커니즘이 있다는 것. 번식확률을 높이는 게 진화의 궁극적인 목적이라면 배신한 아내를 죽이는 건 설명이 잘 안 될 것 같지만(떠나나 죽으나 내 자식을 못 낳는 ... ...
1
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