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지반"(으)로 총 8건 검색되었습니다.
- 국산 수중건설로봇 ‘복합 실증센터’ 착공으로 연구개발 가속화 동아사이언스 l2015.11.12
- 파이프라인 매설이 가능하며, 연암과 같은 암반 파쇄에도 활용될 수 있다. 지반 조성을 위한 다양한 툴을 부착할 수 있고 비교적 단단한 해저면에서 트랙을 활용할 수 있어 높은 정확도로 수중 이동 중작업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공기 중 무게는 약 30톤 정도를 예상하고 있다. 그림 5 ... ...
- 세계에서 가장 큰 섬 그린란드한국원자력문화재단 l2015.10.23
- 알래스카 빙하가 녹는 것이다. 폭이 2km에 이르는 얼음 싱크홀 최근 국내에 도로나 지반이 무너져 내려 구멍이 생기는 싱크홀이 많이 등장했다. 지하수나 지하 공사로 인한 싱크홀이다. 그런데 그린란드에도 이와 비슷한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다만 땅 대신 얼음이 무너져 내리고, 크기도 폭이 2km ... ...
- ['고리 1호기' 특집(2)] 에너지 자립을 향한 도전, 고리1호기의 탄생까지한국원자력문화재단 l2015.10.23
- 부지를 확보했다. 원전 건설에 적합한 지역은 전력 수요가 높은 지역과 가까운 한편, 지반이 단단하고 안정하면서도 대량의 냉각수를 쉽게 얻을 수 있는 곳이어야 했다. 당시 우리나라 전력 수요의 중심지는 서울과 부산, 그리고 대대적인 개발이 진행되던 울산공업지대다. 서울과 가까운 한강 ... ...
- 세계 첫 사용후핵연료 영구 처분시설 ‘온칼로’ 2화한국원자력문화재단 l2015.09.25
- 없다. 당연히 온칼로의 부지를 정할 때도 이러한 점을 고려했다. 올킬루오토섬 인근의 지반은 10억년 넘게 지진이나 지각변동이 없는 안정된 화강암으로 이뤄진 암반지대다. 터널 전체도 화강암으로 이뤄져 있다. 온칼로 지역은 6만년 뒤에 빙하기가 찾아와 거대한 빙상에 뒤덮일 가능성이 높다. 과거 ... ...
- 자연과 조화를 이룬 해외의 방폐장 시설한국원자력문화재단 l2015.04.16
- 훨씬 낮은 곳까지 파고들어가 땅 속 깊이 방사성 폐기물을 보관할 예정이다. 역시 안정된 지반이라 휴런 호로 방사성 물질이 새어나갈 염려가 없으며 지표에서는 폐기물 처리장으로 들어가는 입구만 보인다. 이들 해외의 중저준위방사선폐기물 처리장들은 주변의 자연을 유지한 채 이미 있던 ... ...
- 충적층 위의 아찔한 도시, 싱크홀 '대란'의 진실과학기술인공제회 l2014.11.05
- 작업이 시급하다. 애초에 지하 공사를 하기 전에 미리 지하수위를 예측해 지하수와 지반을 보강하는 것이 훨씬 효과적이다. 전문가들 또한 땅속의 지질구조를 미리 잘 파악하고 그에 맞춰 토목공사를 진행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지금도 충적층 위에서 계속 높이를 높여가고 있는 초대형 빌딩이 ... ...
- 비전통자원, 셰일가스와 가스 하이드레이트2014.09.15
- 가스 하이드레이트는 해저면에서 천부에(수백 미터 내외) 매장돼 있는데, 생산시 수반될 지반 안정성 위험성과 해양으로의 가스 유출에 대한 위험성이 존재하고 있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전통적인 가스 생산량이 감소하면서 매장량이 많은 셰일가스와 가스 하이드레이트와 같은 비전통가스의 ... ...
- 수중건설의 신기원, 국산 로봇이 연다동아사이언스 l2014.04.21
- 이동 정확도로 수중 중작업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라며 “벤치마킹 대상과는 달리 지반을 조성할 수 있는 다양한 툴도 부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사업단은 수중건설로봇을 개발해 그 성능을 평가하고 시험하는 대형수조도 건설할 예정이다. 수조 크기는 길이 40m, 폭 20m, 깊이 최대 9.5m으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