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주저"(으)로 총 10건 검색되었습니다.
- 끈이론의 대가, 삼라만상의 정보에 심취하다동아사이언스 l2016.12.21
- 남 주자'라는 자신의 좌우명에 따라 자신의 아이디어를 다른 학자들에게 건네주는 것을 주저하지 않았다. 결국은 인류가 세상을 알아내는 일이고 열정을 가진 사람들이 같이 협력하는 것임이 그의 평소 신념이다. 그의 덕을 본 학자들 중에는 필즈메달을 수상한 에드워드 위튼 같은 대학자도 있다. ... ...
- [타운이 만난 사람들-멘티편] 김정헌 쿠프 대표동아사이언스 l2016.09.30
- 내용을 적은 메일이요. 여기에 가장 긍정적인 답을 보내준 곳이 영국이었어요. 그래서 주저없이 영국행을 선택했지요. 별다른 정보 없이 새로운 곳에서 일을 시작하기에는 쉽지 않았을텐데요. 100만원만 들고 무작정 영국으로 갔습니다. 20대 후반인 젊은 나이였다고는 하지만, 막막했지요. ... ...
- 기억을 잃는다는 것KISTI l2015.10.24
- 보여주기 위해 국내외 곳곳을 누빈다. 울퉁불퉁한 유럽의 돌바닥에서도 유모차 끌기를 주저하지 않는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아이들은 그 곳에 갔던 사실조차 기억하지 못한다. 정신분석학자 지그문트 프로이트가 말한 ‘아동 기억상실증’이다. 기억은 성인이 되서도 잃는다. 흔한 예가 만취 ... ...
- 자료실을 연구자들의 휴식처로 탈바꿈시킨다IBS l2015.05.08
- 했으면 좋겠어요. 다들 업무가 바쁘신지 대출이 많지 않습니다. 필요한 자료가 있으면 주저하지 말고 요청하세요. 언제든지 서비스해드릴 수 있습니다." 자료실이 휴게실처럼 되다 보니 책을 빌리거나 읽기 위해 방문하는 사람보다 다른 이유로 찾는 사람이 더 많다. 오가는 사람이 많아져 자연스레 ... ...
- [기술이 바꾼 미래] 윌리엄 헨리 퍼킨 : 합성 염료 시대를 열다KOITA l2014.05.27
- 보라색 용액이 천을 물들이는 것을 발견하고 이 합성염료의 가능성을 찾았다. 그는 주저하지 않고 자신이 발견한 샘플을 영국의 염료 공장인 폴라스 사에 보냈다. 퍼킨이 보낸 재료로 실험한 폴라스 사에서 다음과 같은 낙관적인 답장을 보내왔다. ‘당신이 발견한 물질이 상품을 너무 비싸게 하지만 ... ...
- 예술가는 과학자?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바라본 ‘과학+미술’동아사이언스 l2013.09.03
- 많다. 하지만 그 가운데 레오나르도 다빈치야말로 진정한 ‘르네상스맨’으로 불리기에 주저할 필요가 전혀 없다. 한 시대의 양식을 이끈 화가이자 근대적인 경험과학을 시작한 과학자였고, 용도에 맞는 기구를 창안한 엔지니어이자 후세에 남을 작품을 남긴 건축가이기도 했으니 말이다. 모든 ... ...
- "나노연구는 기초연구가 곧 응용연구"동아사이언스 l2013.07.25
- 말을 했다. “저는 이른바 엘리트코스를 밟지 않아서 그런지 이것저것 배우는 데 주저함이 없는 편입니다. 실제 이런 성향이 나노연구에 큰 도움이 됐지요. 나노과학은 융·복합 학문의 절정이라고 할 수 있어요. 접목할 수 있는 분야가 많은 만큼 나노 연구자도 물리, 화학, 전자 등 이해하고 ... ...
- KAIST와 세상을 잇는 창_KAIST 학생홍보대사, 카이누리KAIST l2013.06.03
- KAIST 캠퍼스 투어를 해보고 싶어요!”“, KAIST 학생들의 생활이 궁금해요!”“, KAIST에 들어가려면 어떻게 준비해야 하나요?”KAIST에 관한 궁금증이 마구마 ... 정말로 자랑스럽고 자부심을 느끼는 사람, 그리고 KAIST를 세상에 알리고 싶은 사람이라면 주저 말고 카이누리에지원하도록 하자.^ ... ...
- 한국경제의 성장동력, 신기술 창업에 해답이 있다KOITA l2013.04.30
- 다반사다. 아무리 탁월한 기술을 가진 신생기업이라 할지라도 첫 투자는 대부분 주저하는 것이 현실이다. 2013년 현재 벤처캐피털의 투자 잔액은 증가세이지만 투자회수금은 2005년 6,735억 원을 정점으로 감소세다. 신기술 기업에 대한 투자가 조성되고 활성화되는 것은 아주 중요한 의미가 있다. ... ...
- “기반 기술 ‘나노’, 이제는 산업화에 주력해야”동아사이언스 l2013.04.30
- 않다. 특히 우리나라는 단기적인 이익에 치중해 거의 100% 확실한 분야가 아니면 투자를 주저하는 경향이 있다. “산업체에서는 당장 1~2년 안에 상품을 만들고 싶은 마음일 겁니다. 그런데 연구라는 게 늘 그렇게 확실할 수만은 없습니다. 연구 현장에서 실현가능성을 80~90% 정도 끌어올린 기술이라면 ... ...